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미술관 - 풍속화와 궁중기록화로 만나는 문화 절정기 조선의 특별한 순간들
탁현규 지음 / 블랙피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잘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지금처럼 이런 글을 통해서도 지금의 글쓴이의 생각과 심정을 알 수 있을 것이고,

한편의 사진처럼 당시를 기록해 준 풍속화와 기록화가 그들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풍속화와 기록화를 그렸던 당시의 화가들은

뛰어난 관찰력과 묘사력을 후대의 우리들에게까지 전해주고 있다.

 

 

 

조선의 고미술 작품을 전시회나 박물관 등에서 만나게 될 기회를 종종 갖는 편인데,

늘 만날 때마다 드는 생각은 놀라움이다.

 

 

어떻게 이렇게 커다란 화폭에 살아있는 정신마저 담아 놓은 것 같은 그림을 그려내었을까?

작고 사소한 틈 바구니에 존재하는 사물 하나에, 곤충 하나에, 손길 하나에도

그림 전체를 아우르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아차리는 순간,

감탄에서 경탄으로,

기록에서 영감으로

새롭게 다시 탄생하는 순간을 경험한다.

 

 

 

 

풍속화가 사생활이라면

기록화는 공공생활이고

풍속화가 드라마라면

기록화는 다큐멘터리다.

<조선미술관> 들어가는 글 중에서

 

 

 

 

조선미술관에서는 1관에

궁궐 밖의 사생활을 담고,

궁궐 안의 공공 행사 기록을 2관에

담아 전시를 기획했다.

 

 

말 위에서 꾀꼬리 소리를 듣다.

<마상청앵(馬上聽鶯)>, 김홍도

 

 

한 선비가 길을 가다 말을 멈춰 세우고 고개를 돌려 버드나무를 향한다.

그의 시선을 빼앗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선비의 시선, 그리고 함께 걷던 아이마저도 한 곳으로 시선이 머문다.

 

 

화가의 시선이 머문 곳이 바로 그곳이 아닐까.

 

버드나무 가지 위의 존재로 나도 함께 시선을 향해간다.

한 마리의 꾀꼬리, 그리고 한 마리뿐인 줄 알았던 우리에게

또 한 마리의 꾀꼬리의 존재는 그림 안에 박제된 듯 멈춰버린 한순간을

다시 연상시킨다.

 

 

비어있는 듯 보이는 길 뒤는 안개비로 비워지고,

그림을 감상하는 우리는 다시 선비와 꾀꼬리에게로만 집중할 수 있다.

 

 

 

 

 

어부와 나무꾼이 묻고 답하다.

<어초문답(漁樵問答)>, 정선

 

 

당시 북송대 유학자였던 소용이 지은 책 제목 <어초문대>에서 소재를 삼아 그림을 그렸는데,

대를 답으로 바꾸고 중국식 그림에서 우리나라의 지게를 그려 넣고,

조선화하여 그린 그림이다. 화가의 손끝에서 조선 풍속화가 그려진 것이다.

어부와 나무꾼이 자신만의 철학을 나누는 것 같은 이 그림을 볼수록

뭔가 넉넉함, 여유로운 마음이 전해지는 것 같다.

 

 

 

백성들의 다채로운 일상부터

궁궐 안의 행사들까지

우리는 풍속화와 기록화를 통해

조선 후기의 사람들의 삶으로

걸어들어가는 듯한 착각이 든다.

 

 

 

당시의 조선과 마주하며

문화절정기였던 당시의 조선의

특별한 순간들을 만날 수 있어서

옛 그림의 매력에 푹 빠져드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