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1%의 철학수업 - 정답이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생각법 ㅣ 세계 최고 인재들의 생각법 3
후쿠하라 마사히로 지음, 임해성 옮김 / 21세기북스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뜨끔할 수 밖에 없었다...이 책은 일본인에 의해 쓰여진 일본의 사회 모습과 일본의 획일화된 교육 방식들....그 안에서 우리의 교육의 문제점을 알 수 있었으며 우리의 교육 방식이 일본의 모습과 별단 다르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었다..그리고 일본과 우리의 교육방식은 진리를 구하는 것이 아닌 지식을 쌓는데
열중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그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프랑스의 교육방식은 어떤지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었다.
일본의 교육방식은 지식과 답을 찾아가는 교육방식이다..특히 우리와 똑같은 사지선다형,오지선다형 답을 구하는 교육방식을가지고 있으며 프랑스 교육이 추구하는 철학적 사고와 탐구를 통해서 진리를 스스로 찾아가는 것..이런 교육방식이 왜 필요한 지 알 수 있으며 그것이 제대로 된 교육이라는 점이다.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한국에 방문하였던 하버드 대학교 교수 마이클 샌델의 강연 모습이 생각이 났다.
마이클 센델의 강연이 생각난 이유는 한국 학생에게 질문의 기회를 주었음에도 그 누구도 질문을 하려고 안하였다는 것이었다..특히 영어로 질문하는 것에 대해서 두려움을 느끼는 한국학생들의 모습.. 그런 두려움을 한국학생들 대부분이 가지고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으며,그 질문을 가로채려 하였던 중국학생의 모습이 기억에 남아있었다..이 두 사람의 모습에서 왜 한국인들은 질문을 하는 것을 두려워 하는가였다..그건 우리는 질문을 하는데 있어서 누군가 앞에 나선다는 것에 대해서 영어에 대한 울렁증과 논리정연하게 자신의 생각을 질문에 담아야 한다는 강박증...적극적으로 배우려는 것보다는 가르쳐 주는 것만 알려고 하는 소극적인 배움을 우선시 한다는 것이다..그리고 그러한 모습은 어릴 적부터 느낀 우리들의 교육 시스템의 획일화에서 찾을 수가 있었다..우리의 속담에서 '모난 돌이 정맞는다'에 감추어진 것은 우리 스스로 창의력을 키우는데 있어서 큰 방해요소로 작용한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정답을 찾는 것에 벗어나 사고하고 탐구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면서 엉뚱한 질문을 함으로서 선생님이나 교수님이 당황스러워 하는 것에 대해 예의없는 학생으로 비출수 있다는 생각이 우리 마음에 있기 때문이었다..
세상 모든 지식을 의심한다..
의심이란 배움의 근본이다..의심이라는 것은 무언가를 좀더 알고자 하는 호기심에서 출발하며, 알기 위한 동기부여라는 걸 알 수 있으며,세상의 모든 것에 대해서 의심을 하게 되면 기존의 통념에서 벗어나 진리에 조금더 가까이 갈 수가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그러한 배움에 대한 의심을 가진다면 새로운 것에 대해서 호기심을 가지고 배움에 대한 욕구도 점점 커져 가게 된다...그것이 바로 배움에 대한 성취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를 알면 압도적으로 증가하는 정보량.
영어를 알게 되면 어떤 현상이 나타날까..그건 바로 나스스로 배움의 양이 증가한다는 것이며 독서량이 증가한다는 점이다...특히 영어권 소설이나 철학책이 한글로 번역되기를 갈망하는 사람들...그런 사람들은 영어를 알면 출간되지 않더라도 텍스트를 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며 절판된 책 조차 구할 수 있다.그건 영어권 문화에서는 년너 텍스트를 구할 수 있는 곳이 상당히 많기 때문이며 그 정보들은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나 스스로 익히 알고 있었다.그래서 영어 텍스트는 구하였지만 영어 실력이 부족하여 그 텍스트에 담겨진 문장 하나하나에 대해서 느낄 수가 없었으며 의미를 알 수가 없었다는 점이다..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우리의 역사와 사회를 다르게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그것이 바로 영어를 배워야
하는 점이며 배워나감으로서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는 걸 알게 된다..
책을 읽으며서 철학적인 사고를 가지는 것은 특별하지 않다는 것이었다...호기심을 가지는 것이 첫번째이며 엉뚱한 질문을 하더라고 창피당하는 건 한순간이라는 걸 스스로 깨닫는 것..그럼으로서 세상을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이 알 수가 있으며,우리 세상에 대해서,자신이 알고자 하는 분야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는 길이 열린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