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 은밀하고 뿌리 깊은 의료계의 성 편견과 무지
마야 뒤센베리 지음, 김보은.이유림.윤정원 옮김 / 한문화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이 제목부터가 직설적이고 도발적인 책이라 궁금증이 컸습니다.

요즘 페미니즘 유행 시류에 편승해 쏟아지는 수많은 책들 중 하나일까 싶기도 했지만 의료계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읽어보고 싶었습니다.

의료계에서 편견과 차별을 당한다면 그것은 바로 나의 건강과 생존과도 직결된 문제니까요.

 

 

목차만 봐도 답답한 느낌이 전해져 왔습니다.

구조적 문제, 남성 중심, 히스테리 이 모든 것에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지 짐작하긴 어렵지 않았습니다.

 

 

히스테리란 말의 어원이 자궁이라는 것, 히스테리란 말을 듣거나 쓸 때 어떤 뉘앙스로 하는지 많이 들어본 입장에서 처음 들었을 때도 답답했지만 오랜만에 보니 여전히 기분 나쁘네요.

여성이 조금만 목소리를 높이고 자기 주장을 하면 그것이 정당한지 아닌지 여부를 떠나 히스테리로 몰고가는 것, 많이 겪어봤기 때문이죠.

지금은 젠더 감수성 때문에 대놓고 말하지 않지만 예전에는 노처녀 히스테리란 말을 사람들이 참 흔하게 사용했어요. 실제로 감정기복이 심한 사람도 있겠지만 히스테리란 말로 그 사람의 의견 자체를 무시하는 경우도 많았죠.

여성들이 의사에게 호소하는 고통 중 많은 부분을 엄살이나 불안 장애로 몰고 병의 원인을 찾으려 노력하지 않는 내용을 읽다보면 참 답답했어요.

자궁내막증 케이스도 심한 월경통으로 생각해 자연스런 여성의 생리현상으로 치부하여 검사를 시행하지도 않거나 통증을 덜어주려는 노력 자체를 하지 않는 건 의사뿐만이 아니라 환자도 어느 정도 고정관념을 갖고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아픈 걸 당연시하고 말한는 걸 부끄러운 일이라 생각하는 문화죠.

심지어 학교 다닐 때 여선생님이 더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어요. 자신이 심한 통증이 없을 경우 다른 사람의 월경통도 이해하지 못하고 엄살로 생각하는 거였어요.

그래서 이 분야 의학 발전이 느릴 수밖에 없는 거겠죠? 병을 병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케이스니까요.

저 자신도 족저근막염과 어깨 근막염으로 병원에 다니고 있는데 의사 선생님께서 여러 질문 하더니 제가 서서 일하는 직업도 아니고 전업주부인데 이런 족저근막염이 온 것이 스트레스가 발에 간 것 아니냐 하며 신경안정제 자낙스를 처방한 적이 있어요. 잠을 푹 자야 한다면서요.

그후에 불면증도 아닌데 신경안정제 처방을 굳이 받아야 하나 싶어서 빼달라고 했더니 그러면 앞으로 뭐라해도 다시는 신경안정제 처방 안 해주시겠다고 약간 삐치신 듯 말씀하시더라구요.

이 책을 읽고 나니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란 말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네요. 전 이 말이 맞다고 생각하는 편이지만 의사들이 이 말을 의지해 의사로서 환자를 진찰할 때 병의 원인을 다각도로 찾아보려고 하지 않고 대충 심인성으로 낙인찍고 병의 근본 원인을 모른 채 진통제나 안정제로 쉽게 넘어가진 말았으면 좋겠어요.

저처럼 엑스레이 찍고 초음파 찍으면 나타나는 병증도 그러할진대 책에 언급된 만성통증이나 자가면역질환처럼 병명을 밝혀내는 데 많은 검사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병증은 정말 환자의 말을 믿고 잘 들어주는 의사를 만나야 할 것 같아요.

모든 의사들이 이 책의 사례처럼 행동하진 않겠지만, 그리고 이 책이 미국의 사례만 짚었지만 언제 나에게 닥칠지 모르는 일이므로 자신의 몸이 말하는 신호를 잘 전달하도록 신경써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