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너의 문화사 - 매너라는 형식 뒤에 숨겨진 짧고 유쾌한 역사
아리 투루넨.마르쿠스 파르타넨 지음, 이지윤 옮김 / 지식너머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너의 문화사>는 발칙하지만 아주 흥미로운 책입니다. 첫 페이지에서부터 '매사에 적절하게 행동하는 사람들의 클럽'처럼 여기는 유럽에 대한 고정 관념에 흠집을 낼 것이다(13쪽)라는 선언을 하고 있거든요. 유럽의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아리 투루넨과 핀란드 공영방송 교양 PD인 마르쿠스 파르타넨은 유럽인의 매너란 선한 의도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저 정교하게 정해진 행동 규범을 외형적으로만 따른 것에 불과하다고 말합니다.


이 책은 눈앞에 드러나는 형식의 이면을 파고들어 '도대체 훌륭한 매너란 무엇인가'를 질문하고자 한다. 아니, 좀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과연 훌륭한 매너라는 게 존재하기나 하는지, 아니면 그저 본능적이고 동물적인 인간의 행동을 억제하기 위해 고안된 정신적 울타리를 그렇게 부르는 것에 불과한지를 탐구하려 한다... 이른바 '미덕'이라는 것의 실체를 따져 볼 필요가 있다.(14쪽)

우리가 '좋은' 사람의 기준 중 하나로 삼는 '매너'가 사실은 인간의 폭력성을 감추기 위해 발전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예를 들어 '손을 들고'하는 인사와 '악수'는 '나에겐 무기가 없으며, 당신과 싸울 의지가 없다'란 의미로, 레이디 퍼스트의 의미로 여성을 먼저 문안으로 들여보내는 행동은 혹시라도 숨어 있을 '암살자'에게 여성을 미끼로 내던져준 거라고 해요.


<매너의 문화사>에는 '눈물'과 '웃음'마저도 귀족과 일반인의 계급에 따라 그 가치가 다르고, 남자와 여자들에게 다른 기준으로 적용되는 등 지금으로서는 도무지 상상하기 힘든 당시의 유럽이 가득 담겨 있습니다. 무리와 무리를 구분짓기 위해 자신들만의 독특한 에티켓을 발전시키고, 그렇지 못한 외부인을 야만이라 규정지으며 발전해온 유럽식 매너의 역사. 특히 '성생활'에 대한 부분에선 진짜 중세 유럽에 태어나지 않은 걸 감사하는 마음이 진심에서 우러나옵니다.

저자는 <매너의 문화사>를 통해 '왜 그렇게 행동해야 했는지'를 설명하려 했다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등장하는 예절들은 보편적으로 세계에서 통용되는 것들입니다. 하지만 매너의 폭력성이 흐르는 세월 속에서 미덕 또는 배려라는 정반대의 의미로 발전해온 기록을 접하니, '자신이 속한 무리를 위해 개개인이 노력을 참 많이 했구나'라는 얼토당토않은 느낌이 들어 픽~웃음이 나오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