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시작하는 서양철학사 - 탈레스부터 보드리야르까지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본기
강영계 지음 / 해냄 / 2025년 10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앎, 존재, 가치, 아름다움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왔다. 벽화나 , 동굴에 그려진 그림을 통해서, 인간의 삶에 대해,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연구했으며, 자연에 대해서, 인간의 삷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간 스스로 질문을 통해서, 자연에 대해서, 만물의 이치를 알기 위한 과정이 반복되었다. 철학은 모든 학문의 근본이 되었고, 그 과정에서,우리는 많은 것을 알기 위해서,애써왔다. 서양은 철학자가 있었고, 동양은 사상가가 존재했다.
자연철학의 시대에는 탈레스와 제논의 스승인 파르메니데스가 살았다. 그 당시에는 '자연 세계의 근원이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대해서, 답을 얻고자 애써왔다. 물과 불, 나무와 쇠, 흙, 이 다섯가지 재료를 통해서, 지구와 세계가 만들어졌다고 생각했으며, 인간의 질병에 대한 탐구를 이어나간다. 점차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데아를 꿈꾸었던 플라톤이 있었기에, 소크라테스의 철학이 지금까지 이어졌다.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의 '대화편'은 서양 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고대의 철학 세계가 체계적으로 잡혀 나가기 시작하였다.
중세철학은 교부 철학의 시대이며, 스콜라 철학을 거치면서, 중세 철학의 전성기를 형성하였다.인간의 나라와 신의 나라를 서로 분리하였고, 그 차이를 알아내고자 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무엇에 대한 논증'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종교적 영역에서, 철학에 대한 인식이 이어질 수 있었으며, 조직적인 철학 체계를 갖춰 나간다. 데카르트의 합리론, 칸트가 쓴 3대 비판서가 있으며, 마르틴 하이데거와 니체.사르트르를 통해서, 인간의 실존주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책에는 키르케고르나 니체를 실존주의자라 하며, 야스퍼거와 하이데거, 사르트르를 실존주의 철학자로 부르고 있다. 이 둘의 차이를 아는데 우리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쓰고 있다. 모더니즘의 위기가 도래하였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실험적 태도가 이어졌다. 그 안에서, 미셸 푸코는 데리다와 리오타르와 함께 프랑스 포스트모더니즘을 대변하는 철학자고 인식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