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에게 자신을 소개한다고 생각해보자. ‘이성애자‘라고 소개하는 일은 드물 것이다. 남자와 여자가 사랑하고 맺어지는 일이 당연한 사회에서 ‘이성애’는 사랑이나 로맨스라는 이름으로 대체된다. 이성애라는 정체성은 언급될 필요가 없다. 당연하기에 굳이 말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보편(적인 정체성)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보편의 또 다른 이름이 특권이라는 사실도 잊는다. - P9

성소수자의 노동을 취재하기 시작한 것은, 나 자신의 ‘여자 노동‘이 한창일 때였다. 여자가 더 잘할 것이라 기대되는 역할과 그에 부응해 연출해야 하는 이미지. 공식적인 업무 분장에는 없지만, 여자들이 다 하고 있는 그런 일. 그래서 자연스럽다고 여겨지는 노동에 숨이 막혔다. 호흡을 위협받는 순간까지 ‘여자로’ 생각하고 말하고 웃는 내가 있었다. 그럴 때마다 고개를 들어 책상 파티션 너머를 봤다. 수그린 동료들의 뒤통수가 보였다. ‘정상‘ 시민들 모르게 고개를 들어 서로를 확인할 마피아 동료가 필요했다. - P13

《젠더 무법자》에서 케이트 본스타인은 모욕에 대해 이렇게 언급했다. "모욕은 젠더 수호자가 쥔 채찍 중 하나다……. 우리는 모욕에 신경쓰라고 배운다." - P19

법학자이자 성소수자인 켄지 요시노는 저서 《커버링》에서 패싱을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되 타인에게 숨기고자하는 욕구"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벽장 속에 숨어 지내는 것이 아무리 나쁘다 해도 전기충격요법보다는 낫다고 말한다. 거짓말이 아무리 힘들어도 굶어 죽는 것보다 낫다. 무대의상을 입고 면접장으로 가야 한다. - P34

"애인 있습니까?" 단 여섯 글자로 이뤄진 질문이 이토록 힘을 갖는다. 질문 하나 받았을 뿐인데 누군가(남성)는 한 가정의 부양-책임자로서 책무를 되새긴다. 누군가(여성)는 출산과 육아라는 자신의 역할을 떠올린다. - P37

이들은 드러내지만 드러나지 않는다. 나를 표현하는 동시에 나 자신을 그대로 인정하지 못하는 세상을 앞에 두고 거짓을 말한다. 숨길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도 스스로를 인정하고 인정받고자 하는 그 욕구 때문에 성소수자들은 드러냄과 숨김 사이에서 줄타기 중이다. - P49

"나는 꽤 여러 가지 세일즈 일을 해봐서 어떻게 설득해야 구매하게 되는지 안다. 물론 남자로 일할 때 얘기다. 여성이 되어 일했을 때 고객들은 나의 ‘전문가 의견’을 들으려 하지 않았다. 결국 ‘어머나, 저보다 훨씬 더 잘 아시네요, 존슨 씨,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나요?‘라고 묻는 수밖에 없었다." - P97

초국적 기업이 개발도상국으로 진출할 때 고려하는 지점 중 하나가 여성차별 문화라는 이야기가 있다. 여성차별이 심하다는 것은 ‘여자가 있을 자리는 가정‘이라는 논리가 더 강하다는 뜻. 집 밖의 여성노동은 부차적으로 여겨진다. 바로 이때 가격 ‘후려치기‘가 가능하다. - P102

‘자본주의 체제가 사람들의 불안을 먹이 삼아 성장한다‘는 류의 이야기는 고용절벽 앞에서 정설로 자리 잡는 중이다. - P107

"보이지 않은 손이 닿지 않은 곳에 보이지 않은 성이 있었다." 기존 경제학을 여성의 관점으로 비튼 카트리네 마르살은 이렇게 묻는다.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을 집필하는 동안 식탁에 따뜻한 스프 접시를 놓는 손은 누구의 것이었냐고, 그의 어머니인 마거릿 더글러스, 즉 여성의 보이지 않는(보려 하지 않은) 노동이 있었다. - P117

‘우리에겐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합니다‘ 해시태그운동이 일어났을 때 청소년 인권활동가 공현이 지적한 대로, 학교에 정말 필요한 것은 좋은 스승인 페미니스트 교사 한두명이 아니다. "페미니즘적 학교, 페미니즘적인 교육 환경, 페미니즘적인 교육제도" 이를 시스템으로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1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50페이지의 비교적 얇은 책이지만,,, 새로운 용어가 많아 읽는데 생각보다 오래 걸렸네. 자꾸 읽다보면 익숙해지겠지..

단순한 대답은, 최선을 다하라는 거예요. 이 많은 용어를 처음으로 들었을 때를 기억합니다. 제가 각 단어를 이해하고 기억해서 사용하는 게 쉬웠다고 말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건 새빨간 거짓말일 거예요. 이것들을 배울 때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혼란스러운 순간들이 셀 수 없이 많았어요. 때로는 이러한 이름표와 개념들 몇 가지를 완전하게 파악하는 데에만 몇 주, 몇 개월, 심지어는 여러 해가 걸리기도 했지요. - P2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젠더 뉴트럴하게 아이를 양육하고 있다거나 젠더 이분법이 임의적으로 생겨났다는 이야기를 꺼낼 때면, 그 얘기를 꺼낸 사람은 ‘젠더 논의를 아이들에게 강요한다‘는 비난을 종종 받는다. 사람들은 보지 못한다. 젠더 이분법이라는 ‘규범‘ 자체가 논의가 가능하고 또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이분법을 해체하는 것은 사회가 부과한 무의미한 한계들을 자유롭게 넘어서는 일이라는 사실을. - P109

대명사 ‘they‘는 복수명사를 지칭하는 말이라서 문법적으로 올바르게 사용하려면 단수 형태로 쓸 수 없다고 하는 흔한 오해가 있어요. 이는 사실이 아니에요. 설립된 지 127년이 되었고 자리를 확실히 잡은 미국방언협회가 ‘they‘를 2015년 그해의 단어로 선정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대명사 they‘에 대한 기존의 생각은 정말이지 사실과 거리가 있어요. - P115

결국 가장 중요한 건, 여러분의 대명사가 당신에게 중요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에요. 대명사는 여러분의 젠더를 나타내주기도 하고 또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요. 이번 섹션의 메시지는 이거에요. 여러분이 존중하는 태도를 취한다는 전제 하에,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다고 여겨지는 대명사라면 무엇이든 사용하세요. 대명사는 호명하는 사람을 가장 잘 나타내야 하는 단어이고, 오직 그 사람만이 어떤 게 맞는지를 결정할 수 있어요. - P121

Male To Male/MTM 태어날 때 섹스 혹은 젠더가 여성(female)으로 지정되었지만, 본인의 젠더가 단 한 번이라도 여성이었던 적은 없다고 하는 사람, 이들은 단 한 번도 여성 젠더에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없고, 이 때문에 FTM으로 정체화하지 않는다. 트랜지션을 하는 MTM들이 MTM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젠더가 트랜지션되는 것이 아니라 젠더가 표현되는 방식이 트랜지션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P1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펙트럼! 제가 스펙트럼에 깊은 애정을 갖는 이유는 이 세상을 흑백으로 나눌 수 없다고 매우 강력하게 믿기 때문이에요. 스펙트럼은 회색 지대와 애매모호하고 유동적인 부분을 아우르지요. 이런 것들이 모두 인간의 경험에 있어서 필수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스펙트럼이 정체성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특별히 유용하다고 여깁니다. - P49

젠더를 정의 내리기란 매우 어려우니, 젠더가 아닌 것을 짚어보는 걸로 시작하겠습니다. 섹스. 자, 섹스란 뭘까요? 우리 문화는 섹스와 관련한 셀 수 없이 많은 오해로 뒤덮여 있다는 이야기로 시작해 볼게요. 사회는 주로 섹스를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정의 내려요.
"인간과 다른 생명체들이, 재생산 기능에 기초하여 분류되는 두 개의 주요한 범주(남성과 여성 male and female) 중 하나."(Oxford Dictionary, 2016) - P75

그렇지만 우리 문화에서 사람들은, 오직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에 자신을 끼워 맞추도록 끊임없이 강요받고 있어요. 한 사람의 섹스는 정부 서식과 신분 서류, 의료 기록, 투표지, 설문지, 데이트 사이트, 지원서에 표기되고 심지어 우리는 ‘태어날 때의 섹스‘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있는 화장실을 사용해요. 사회가 섹스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분법적인 시각을 벗어나는 건 불가능해요. 우리 모두는 이에 동의하는지 또는 이러한 구분에 본인이 들어맞는지와 상관없이, 이를 받아들이도록 강요받고 있지요. - P85

나는 내 몸을 인식하는 문제에 있어서 특히, 줄곧 내면화된 트랜스포비아와 상대해왔다고 생각한다. 신체 부분과 젠더가 대등하게 연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서도, 이상하게도 여전히 트랜스사람들을 ‘정상‘으로 보는 게 어려울 때가 있다. 이건 아마 내가 특정 신체를 정상적으로 바라보는 방식에 길들여졌기 때문일 것이다.
정체성에 상관없이, 우리 모두는 각자 미디어와 사회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려고 버둥거리는 것 같다. 가끔은 내 가슴이 느끼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 생각이나 의견이 머릿속에 떠오르기도 한다. 예컨대, 그간 자라온 환경 탓인지 이따금 트랜스 사람들의 젠더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가 어렵다. 가슴으로는 그렇지않다고 느끼고 또 절대 입 밖에 낼 것도 아니라지만, 이런 생각은참 끈질기게도 머릿속에서 사라지질 않는다. 이와 관련해 내가 기장 좋아하는 구절이 하나 있다. "우리는 어떤 의견을 낼 때, 두가지 생각을 하게 된다. 맨 처음 하는 생각은 우리가 그간 그렇게 생각하도록 길들여진 생각이다. 또 다른 하나가, 인간으로서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를 결정하는 생각이다." - P93

젠더정체성은 한 개인이 본인의 젠더(들)를 인지하는 방식이자, 어떻게 자신을 인지하는지에 관해 타인과 소통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언어(들)입니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록 이 책이 정말이지 (사람들을 수용하고 이들이 공동체를 찾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수많은 이름표로 가득 차 있지만, 이 용어들이 정체성을 규정하는 자료가 아니라 정체성을 기술해주는 자료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 P44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 여러분이 이 책에서 자기 것이라고 생각되는 용어를 찾았다면 멋진 일이에요. 또 그렇지 않더라도 문제없답니다. 한 개인이 스스로를 특정 정체성으로 호명하거나 호명하지 않는 데에는 정말로 다양한 이유가 있으니까요. - P45

정체성 표지를 사용하거나 하지 않겠다는 개인의 결정은 완전히 사적이고, 유효하고, 또한 타인들로부터 존중받아야 합니다. - P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