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거미여인의 키스 - Kiss of the Spider Woma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아르헨티나 출신의 작가 마누엘 푸익의 1976년 소설을 1985년에 영화화한 동명의 작품을 봤다. 감방에 갇힌 두 남자의 이야기에서 이렇게 다양한 주제들을 다룰 수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사실 영화를 보기 전에, 영화를 무척 쉽게 만들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영화의 메가폰은 브라질 출신의 감독 헥터 바벤코가 맡았다.

배경은 남미의 어느 감옥(영화가 실제로 촬영된 곳은 브라질의 사웅 파울루다). 미성년자 추행혐의로 8년형을 선고 받은 루이스 몰리나(윌리엄 허트 분)와 정치범 발렌틴 아레기(라울 줄리아 분)이 한 감방에 갇혀 있다. 이 둘은 그들 개인의 성적 취향만큼이나 정반대의 대척점에 서 있다. 사회 혁명을 꿈꾸는 마르크스주의자인 발렌틴과 진정한 남자와의 로맨스를 바라는 몰리나.

영화는 몰리나의 시시껄렁한 나치 영화 줄거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정말 아무 것도 할 일이 없는 감방에서 두 남자가 무얼 하겠는가. 발렌틴은 그다지 영화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하는 것 같지 않으면서도, 굳이 몰리나의 이야기를 말리진 않는다.

몰리나가 이야기하는 영화를 나치 프로파간다로 비난하는 발렌틴. 그런 공격적인 발렌틴과 한 방을 쓰면서, 몰리나와 발렌틴은 수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게 된다. 한편, 교도소장인 워든과 발렌틴이 가담한 조직을 검거하려는 페드로는 고문을 해서라도 발렌틴으로부터 정보를 캐내고자 한다. 하지만 여느 혁명가처럼 조직에 대한 신의를 지키려는 발렌틴은 심한 고문을 당하면서도 조직을 보호하려고 한다.

상점의 윈도우 디스플레이어였던 몰리나는 자신의 과거에 대해 발렌틴에게 털어 놓는다. 그가 계속해서 이야기하는 나치 영화의 줄거리보다 그 자신에 대한 이야기가 더 흥미롭다. 그는 꾸준히 진정한 남자(a real man)를 찾고 싶어 하지만, 동성애자인 그에게 사회로부터 돌아오는 것은 격렬한 비난과 8년간의 구형뿐이다. 역설적이게도, 혁명가와 동성애자 모두 자유를 꿈꾼다. 서로 다른 궤도에서 원하는 것이 일치한다.

발렌틴의 나치 영화의 줄거리는 <거미 여인의 키스>의 전개에 복선과 암시를 전달한다. 사랑과 배신, 조국애 그리고 휴머니즘 등등 통속적이긴 하지만 전통적인 주제들이 얽히고설키면서 본 영화에 길라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던 어느 날 배탈이 난 발렌틴을 돌봐 주면서, 그 둘의 관계는 급속하게 가까워진다. 자신의 감정에 솔직한 몰리나에 비해, 자신의 본심을 들어내려 하지 않는 발렌틴도 몰리나에게 마음을 열기 시작한다. 한편 몰리나는 교도소장은 워든과 비밀리에 거래를 해서 발렌틴으로부터 당국이 필요한 정보를 빼내는 조건으로 가석방을 약속받는다. 몰리나는 교도소장을 교묘하게 속여서 일반 교도소에서는 구경조차 할 수 없는 맛있는 음식들을 갈취한다. 하지만 몰리나와 발렌틴에게 주어진 시간이 그다지 많지가 않다.

아직 소설을 읽지 않아서, 소설과 영화가 어떻게 다른지 알 수가 없지만 다른 이들이 쓴 북글을 보니 원작 소설에서는 한 6편 정도의 영화가 소개된다고 한다. 하지만 영화 버전에서는 달랑 두 개의 영화만이 소개된다. 예의 나치 영화 그리고 “거미 여인”이 등장하는 영화 하나 이렇게 두 개다. 거미 여인이란 이름만 들어도 팜므 파탈이 연상되는데, 이 거미 여인은 난파선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남자를 지극정성으로 돌본다. 마치 감방에서 몰리나가 발렌틴을 돌보듯이 말이다.

지금 막 글을 쓰다가 든 생각인데, 원작가인 마누엘 푸익은 그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타인을 이해할 수 있다는 자신의 주장을 펼치지 위해 교도소라는 특수한 공간에, 혁명가와 동성애자라는 캐릭터를 만들어낸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불쑥 들었다. 우리 삶에 있어서 대개의 갈등은 상대방에 대한 몰이해로부터 출발이 되지 않는가 말이다.

또한 무산계급의 혁명을 꿈꾸는 발렌틴의 고백을 통해, 사회주의 혁명의 무상성에 대해서도 작가는 슬쩍 언급을 하고 있다.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의 건널 수 없는 괴리가 느껴졌다.

마초 스타일의 발렌틴을 연기한 이제는 작고한 라울 줄리아의 연기도 일품이었지만, 역시 이 영화의 프리마돈나는 동성애자로 분해서 발군의 연기를 보여준 윌리엄 허트였다. 진짜 동성애자들을 오랫동안 연구한 결과로 보이는 섬세한 연기 선이 무척이나 인상적이었다. 그런데 마누엘 푸익도 동성애자였던가? 왕가위 감독의 영화 <해피 투게더>도 그의 작품을 원전으로 삼았다고 하지 않았던가.

소설에서는 몰리나와 발렌틴의 대사 부분에 대한 적확한 표시가 없어서 책을 읽으면서 조금 헷갈렸다는 글들이 있었는데, 영화에서는 그런 모호함이 없어서 아주 좋았다. 영화를 보고 나니, 소설이 읽고 싶어졌다. 영화의 결말에서 다시 교도소로 돌아온 카메라는 혹독한 고문을 당하고 의료실에 누워 있는 발렌틴을 비춘다. 그의 여자 친구인 마타가 나타나서 그들은 어느 해변으로 달려간다. 몰리나의 영화 이야기에서 항상 나오던 세피아 톤의 영상은 어느 순간, 칼라로 바뀌고 파도 소리가 철썩이는 가운데 매혹적인 주제가 선율과 더불어 노를 저어 어디론가 떠나 버린다.

<거미 여인의 키스> 소설과 영화 모두 그동안 동성애라는 낙인이 찍혀 왔지만, 실제 주제는 자유와 구속 그리고 보통 사람들처럼 보이지 않는 이들의 삶에 대한 태도다. 인간 심리에 대한 뛰어난 통찰력과 놀라움으로 가득한 경험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시르와 왈츠를 - Waltz with Bashi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참 공교롭다. 어제 레바논 내전의 참상을 그린 라지 하위의 <드니로의 게임>을 읽었는데 오늘은 역시 같은 주제를 다룬 아리 폴만 감독의 <바시르와 춤을>이란 이스라엘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을 봤다. 장장 4년에 걸친 긴 시간과 이스라엘, 프랑스, 독일 그리고 미국 4개국 공동 작업으로 완성된 작품이라고 한다.

영화는 질주하는 수많은 개들을 비추면서 시작된다. 그리고 영화의 감독이자 화자인 아리 폴만은 20년 전 기억을 되찾기 위해 당시 동료들을 찾아 기억의 퍼즐 조각들을 맞추기 시작한다. 때는 1982년, 19살의 아리 폴만은 이스라엘 보병 소속으로 소위 레바논 전쟁에 투입된다. 그에게 당시의 기억들을 악몽이었고, 아무 것도 기억해낼 수가 없다. 아마도 의도된 선택적 기억상실이라고 해야 할까. 그 중심에는 같은 해 9월에 벌어진 ‘사브라와 샤틸라 학살’이 자리하고 있다.

배를 타고 시돈 해안에 내리자마자 폴만과 동료들을 사방에서 총격을 받는다. 그리고 그들은 보이지도 않는 적들을 응사를 해댄다. 그들의 갈겨대는 소총의 사격 소리는 마치 사방에 적들에게 둘러싸인 그들의 조국 이스라엘이, 그 나라의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단발마적 비명처럼 들린다.

애니메이션은 그렇게 자신의 기억을 되찾기 위해 옛 동료들을 찾아 인터뷰를 진행하는 아리 폴만과 함께 전개된다. 탱크 병으로 레바논 전쟁에 투입되었던 로니로부터 당시의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는다. 그들은 마치 소풍가는 행렬처럼 탱크에 올라타고 레바논에 들어갔지만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뜨거운 소총세례와 연달아 폭발하는 RPG 공격이었다. 그 와중에서 동료들과 함께 도망치던 로니는 구사일생으로 살아남게 되고, 내내 비겁하게 동료들을 내버리고 자신만 살아남게 되었다는 죄책감에 시달린다.

다음에 등장하는 인물은 항상 파출리라는 향수를 뿌리고 다녔다는 프렌켈. 그들은 레바논 테러분자들을 색출해서 공격한다는 미명 아래, 민간인들이 살고 있는 거주지를 오폭하고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들을 오인사격으로 빼앗는다.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 투입된 폴만과 그의 동료들은 도시의 도처에서 레바논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암살당한 바시르 게마엘의 사진들을 보게 된다. 저격병들에게 노출된 폴만 그룹이 진퇴양난의 상황에 빠져 있을 때, 프렌켈은 동료의 기관총을 빼앗아 들고 뛰쳐나가 왈츠를 추듯 그렇게 난사를 해댄다. 광기에 사로잡힌 전쟁 가운데, 온 정신을 유지하는 게 미친 일이지도 모르겠다.

자신들의 지도자의 암살에 격분한 기독교계 민병대인 팔랑헤당원들은 사브라와 샤틸라의 팔레스타인 난민촌에 난입을 해서 9월 16일에서부터 18일까지 3일 동안 테러리스트들을 소탕한다는 명분으로 난민촌을 파괴하고,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양민들을(최대 3,500명) 학살한다. 그리고 그 배후에는 이들의 행동을 묵인한 이스라엘이 자리 잡고 있다. 이스라엘의 저명한 언론인인 론 벤-이샤이가 이스라엘 사령관에게 항의를 해보지만 별무소용이다. 그리고 영화는 그간의 애니메이션 대신 당시의 실제 필름들을 보여 주면서 조용히 막을 내린다.

이 영화를 보면서 계속해서 나치가 2차 세계대전 중에 저지른 홀로코스트와 팔랑헤당원들과 이스라엘의 합작으로 자행된 사브라-샤틸라 학살이 중첩되고 있었다. 이스라엘은 1948년 건국 이래, 자신들은 언제나 희생자였다고 주장해 왔지만 그들에게 삶의 터전을 잃고 타국으로 쫓겨난 신세의 팔레스타인들에겐 그들이야말로 폭압적인 침략자가 아니었던가. 그런 이스라엘이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과 중부유럽의 죽음의 캠프에서 대대적인 홀로코스트가 진행되고 있을 때, 서방국가들이 외면했다는 비난을 자신 있게 할 수가 있을까.

마치 베트남전에서 무엇 때문에 타국에서 싸우고 있는지조차 모른 채, 무수히 죽어갔던 미군 병사들처럼 1980년대 이스라엘 병사들은 레바논에서 그렇게 죽어가고 있었다. 그들의 적이 누구인지, 왜 그들이 그렇게 목숨을 내놓고 싸워야 하는지에 대해 <바시르와 왈츠를>에서는 그 어느 누구도 알려주지 않는다. 폴만들에게 유일한 삶의 목적은 아수라장 같은 전쟁터에서 살아남는 것 뿐이다. 물론 그것조차도 쉬운 일은 아니다.

건국 이래 계속해서 전시 상황 아래 있어온 이스라엘은 마치 병영국가 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총탄이 빗발치는 레바논 전쟁에서 휴가를 받아 돌아온 폴만은, 자신을 빼고서는 너무나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고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는다. 자신을 걷어찬 애인은 여전히 잘 지내고 있으며, 나이트클럽에서 그 또래의 젊은이들은 무아지경에서 몸을 흔들고 있다. 그를 빼놓고서는 너무나도 정상적이다.

내가 이 영화를 보면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바로, 레바논의 어느 농장을 순찰 중이던 폴만그룹에게 RPG 공격을 한 소년들이 등장하는 장면이었다. 바흐의 하프시코드 협주곡 중 그 유명한 <라르고> 선율이 조용하게 흐르는 가운데, 매복한 두 명의 소년들은 이스라엘 장갑차에 대한 RPG 공격을 감행한다. 모든 것이 슬로 모션으로 처리되면서, 본능적으로 응사를 해대는 이스라엘 병사들. 이처럼 평화스러운 광경 속에서 자행되는 무자비한 폭력과의 대비는 너무나 비극적이었다.

유대인들은 지난 2천년 동안, 자신들의 잃어버린 팔레스타인 땅을 단 한 번도 잊어본 적이 없다고 한다. 아마 그들에게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긴 팔레스타인 민족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