어제 절에서 전라도 사투리를 걸게 쓰는 부인부장님이 주신 아욱으로 된장국을 끓인다. 그 분이 텃밭에서 손수 기른 채소라 신선하고 보드랍다. (무농약이라 더욱 좋다.) 전에 생협에서 샀던 아욱은 너무 크고 빳빳하더니, 아욱이 이렇게 연할 수도 있구나. 내가 좋아라 하는 그 분의 유연한 삶의 태도가 참으로 멋지다. 억척스럽게 살아 온 인생임에도 늘 넉넉한 몸짓과 큰 웃음을 주는 말들에 감탄하게 된다. 한 마디만 해도 자지러지게 되는 그 분의 사투리를 배우고 싶다.

 

잎채소를 주로 하는 된장국에는 된장콩을 걸러서 맑게 끓이고는 한다. 된장콩을 과감하게(?) 버리는 날 옆에서 보며 남편은 저 아까운 것을 버린다고 타박이지만. 맑고 시원한 국물을 위하여서는 된장콩들과 이별이, 이별이 있어야 하네. 물론 바특하게 졸인 된장"찌개"에는 된장을 통째로 풀지.

시원한 된장국은 멸치와 다시마(다시마는 끓을 때 살짝 넣었다 재빨리 건져내어야 느끼하지 않고 시원한 맛을 낼 수 있다. )와 말린 표고(표고가 방사능흡수를 가장 잘한다고 하여 조금 우려되지만)를 우려낸 육수를 바탕으로-참, 며칠 전 전복죽을 하고 벗겨낸 전복껍질도 알뜰하게(?) 버리지 않고 두었다가 육수에 함께 넣어주었다.- 해물 한 가지를 넣어주어야 완성된다.  그래, 오늘 저녁은 기본 상차림이다.

 

오른쪽 지저분해 보이는 벽은 국물이 튄 것이 아니라 가스렌지와 벽이 너무 가까워 그을린 자국이다. 부엌이 좁은 오래된 아파트인 이 집 구조의 문제다. ㅠㅠ 이 집으로 이사오면서 중고나라에서 구입한 2만 5천원짜리 가스레인지가 거의 새 것이나 다름없어 가장 잘 산 물건이 되었는데(시쳇말로 가성비 최강) 이 가스레인지를 판 사람 얘기로는 가슴 아픈 사연이 있다며 아껴달라고 한다. 우렁각시가 떠나기라도 한 것일까? 내 멋대로 상상해보고는 그 사람의 아픔(?)과는 무관하게 이렇게 좋은 것을 얻게 되어 한동안 가스렌지가 빛이 날 만큼 알콜을 뿌려가며 닦아대고는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젯밤 미친듯이 요리를 하고 엄마식으로 말하면 "쎄가 빠지는" 줄 알았다. 냉장고 채소칸에서 일주일 째 시들어가는 채소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편칠 않아 드디어 큰마음 먹고 몰아서 조리했다. 나물 다듬고 채소 써는 걸 남편이 해줬기에 망정이지 날 샐 뻔 했네. 대체 얼마나 건강해지려고 이러느냐고 남편이 투덜댄다. 호박볶음, 세발나물, 시금치나물, 유채나물, 유채나물 겉절이, 콩나물, 봄동나물, 봄동겉절이, 미역줄기볶음, 우엉조림, 무생채, 김치찌개. 이 반찬들은 고스란히 비빔밥의 재료가 된다. 왜 난 요리할 때만 부지런해지는가. 청소, 정리정돈을 이렇게 하면 얼마나 좋을까마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기엔 영 아니올시다. 이지만 손 많이 갔다. 달걀로 힘을 줘서 달걀이 특징인 김밥으로 만들었다. 역시 달걀말이 김밥이 난이도가 높다. 김 비린내가 좋아 김으로 된 모든 요리가 맛있다. 처음으로 가공식품 없이 싸봤는데 흔히 먹는 김밥맛이 안나고 살짝 심심하다. 인공감미료에 길들여진 혀 탓이겠지. 햄 대신 잡채용 돼지고기를 볶아넣고, 단무지 대신 무김치를 넣었다. 김과 달걀은 정말 잘 어울린다. 반찬 없을 때 달걀하고 김하고 김치만 있으면 밥이 잘 넘어간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곰곰생각하는발 2014-03-19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맛있겠네요. 전 종종 김밥천국이 없었으면 좋았을 것을.. 하는 생각을 합니다.
옛날에는 김밥은 특별한 날에만 먹었잖아요. 운동회, 소풍 이런 날에만...
하지만 김밥천국이 생긱고 부터는 그냥 흔한 음식이 되어서 좀 아쉬워요...

samadhi(眞我) 2014-03-19 16:33   좋아요 0 | URL
맞아요. 김밥 때문에 소풍이 기다려지고, 야외에서 먹는 점심이 꿀맛이었어요. 그때나 지금이나 전 김밥을 좋아하지만. 조카들은 김밥이 너무 흔해서 시큰둥하더라구요. 김밥이란 게 먹는 건 간단해도 싸는 건 정말 큰 일이거든요. 요즘 아이들에게 귀한 음식이 뭐가 있겠어요. 풍요롭게 자라지만 그래서 안타깝기도 하구요. 소중한 가치를 알 수 없을 테니까요.

비로그인 2014-03-20 02:50   좋아요 0 | URL
단무지 대신 무김치라.. 뿅,갑니다. 뿅!!

조카를 앞세우시는 걸 보니, 아직 신혼이시군효..(부럽^^)

samadhi(眞我) 2014-03-20 07:22   좋아요 0 | URL
동치미 무로도 가능해요. 우리집은 무김치만 있어서.

10년 연애해서 "신혼"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요즘은 혼수라는 아기를 밴 채로 혼례를 올린 사람들도 신혼이 거의 없겠지만요.
 

 

 

언제부턴가 비빔밥을 대충 만들지 않게 되었다. 보통은 있는 반찬에 고추장 넣고 쓱쓱 비벼먹는 게 비빔밥이거늘 나물 3가지 이상, 호박볶음(양파, 당근, 버섯 넣은)은 꼭 넣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비빔밥에 온갖 정성을 쏟는다. 그래서 비빔밥 하려면 크게 마음 먹어야 한다. 유난히 신경써서 2시간 걸려 조리했다. 콩나물, 시금치나물, 유채나물(유채나물 처음 만들어보는데 향긋하고 상콤하다.), 유채나물 겉절이, 말린 곤드레나물, 무생채, 호박볶음, 돼지고기 볶음(소는 비싸서. 잡채하려던걸 비빔밥에 넣어본다.) 다양한 재료를 넣을수록 맛이 더욱 부드럽고 풍부해진다. 마구마구 건강해질거라구.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곰곰생각하는발 2014-03-07 16: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거 땡기네요.. 후르릅.... 제가 비빔밥은 안 먹는데 요거 은근 땡기네요...
마디껬어요...

samadhi(眞我) 2014-03-07 17:13   좋아요 0 | URL
정성맛입니다. ㅋㅋㅋ
양반 자손입니까, 비빔밥은 안먹는다고 하니 늘 자기는 양반이라서 비빔밥은 안먹는다던 선배가 술만 먹으면 어금니 꽉 물어 국물은 흘려보내고 비빔밥 만들어준다고 했는데 제가 워낙 비위가 강해서 꿈쩍도 하지 않지만 상상도 잘해내서 자꾸 그림을 그리곤 하였지요. 술안주들을 재구성하여.

곰곰생각하는발 2014-03-10 22:46   좋아요 0 | URL
전 이상한 식습관이 있어서 순대국 먹을 때도 밥 따로 국물 따로 먹습니다...ㅎㅎㅎㅎ 국에 밥을 안 말아먹어요.... 아주 오래된 습관...

samadhi(眞我) 2014-03-11 21:30   좋아요 0 | URL
말 나온 김에^^ 국밥 먹으러 갔습니다. 곰발님처럼 밥따로 국따로 먹는 사람 많을텐데요. 저도 그렇구요. 백암순대는 따로국밥 시키면 500원 더 받더라구요. 그래도 500원 더 내고 따로 국밥 먹어요. 국물 자체를 별로 안좋아해서 국물요리를 즐겨 먹지 않는 편이구요. 라면 국물도 안먹구요. 그렇지만 곰탕, 설렁탕 만큼은 꼭 밥에 말아 먹어요.
 

 

 

우리집 파귀신이 좋아하는 파절이다. 파를 너~무 좋아해 파절이 없는 고깃집은 가지도 않을 정도다. 각종 국물요리에도 파를 잔뜩 넣어주지 않으면 썽낸다. 대학 때 학생식당에서 아르바이트 할 때 대형냉장고를 열면 풍겨나오던 신선한 파향에 넋을 놓아버린 요 파귀신 때문에 파요리 전문이 돼버렸다. 술도 못먹으면서 골뱅이무침은 어찌나 밝히는지...... 파절이, 골뱅이무침은 어느덧 경지(?)에 이르렀다. 어쩌다 우리집 6남매 모여서 고기구워 먹을 때면 파절이는 내 담당이다. 특별히 "레시피" 라 부를 만한 정량 없이 매번 대충 무친다. 파요리 할 때마다 사람들에게 일러주지만 반드시 2~3배 식초를 써야 상콤하다. 과일식초로는 그 맛을 내기 어렵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곰곰생각하는발 2014-02-26 0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씨.... 이거 골뱅이에 맥주 땡기네요. 이제 슬슬 발동 걸어서 이번 주말엔 술 모임 함 가져야 게어요... 파절이 좋죠. 저도 파절이 엄청 먹습니다. 전 고기 비린내를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소고기에서도 비린내를 읽는데 그땐 파절이와 함께 하면 그 맛을 중화시켜서 좋더라고요. 옛나에는 고기 하면 환장했는데 이젠 슬슬 고기를 잘 안 먹게 되요. 해산물이 좋아짐..

samadhi(眞我) 2014-02-26 09:40   좋아요 0 | URL
물고기를 실제로(?) 파신다는 분이니 오죽하겠어요^^ 소화력이 딸리는데도 여전히 고기를 밝힙니다. 해산물도 아주 좋아하고. 방사능 때문에 겁나서 먹기가 무서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