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름다운 나눔수업 - 자아존중감과 소통의 리더십을 키워주는 나눔교육 이야기
전성실 지음 / 착한책가게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아이들과 함께 하며 늘 배려와 나눔을 강조했다. 주로 내 생각을 강조하고 강요만 하지 않았나 싶다. 왜 그것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느끼고 깨닫게 해줘야 할지는 부족했다. 한다고 한게 아이들의 푼돈을 모아 유니세프에 기부한 것이 전부였다. 물론 이런 활동도 나눔과 기부의 중요성을 조금이나마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나눔의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못했다. 이 책을 통해 나눔의 의미와 실천방법을 깨달을 수 있었다. 나눔이 물질적인 기부가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그것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의미있게 풀어낼 수 있는지 자세하게 알려준다. 늦었지만 올 한해 나눔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해보고자 한다. 우리반에 맞는 활동을 중심으로 실행해보려 한다. 어떤 가치보다 아이들이 배워야 할 가치, 그리고 행복하기 위한 중요한 삶의 기술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나의 삶이 변화해야 할 것이다. 나부터 나누는 삶을 살아가야 아이들도 변화할 것이다. 그 실천의 길에 함께 하고 싶다. 저자가 존경스럽다. 나눔을 실천하고 고민하는 전성실 선생님의 모습을 보며 배우고 또 배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라센의 읽기 혁명 - 세계 최고의 언어학자가 들려주는 언어 학습의 지름길
스티븐 크라센 지음, 조경숙 옮김 / 르네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멘토대봉샘의 추천으로 책을 잡았다. 이 책을 통해 독서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게 됐다. 그전까지는 독서는 교실아침활동으로만 생각했다. 그리고 독서교육이 중요한지 막연하게만 알았다. 컴퓨터에는 빠져있지만 책을 좋아하지 않는 학생들을 보면서 내가 해줄 수 있는게 없었다. 무언가를 해야할 것 같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답답했다. 조금은 나에게 답을 준 책이 아닐까 싶다.

이 책에서는 자발적읽기를 매우 강조하고 있다. 읽기는 의사소통의 기본이 된다고 말한다. 그것도 아주 자연스럽게 읽고 싶은 책을 읽는 과정만으로도 쓰기와 말하기, 어휘, 문법까지도 배울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것같다. 나는 쓰기가 어떤 특별한 배움이 있어야 향상되는 기술으로 생각해 첨삭하고 지도했던 기억이있다. 하지만 읽기가 되지않는 학생들에게는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

먼저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학급문고를 만들거나 학교도서관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모두알고 있는 사실이기도 하지만 쉽게 지나칠 수 있는 문제이다. 그리고 자발적으로 읽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 아침활동으로 책을 준비하고 독서시작시간을 약속해 조용히 책을 읽기 시작하는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더 중요한 것은 책을 읽으라고 강요하기보다 책을 읽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침에는 수업준비에 정신이 없을때가 많은데, 아침시간만큼이라도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어야 겠다.

다음은 책을 읽어주는 것이다. 고학년이라 쉽게 시도하지 못했는데, 좋은 그림동화나 이야기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하는 계기가 될뿐만아니라 상상력을 펼치는 매력있는 시간이 되기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들도 아이들이 읽는 책을 많이보고 좋은 책을 고르는 눈도 키워야 할 듯 싶다.

마지막으로 즐거움이다. 아무리 독서의 효과를 강조해도 아이들이 싫어하면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여기서는 만화책과 TV를 보는 시각도 유연하다. 만화책은 책을 읽는 상상의 기쁨을 못 느끼게 하고 어휘력을 키우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그래서 나도 올해에는 만화책을 다 없애기로 했다. 하지만 여기서는 책을 싫어하는 학생들에게 가볍게 읽을 수 있는 통로로 의미가 있다고 말한다. 이 부분은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해야 할 듯 싶다.

올해 첫째, 아침독서는 15분이상확보하고 조용히 함께 책 읽기. 둘째, 한달에 한 번 이상책읽어주기 셋째, 학급문고 만들고, 책싫어하는아이도와주기

이 세 가지는 꼭 실천해야겠다.

"읽기는언어를배우는최상의방법이아니다. 그것은유일한방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