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롭다. 제목부터 특이하다. 정상가족이 이상하다? 이게 대체 무슨 의미일까 싶었다.
정상, 이상함의 단어가 같이 하기엔 어감이 이상했다.
책을 읽으니 ‘정상가족‘이라는 것이 내 주변에서, 오랜 기간동안 한국 사회의 기본 바탕이 된 가족형태라는 걸 알게 되었다.
부모와 자식으로 이루어진, 그것도 친부모와 자식.
아동에 대한 이야기, 미혼모에 대한 이야기,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야기 등 현실에서 비정상으로 간주된 가족들의 상황을 보았다.
나도 차별하지 않아야지 하면서도 내 머릿속에는 무의식적인 차별이 있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직업이 교사이기 때문인지 아동에 관한 내용이다. 꽤나 충격적이었다.
체벌에 대한 내용은 굉장히 공감했다. 어렸을 때 나도 체벌을 많이 당하며 살아왔으니까.
그래서 그런지 우리 반 아이들에게 체벌을 한다는 건 생각도 하기 싫었다.
아이들을 학대하고 체벌하는 이런 사회 모습이 가족주의에서 온 아이를 미성숙하고 하나의 소유물로 보는 관점과 관련있다는 게 굉장히 놀라웠다.
평소에 생각할 땐 대충 생각하니까. 확실히 꼬집어 준 기분이랄까.
‘가족의 동반 자살‘이 아닌 ‘자녀 살해 후 자살‘.
나는 글쓴이가 말한 것처럼 가족의 비극 정도로만 여겼는데 자식의 입장에서 보면 하나의 물건, 부모가 없으면 전혀 자립할 수 없는 생물로 여겨지고 살해당한 것이었다.

가장 강조한 건 공공성의 확장.
맞는 말이다. 너무 많은 것들이 ‘가족‘이라는 집단에 요구된다.
개인의 자율성과 열린 공동체가 함께 공존하는 세상이라면 나도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싶다는 생각을 했을까 싶다.

읽다보면 정말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한 번쯤은 다시 읽어보고 싶다.
집중이 안되기도 하고 너무 긴 기간동안 붙잡고 있어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있었으므로.
이 책은 부모들, 부모가 되고 싶은 사람들, 그리고 남자들이 꼭 읽어보면 좋겠다.
와닿는 말, 경험이 정말 많아서 저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