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아이
권영희 지음, 최유정 그림 / 너의행성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로가 되는 그림책 , 작은 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아이
권영희 지음, 최유정 그림 / 너의행성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그림 동화책《작은 아이》에는 작은 아이가 주인공이다. 시골에, 조용히 혼자서, 웅크리고 있는 아이의 모습은 외롭고 쓸쓸하고, 부끄러움을 감추고 살아간다. 아이의 마음 속에는 내향적인 모습, 자신감이 없고, 순한 아이의 모습이 잘 나타나고 있었다. 누군가 말을 붙이지 않으면, 하루 종일 말하지 않을 것 같은 아이의 모습은, 흔하지 않지만, 우리 주변에 함께 하는 아이들이다. 고독하고, 외로운 아이의 모습을 바라보면, 챙겨주고 싶은 마음, 연민을 느낄 수 있다.



《작은 아이》에서는 위로와 성장, 이 두가지 키워드로 되어 있다. 친구가 없어도, 혼자 있어도 외롭지 않다는 것, 내 안의 부끄러움이 자신감 없는 아이라는 편견과 선입견이 생길 수 있다.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서, 타인이 보기에는 조용한 아이, 누군가를 기다리는 아이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이의 타인의 생각과 다리 성장과 변화의 씨앗을 품고 있었다.



 그림 동화 《작은 아이》 에서는 어린 시절 나의 모습이 있다. 그때는 몰랐던 것 , 적극적으로 자신을 드러내지 못했고, 누군가 나를 부르면, 숨기 바빴다. 나서는 것이 두려웠다.웅크린다는 것은 자신의 나약합을 드러내는 전형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자신감 없는 아이로 보여질 수 있다. 점차 개미와 친구가 되고, 지렁이가 친구가 되어서, 자신의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친구가 늘어나고 있었다. 친구는 사람이 아니어도 괜찮다., 나를 위로하고, 나의 마음을 알아주는 이라면 그 누구든지 나의 친구가 될 수 있고, 나의 말동무가 될 수 있다. 자연을 사랑할 수 있고, 동물을 사랑하고, 친구를 얻을 수 잇는 방법은 한 가지만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내 주변에서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시작하는 서양철학사 - 탈레스부터 보드리야르까지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본기
강영계 지음 / 해냄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 철학을 통해서, 만물의 이치와 인간의 사유의 변화를 이해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시작하는 서양철학사 - 탈레스부터 보드리야르까지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본기
강영계 지음 / 해냄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앎, 존재, 가치, 아름다움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왔다. 벽화나 , 동굴에 그려진 그림을 통해서, 인간의 삶에 대해,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연구했으며, 자연에 대해서, 인간의 삷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간 스스로 질문을 통해서, 자연에 대해서, 만물의 이치를 알기 위한 과정이 반복되었다. 철학은 모든 학문의 근본이 되었고, 그 과정에서,우리는 많은 것을 알기 위해서,애써왔다. 서양은 철학자가 있었고, 동양은 사상가가 존재했다.



자연철학의 시대에는 탈레스와 제논의 스승인 파르메니데스가 살았다. 그 당시에는 '자연 세계의 근원이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대해서, 답을 얻고자 애써왔다. 물과 불, 나무와 쇠, 흙, 이 다섯가지 재료를 통해서, 지구와 세계가 만들어졌다고 생각했으며, 인간의 질병에 대한 탐구를 이어나간다. 점차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데아를 꿈꾸었던 플라톤이 있었기에, 소크라테스의 철학이 지금까지 이어졌다.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의 '대화편'은 서양 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고대의 철학 세계가 체계적으로 잡혀 나가기 시작하였다.



중세철학은 교부 철학의 시대이며, 스콜라 철학을 거치면서, 중세 철학의 전성기를 형성하였다.인간의 나라와 신의 나라를 서로 분리하였고, 그 차이를 알아내고자 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무엇에 대한 논증'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종교적 영역에서, 철학에 대한 인식이 이어질 수 있었으며, 조직적인 철학 체계를 갖춰 나간다. 데카르트의 합리론, 칸트가 쓴 3대 비판서가 있으며, 마르틴 하이데거와 니체.사르트르를 통해서, 인간의 실존주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책에는 키르케고르나 니체를 실존주의자라 하며, 야스퍼거와 하이데거, 사르트르를 실존주의 철학자로 부르고 있다. 이 둘의 차이를 아는데 우리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쓰고 있다. 모더니즘의 위기가 도래하였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실험적 태도가 이어졌다. 그 안에서, 미셸 푸코는 데리다와 리오타르와 함께 프랑스 포스트모더니즘을 대변하는 철학자고 인식되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딩동~ 소 도감 딩동~ 도감 시리즈
이원중 엮음, 박시룡 감수 / 지성사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대한민국은 100년 전까지만 하여도, 농사가 주업이었으며, 농경사회다, 농사를 짓는데 있어서, 소는 필수 가축이다. 소는 수만년 동안 인간에게 가축으로 길들여져 왔다. 고기를 제공하는 역할이나, 우유를 만드는 것 뿐만 아니라, 개와 고양이 만큼 가족처럼 소중하게 생각하며 살아간다. 대부분의 소는 소 우사 시설 안에서, 먹고 자고,겨울엔 추위를 견디며 , 좁은 공간 안에서, 계절을 느끼며 살아간다. 소를 가까이 키우고, 여물을 직접 가져다 주고, 관찰하다 보면, 순한 동물이지만, 때로는 매우 거칠다는 걸 느낄 수 있다.






책에는 86종의 소를 소개하고 있다. 나라마다,기후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핀란드 에이셔의 조상은 스코틀랜드의 에이셔다. 한국에서 살아가는 소는 한우라 하며, 누렁소로 불린다. 무거운 짐을 옮기고, 농사일을 돕는 일을 도맡아하였으나,이젠, 고기와 우유를 얻는 목적으로 소를 키우고 있으며, 연구용 뿐만 아니라,종자 개량을 통해, 소의 품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한국에는 한우 뿐만 아니라, 칡소도 있다.






케냐, 에티오피아, 소말리아에도 소가 살아있다. 그 나라에서는 '보란'이라 부른다. 한국에서, 소가 농민들의 매우 중요한 재산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도 소가 귀한 동물이다. 특이한 점은 소의 피부 색이 한가지 색으로 되어 있지 않므며, 모양도,크기도 다양하다는 점이다. 86 종의 소의 모습에는 독특한 개성이 있다. 소의 특징을 느낄 수 있다.



대체로 소는 뿔이 있다. 한국의 한우도 , 뿔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소의 뿔은 싸움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청도의 소 싸움을 구경한 적이 있는데, 소의 거침와 야생성과 힘을 잘 드러내는 흥겨움이 있다. 미국 소 코리엔테의 뿔은 앞으로 휘거나, 위로 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는 청도 소싸움,미국에는 로데오 경기가 있다. 한국에는 노렁소 한우 이외에 , 아홉 종류의 소가 존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