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용서하지 못하는 나에게 - 내가 내 편이 아닌데 누가 내 편이 되어줄까?
네모토 히로유키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 / 201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자책감은 인생을 망치고 나의 하루하루를 우울하게 만드는 감정이다.
누가 그게 내 책임이라고 했는가? 나 스스로…
내가 책임 질 수 있는 일의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나와 관련 있는 일 중 진정으로 내가 책임져야 할 부분은 어디까지? 문제를 내가 원인인 것과 남이 원인인 것,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분석하는 연습이 도움을 줄 것이다. 나에게 원인이 있는 문제에 대해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연습을 하자.
책임의 소재를 따지다 보면 치사한 일도 많이 생기지만…
결과로 따지는 건 더 힘들 수 있다.
잘 되면 내 탓 잘 못 되면 남 탓하는 게 인지 상정인데…
왜 모든 탓을 내게로 돌리는가? 자책감.
둘다 옳지 않은 행위이다.
자책감이 아닌 그 이 면의 사랑에 집중하자. 갑자기 어두운 터널을 나와 환하고 따듯한 봄바람이 내 몸을 스치는 듯한 기분은 나를 행복하게 하고, 변한 나는 주위에 밝고 행복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각 장의 말미에 POINT로 그 장에서 저자가 다룬 핵심 내용을 요약해준다.
PLUS 장으로 두어 조언/설명을 추가해주고 있다.
자책감이 별 것 아닌 일로부터 생겨나므로 깡그리 무시하고나 없애 버리자는 얘기는 아니다. 가벼운 자책감은 오히려 자신을 다독이며 좀 더 따듯한 사람이 되게 하는 긍정적이 면이 있다.
책임질 때 지고 책임이 없을 때는 책임 있는 사람을 감싸주는 행동이면 족하지 않을까?
자책감의 이면에 있는 사랑?
자책감의 늪에서 나와 본래의 모습으로 행복한 인생을 사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책감은 행복하지 않게 하기 위해 마음속에 갖가지 덫을 쳐 놓은 악당이다. 이면에 사랑이 있고, 사랑에서 파생되는 감정이다.
PLUS1 잠재의식속에 숨어있는 자책감(p017)
부정적이 감정에 휩싸인다며 내게 자책감이 있을 지 모른다는 관점으로 자신을 바라보자.
“당신은 지금 그대로 당신인채로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p230) 의식의 포커스를 사랑으로 그 대상을 바꾸는 것. 이렇게 하기 위한 생각법이나 행동법을 소개한다.
자책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받는 행위’가 열쇠이다. 애정 어린 감사를 받아들이자. 남에게 나눠주는 즐거움에 그치지 말고, 자신의 희생이 전제된다면 상대방에게 자책감을 야기하는 행동이 된다.
PLUS 2 자책감을 쌓아 두면 주변에 뿌리게 된다.(p029)
자책감과 같은 부정적이 감정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이자. 자책감을 자각하자.
자책감의 징후 16가지(p031-036) – 수긍이 되는 것 안 되는 것이 있다.
자책감의 모습(타입) 7가지(p038~046)
PLUS 3 자책감의 7가지 타입을 의식하기 쉬운 ~ 어려운 타입으로 구분
2장은 자책감의 예를 들고 타입을 구분하여 설명해준다.
자책감의 착각 – 스스로 의식조차 못하는 사이에 악영향을 끼친다.
PLUS 4 나는 민폐를 끼치는 존재라는 착각(잠재의식)(p053)
불행의 원인이 나인 것 같다.
스스로를 탓하는 습관이 있다면, 그런 생각습관의 고착화되어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자책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p056)
자책감으로 성과를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행위를 용납하지 않는다.
스스로 하찮은 존재로 여기며 더욱 깊은 자기불신의 늪에 빠져들게 만든다.
PLUS 5 행복을 받아들이지 못하게 만드는 자책감
용서받을 수 없는 존재다. 자기 모멸의 감정에 떠밀린다. 당신에게 그런 파국을 강요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자책감은 스스로 만들어내고 스스로만 벗어날 수 있는 비극이다.
언제나 자기만 옳다고 고집하는 사람. 자책감이 강한 사람은 스스로는 정당화하고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자기를 옹호한다. 남 탓하는 사람도 자책감이 있는 사람이다. 내 탓하는 사람도 자책감이 있는 사람이다. 혼란스럽네.
PLUS 6 자책감이 강할수록 그 감정을 뒤집어 정당화한다.
착각이 만들어낸 규칙, 관념을 가지고 있다면, 그거에 반대되는 일을 했을 때 자책감이 생기고 스스로에게 관용을 베풀지 못한다. ‘그럴 때도 있지!’하며 그냥 웃어 넘길 일도 자책한다.
자책감이 강할수록 화를 낼 때 남 탓을 한다. 인간관계를 악화시킨다. 와이프의 성향인데… 무조건 들어주고 받아준다. 이게 자책감 때문이라니? 완벽주의자라는 얘긴 들었지만 그렇지 못한 자신을 탓하는 거고, 그래서 역으로 남 탓하는 거군, 맞나요?
아이들 앞에서 늘 행복하고 화목한 모습, 부부싸움은 하지 말자. 조심해야겠다. 순수한 자책감. 사랑하는 사람이 행복하지 않을 때 자책감을 느낀다. 아이들은 자책감에 더 깊이 빠진다.
PLUS7 아이들의 자책감을 부르는 부모의 말과 행동
착한 아이일수록 자책감을 느낀다.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노력한다. 모든 기대에 완전히 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착한 아이일수록 강한 자책감을 느낀다.
착한 성격 이면에 존재하는 언더그라운드 세상. 겉으로 보기에 좋은 사람일수록 가지고 있는 자책감이 스트레스로 발전하는데, 문제는 그것을 바깥사회에서 표면적으로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언더드라운드에서 해소하려는 심리가 발동하는 것이다.(p088)
착한 아이 신드롬
자기의 모습 그대로는 용납하고, 인간답게 원래 그대로 살아 갈 것과 숨어서 스트레스를 풀지 말것.
PLUS8 언더그라운드에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면서 살아간다. 일탈행동들로 더 큰 자책감이 생긴다. (p90)
유착관계에서 자책감을 크게 나타난다. 경계선이 사라져 감정을 공유하는 유착관계, 불륜 관계에서 발생하는 자책감. 두 사람의 인생을 동시에 살아가는 셈이니 그 만큼 스트레스도 증가한다.
PLUS9 자책감으로 이어진 유착관계(p097)
스트레스나 공포, 불안 등에 의한 의존증(일, 사물)에도 자책감이 강하게 존재하는데, 감정적 마비가 오면 강한 자책감을 느낄 만한 행동을 찾게 된다.(???)
서로 자책감을 공유하면 더욱 단단한 유착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엄마와의 유착관계가 형성되는 사춘기 시절 자립심에 눈을 뜨게 되었을 때 극심하게 반항을 하게 된다. 이때 무리하게 자립하면 이성적으로는 부모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어도(어른인 나의 이성) 감정적으로는 유착된 상태(아이인 나의 감정) 그대로인 모순된 상황에 놓이게 된다.(p106)
PLUS 10 어린 시절의 나에 멈춰 버린 엄마와의 유착관계(p107)
자신의 장점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을 때 강한 자책감을 느끼곤 한다.
사랑이 강할수록 자책감도 강해진다. 자책감의 이면에는 사랑이 있다고 했으니까, 자책감이 있는 경우에 사랑이 강하면 자책감이 강해질 거라는 예측이 가능하지만, 자책감이 강하다고 사랑이 강해서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PLUS11 사랑과 자책감의 관계 – 자책감의 이면에는 똑 같은 크기의 사랑이 숨어있다.
자책감으로 인해 대인관계가 끊어질 수도 있다.
소중한 사람의 말이 자신을 탓하는 걸로 느껴진다. 점점 거리를 두게 되고 고립된다.
타인 중심으로 살아가는 버릇이 자책감을 파생한다.
<-> 자기 중심으로 살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주인공, 주체적으로 문제를 마주하고 창조적으로 풀어갈 수 있다.
PLUS 12 타인중심과 자기 중심의 차이(p125)
나 중심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문제해결을 남에게 맡기지 않는다. 문제를 균형감 있게 해석한다.
PLUS 13 내 탓을 하는 것과 자기 중심의 삶은 다르다.(p131)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우선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태도가 필요하다.
자신에게 상처 주는 말을 멈춘다. 자기 긍정감을 기르자. ‘이게 지금의 나니까’
감정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습관으로 마음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노력하라.
PLUS14 감정의 파도를 서핑하듯이 유연하게 타보자 – 문제가 생길 때마다 ‘이게 나니까 괜찮아’라고 말하자.(p139)
잠재의식에 “나는 무죄다.”, “나는 나를 용서한다.” 용서한다고 선언한자. 자기긍정의 습관.
감사는 자책감을 위로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소중한 사람을 떠올려 감사의 마음을 전해보자.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을 떠올리자. 그 사랑에 감사하는 마음을 보내보자. 사랑으로 자책감을 위로할 수 있다.
나의 행복을 기뻐해줄 사람은 누구인가? 마음을 활짝 열고 그 사랑을 받아들이자.
자책감이 가리키는 사람을 사람하고 있다는 긍정적이 마음으로 볼 수 있다면 마음의 짐을 덜어낼 수 있다. 자신감도 생긴다.
의식적으로 웃을 수 있는 일을 하자. 웃을 수 있는 일의 리스트를 만들자. 자신을 사랑하는 연습.
사랑받고 있다는 증거 리스트를 만들자. 사랑받을 자신감이 생긴다. 자책감으로부터 해방.
이미지 워크 (p175~176)
삶의 우선수위를 정하고 실행하라.
옳고 그름을 따지지 말고,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자. 자신을 받아들이고 용서하고 이해하자.
인정받으려는 자세를 버려라.
자책감으로 인해 볼화가 일어났을 때 자신에게 문제가 없는지 먼저 돌아봐야 한다. 이해를 바탕으로 용서하라.
유착관계를 떼어 놓고 자기 중심적인 삶이될 수 있도록
이 리뷰는 몽실북클럽 서평이벤트의 소개로 출판사의 도서지원을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