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 개가 왔다
정이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6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어린 개가 왔다/ 정이현 산문/ 한겨레출판
우리에게 어떤 일이 있을까.
오늘 그리고 내일 또 내일에는.
책을 펼치고 처음 만난 문장이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다시금 나지막이 소리 내 읽어보았다. 눈시울이 붉어지고 싸르르 가슴이 아려온다. 읽기 전과 후, 밀려오는 감정의 결과 깊이가 사뭇 다르니 어느새 ‘루돌‘이에게 빠져들었나 보다. ‘어리고 작은‘ 개가 몸과 마음이 다부져가는 시간을 지켜보니 절로 그렇게 되더라. 그러니 정이현 작가는 하루하루가 얼마나 소중하고 고맙고 기쁘고 애달플까. ’왔다’에 이어질 ‘갔다‘ 전에 그 아이의 어제를 제대로 알기 위해 애쓰고, 오늘을 채우기 위해 다가서고, 내일을 오늘로 만나기를 바라는 정이현 작가와 루돌이의 이야기는 마음을 데워주는 온돌이 되어주었다.

인근에 하천이 흘러 저녁마다 운동 겸 산책 겸 돌곤 한다. 반려견과 보호자를 종종 만나게 된다. 목줄을 찬 개, 안 찬 개, 대형견, 소형견, 중형견, 가족 총출동, 부부, 가족(대부분 엄마) 1인 등등 분류하자면 다양하다. 예전에 비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확연히 늘었다는 걸 실감할 수 있다.
우리 집 같은 경우 아이들은 반려동물을 간절히 원했지만, 나는 무서워하고 남편은 싫어해서 이제는 마음을 접은 상태다. 독립 후를 꿈꾸고 있다. 어렸을 때는 애견카페, 애묘 카페를 찾아 갈증을 해소시켜주곤 했다.
그래서 비슷한 성향의 정이현 작가가 갑작스러운 인연으로 덜컥 ‘어린’ 개를 입양하고 법적 보호자로 등록되어 실질상•명의상 주보호자로 자리매김해나가는 여정이 흥미로웠다. 서로 다른 종, 생면부지의 두 생명이 만나 온전히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가 되어가는 시간이 아름답고 뭉클하였다.

유기견, 동물보호소, 임시보호, 입양, 안락사.
‘늑대‘가 인간친화적인 동물인 ‘개’로 진화한 순간부터 인간과의 관계가 그들에게는 중요해졌다. 세상에는 행복한 개와 행복하지 않은 개가 있다는 저자의 표현처럼 인간의 보살핌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개는 행복하지 않다. 개의 순수한 눈망울과 활기차게 흔들리는 꼬리를 떠올리면 절로 미소가 지어지건만 악의를 내뿜는 사람들이 있어 가슴이 저리다.

정이현 작가는 어린 개와의 만남으로 달라지고 풍성해진 영역을 이야기한다. 단순히 개가 아닌 ‘루돌’이가 알려준 미지의 세계를 알아가는 수고와 기쁨을 전하고 있다. 개에 관심이 없던 자신이 입양한 개를 주보호자로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서 겪은 일상적인 개인 이야기뿐 아니라 개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상황에 대한 사회 이야기까지 담고 있다. 반려견 용품을 공동 구매하는 펫플루언서, 동물 친화적인 마케팅을 하지만 제한이 있는 편의시설 등 ’상업적‘ 이용 혹은 활동에 대한 고민이 이 책과 맞물려 생각거리를 제공한다. 정이현 작가가 ‘어린 개가 아니었으면 모르고 살았겠지만 모르는지도 몰랐을 것들‘에 대하여 쓴 이 산문 덕분에 눈을 뜨고 귀를 기울이고 마음을 쓸 사람이 생겨날 것이다.

‘어떤 몰이해는 경험의 결핍에서 나온다‘는 문장이 마음에 콕 박힌다. 이토록 친밀하고 밀도 높은 유대감을 나누는 정이현 작가와 루돌이가 부러울 지경이다. 주저 없이 자신을 ’엄마‘라 부르며 아무 조건 없이 어떤 이유 없이 서로를 마음껏 사랑하는 사이. 그 순수함이 아름답다.

’자유‘를 인생 최고의 가치로 여기며 살아온 작가의 변화가 놀랍다. 이제는 루돌이가 없는 삶은 상상할 수 없다. 그는 루돌이가 자유의 형식과 내용에 대해 새로운 질문을 하도록 만들었다고 했다. 원하는 인생의 결을 유연하게 변하게 하는 이 다정한 존재는 압도적인 기쁨과 어렴풋한 슬픔을 생생하게 느끼게 해주고 있다. ’어린‘ 개가 온 이후, 삶은 달라졌다. 그 충만함에 자꾸 눈물이 나고 자꾸 미소가 지어지니 신기하다.

한겨레 하니포터10기 자격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