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 1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 역시 추사 기념관에서 찍어온 거에요. 그런데 너무 위압적이죠?  한자 몇 자 하다가 갑자기 이런 것을 대하면 겁에 질리실 것 같아요.^ ^ 그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그러함에도 이것을 하려는 이유는? 음, 첫째는 이 글씨가 추사 해서체의 전범(典範)이라 그렇고, 둘째는 글자들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서 그렇고, 세째는 내용이 좋아서에요.

 

이 작품의 제목은 '묵소거사자찬(默笑居士自讚)'이에요. '묵소거사가 묵소거사라는 자신의 호에 대해 스스로 격려하고 칭찬하는 글'이란 의미지요. 묵소거사는 황산 김유근이란 분이에요. 이분은 실어증에 걸려 말을 할 수 없게 되자, 자신의 호를 묵소거사라고 했어요. 침묵[默: 잠잠할묵]과 웃음[笑: 웃을소]만으로 처세하는 선비[居士]가 되겠다는 뜻이었죠. 말을 할 수는 없지만 들은 것을 이해할 수는 있으니 상황에 맞게 침묵과 웃음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것이지요. 이런, '묵소거사자찬'의 내용을 이미 다 말해 버렸네요. ^ ^

 

추사 선생은 김유근이란 분과 절친이었다고 해요. 하여 이 작품으로 그를 위로하고 격려한 것이지요. 아름다운 우정이 곁들여졌기에 더욱 빛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어요.

 

자 오늘은 '當默而默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까지만 보도록 하시죠. 마땅당(當) 잠잠할묵(默) 말이을이(而) 잠잠할묵(默) 가까울근(近) 어조사호(乎) 때시(時) 마땅당(當) 웃을소(笑) 말이을이(而) 웃을소(笑) 가까울근(近) 어조사호(乎) 가운데중(中), 당묵이묵 근호시 당소이소 근호중(當默而默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이라고 읽어요. '침묵해야 할 때 침묵하고 웃어야 할 때 웃는 것은 시중(時中)의 도리에 근접한 것이다'란 의미에요. 시중(時中)은 본래 붙어다니는 말인데 여기서는 침묵과 웃음에 하나씩 나눠 놓았어요. 그러나 해석할 때는 붙여서 해석해야 의미 전달이 잘되요. 그래서 '시중(時中)의 도리에 근접한 것이다'라고 풀이한 거에요.

 

상황에 맞게 행동하는 시중(時中: 때에 적중하다. 여기서 中은 가운데가 아니라 적중하다란 의미에요)의 도리는 옛분들이 최고의 미덕으로 여겼던 가치관이지요. 자신은 말은 할 수 없고 단지 침묵과 웃음만 지을 수 있을 뿐이지만 이것을 상황에 맞게 표현한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시중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지요. 때론 침묵과 웃음이 말보다 더 큰 울림을 줄 수도 있으니, 그것을 상황에 맞게 표현한다는 것은 매우 큰 가치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을 거에요.

 

자, 설명은 여기까지만 드리고 이제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이미 다룬 글자들은 빼도록 하겠어요. ^ ^

 

은 밭[田: 밭전]과 밭이 서로 막딱드리고 있다는 뜻이에요. 尙은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좀 변했죠(상-->당). 當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應當(응당), 該當(해당)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犬(개견)과 黑(검을흑. 여기서는 잠잠히/ 조용히의 의미로 사용됐어요)의 합자예요. 개가 조용히 사람을 따라간다는 의미지요. 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沈默(침묵), 默想(묵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턱수염을 그린 거에요. 여기서 의미가 연역되어 (수염이 턱에 이어져 있는 것처럼)앞말과 뒷말을 이어준다의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지요. 순접과 역접의 두가지 의미로 사용해요. 위의 글에서는 순접의 의미로 사용되었죠.

은 辶(쉬엄쉬엄갈착)과 斤(도끼근)의 합자에요. 도끼가 나무에 밀착하여 나무를 쪼개듯 상대에게 가서 부합(附合)한다는 의미에요. 가깝다란 의미는 여기서 파생된 것이지요. 近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近似(근사), 원근(遠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兮와 丿의 합자에요. 兮는 말을 잠깐 멈추고 기운을 고르는 의미이고, 丿은 남은 소리를 마저 낸다는 의미에요. 합쳐서 의문투로 말을 매듭짓는다는 의미지요. 乎는 대개 문장끝에 사용하여 의문문이나 반어문을 만드는 기능을 담당해요. 위의 글에서는 그런 의미로는 사용하지 않고, '~에'라는 대상을 표현하는 의미로 사용했어요.

는 日(날일)과 寺(관아사, 보통은 '절사'로 사용하죠)의 합자에요. 관아에서 처리하는 일이 공명정대하고 분명하듯 여러 날이 누적되어 분명하게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절기(사계절)란 의미에요. '때'란 의미는 사계절이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때'란 의미로 사용된 것이지요. 時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四時(사시), 時節(시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아니 내겠어요. 너무 힘드실 것 같아서요.^ ^ 대신 오늘 배운 문장을 소리내어 한 번 읽어 보시지요. ^ ^

 

當默而默 近乎時 當笑而笑 近乎中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멋있죠? ^ ^

 

추사 김정희 선생의 글씨예요. 예산에 있는 추사기념관(추사 고택 옆에 있어요. 고택과 기념관 관람료 무료 ^ ^)에 들렀다가 찍었어요. 시내계(谿) 뫼산(山) 없을무(無) 다할진(盡), 계산무진(谿山無盡)이에요. '시내(계곡)와(과) 산이 가없이 펼쳐져 있다'란 의미지요. 글씨를 한참 응시하고 있으면 끝모를 검푸른 계곡 숲에 들어와 있는 느낌이 들어요. 정말 멋진 작품이에요!

 

기념관에는 추사 김정희 선생의 어록이 몇 개 장식물로 되어 있는데, 이런 어록이 있더군요.

 

 

서예의 특징을 간결히 말해준 것 같아요. 서예는 단순히 붓의 기교만으로 이루어지는 예술이 아니라 학문의 뒷받침이 있어야 가능한 예술이라는 것이지요. 아울러 추사 자신이 그만큼 학문을 닦았다는 자부심의 표현이기도 하겠지요. 저는 평생 붓을 못들 것 같아요? 왜냐구요? 여직껏 읽은 책이 1천권도 못되기 때문이죠. ^ ^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아, 그전에 '계산무진(谿山無盡)'의 글씨체는 무슨체일까요? 그렇죠. 예서체에요. 자, 그럼 한자를 자세히 알아 볼까요? 山과 無는 전에 다뤘으니 빼도록 하겠어요. ^ ^

 

谿는 골짜기(谷: 골짜기곡)를 흘러 내리는 물이라는 뜻이에요. 奚는 음을 담당해요. 소리값이 좀 바뀌었죠(해-->계). '溪'로도 표기해요. 어제 나왔었죠. ^ ^ 谿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谿谷(계곡), 谿壑欲(계학욕, 만족을 모르는 욕심이란 의미에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皿(그릇명)과 燼(타나머지신)의 합자에요. 燼은 약자 형태로 들어갔지요. 타고나면 남는 것이 없듯이 그릇 속에 남아 있는 음식물이 깨끗이 다 비워졌다란 의미에요. 盡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盡力(진력),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을 다하고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시내계, 다할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人事待天命,  (     )

 

3. 다음 동영상을 틀고 10분간 명상하시오.^ ^

 

     

 

                                                  추사 김정희 선생도 이런 어린 시절이 있었겠죠?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흔적도 태안읍 백화산에 있어요. 혹시 기억하시는지 모르겠군요? '항아리의 풍경을 찾아서'중 '태을낙조(太乙落照)'란 구절이 있었던 것을. 기억 안나신다구요? ^ ^ 괜찮습니다. ㅎㅎ 이 흔적은 그 태을(암) 주변에 있어요. 한일(一) 웃을소(笑) 시내계(溪), 일소계(一笑溪)라고 읽어요. 무슨 뜻일까요? 한 번 웃는 시내? 한 번 웃게 만드는 시내? 아닙니다. ^ ^

 

먼저 '호계삼소(虎溪三笑)'란 고사를 말씀드려야 겠네요. 동진(東晉)시대 여산(廬山)에 혜원(慧遠)이란 고승이 있었는데 산문을 나서지 않는 것을 철칙으로 삼았어요. 그가 머물던 거처 앞에 호계(虎溪)라는 시내가 있었는데, 어떤 손님이 와도 그 시내까지만 배웅하고 돌아섰지요. 그런데 단 한번 자신도 모르게 그 시내를 넘은 적이 있었어요. 당대의 유명한 문사인 도연명(陶淵明)과 도사인 육수정(陸修靜)이 왔을 때 이들을 배웅하다 자신도 모르게 호계를 넘어선 거에요. 의기가 통하는 대화에 빠져 호계를 넘어선 것을 몰랐다가 뒤늦게 알아 차렸어요. 세 사람은 서로 쳐다보며 한바탕 크게 웃었지요. 여기서 생긴 고사가 '호계삼소(虎溪三笑)'예요. 흔히 어떤 일에 열중하여 평소의 습관이나 규칙에서 벗어난 것을 비유할 때 쓰지요.

 

그런데 '호계삼소'는 사상과 종교의 차이를 넘어선 포용과 관용의 의미로도 사용해요. 세 사람이 각기 유불도(儒佛道)를 대표하는 사람들인데 이들이 금기[호계]를 넘어서 하나로 회통[삼소]했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지요.

 

자, 이제 일소계(一笑溪)의 의미를 말씀드려야 겠네요. 그래요, 짐작하신 것처럼 일소계(一笑溪)란 '세 사상(유불도)을 하나로 회통시켜 웃음짓게 만드는 시내'란 뜻이에요. 이 각자(刻字)의 흔적 주변에는 불교를 대표하는 태을암과 도교의 의미를 담은 '태을동천(太乙洞天)'이란 암각과 유교와 관련된 '감모대(感慕臺)'란 석조물이 있어요. 이 유적들의 중앙에 이 일소계란 각자(刻字) 바위가 있지요. 물론 시내물도 흐르구요(그런데 수량이 미미해요). 일소계란 각자(刻字)의 의미가 꽤 깊다할 수 있겠죠?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一은 빼도 되겠죠? ^ ^

 

는 대나무[竹: 대죽]가 바람을 맞아 소리를 내고 휘청거리듯, 기뻐서 소리를 지르며 요절복통한다는 의미에요. 夭는 음을 담당하는데 음가가 조금 바뀌었죠(요-->소). 笑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笑門萬福來(소문만복래), 呵呵大笑(가가대소: 크게 소리내어 웃는다는 뜻이지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계곡 사이로 흐르는 물[氵: 물수]이란 뜻이에요. 奚는 음을 담당해요. 소리값이 약간 바뀌었죠(해-->계). 溪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碧溪水(벽계수), 淸溪(청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 ^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웃을소, 시내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碧(     )水,   (     )門萬福來

 

3. 다음 영상을 틀어 놓고 5분간 명상하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흔적도 태안읍 백화산에 있어요. 쌍쌍(雙) 홰나무괴(槐) 돈대대(臺), 쌍괴대(雙槐臺)라고 읽어요. 두 그루의 홰나무를 심어놓은 돈대란 의미지요. 홰나무는 회화나무라고도 불러요. 홰나무는 길상목(吉祥木)으로, 이 나무를 심으면 큰 인물과 학자가 나온다고 여겼어요. 그래서 조경수로 많이 사용했지요. 이 쌍괘대 각자(刻字)는 군수인 이기석이란 분이 새겼어요(왼쪽 타원형 안의 각자(刻字)에 성함이 나와요). 그리고 직접 나무도 심었구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문관 무관의 훌륭한 인물이 나오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홰나무를 심고 각자(刻字)를 했을 것으로 추측하더군요.

 

개인적으로는 이 각자도. 지난 번 강선대(降仙臺)처럼,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아요. ^ ^ 너무 인위적인 틀(사각형과 타원형)과 깊은 각자(刻字) 때문이에요. '바위 평면에 자연스럽고 은은하게 새겼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어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臺는 안다뤄도 되겠죠? ^ ^

 

은 한 손[又: 手(손수)의 변형이에요]으로 두 마리의 새[隹: 새추]를 붙잡고 있다는 의미에요. 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雙雙(쌍쌍), 雙手(쌍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木(나무목)과 鬼(귀신귀)의 합자에요. 귀신처럼 음침하고 다변(多變: 다양하게 변함)의 모습을 지닌 나무라는 의미예요. 잎사귀가 무성하고 여러 색깔의 수종이 있어 이런 의미를 갖게 된 것으로 보여요. 槐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槐木(괴목, 홰나무), 三槐(삼괴, 세 명의 정승이란 뜻이에요. 고대에 세 정승의 자리에 홰나무를 심어 위치를 표시한데서 유래했어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도 문제를 아니 내겠어요. 괜찮죠? ^ ^

 

                                          홰나무, 혹 보셨는지요? 이렇게 생겼어요 ^ ^

 

 

 

 

                                                              내일 뵈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장소] 2015-04-16 17: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나무가..어디있는지 저는 알죠. 경복궁에도 있는걸로 알아요.삼정승 나무.

찔레꽃 2015-04-16 17: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경복궁을 두어 번 가봤는데, 전, 못봤어요. 어쩜 봤는데 무관심해서 지나쳤는지도 모르겠네요. 다음에 갈 기회가 있으면 눈여겨 봐야 겠네요. ^ ^ 늘 지켜봐 주시고 격려해 주셔서 감사해요. ^ ^
 

 

 

 

 

이 흔적은 태안읍 백화산에 있어요. 지난 번 방선암(訪仙岩) 각자(刻字)와는 달리 선명해서 보는 이의 시선을 잡아 끌어요. 문제(?)는 너무 선명하다는 점이에요. 내용과 어울리지 않거든요. 이 흔적은 강선대(降仙臺)라고 읽어요. 내릴강(降) 신선선(仙) 돈대대(臺), 신선이 내려온 돈대(평지 보다 높은 곳에 있는 넓직한 장소)란 의미지요. 은은한 맛이 없고 위압적이라 좀 아쉬워요. 

 

이 각자 옆에는 이 글씨를 새긴 분의 이름이 뚜렷이 써있어요. 참봉(參奉: 벼슬 이름) 김석구(金碩球). 참봉은 중앙에서는 별 볼일 없었지만, 지역에서는 대개 유지 행세를 했죠. 모르긴 해도 이 분도 그랬을 것 같아요. 이런 정도의 각자를 할 정도면 유지 노릇을 톡톡히 하지 않았겠어요? 유지 노릇을 하며 신선의 풍류를 즐겼을 이 분을 생각하니, 왠지 좀 떨떠름 하더군요. 이율배반적인 것 같아서 말이죠.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仙과 臺는 예전에 다룬 한자라 빼겠어요. 降 한 글자만 살펴 보도록 하죠. ^ ^

 

은 언덕[ 阝(阜의 변형, 언덕부)]에서 내려온다는 뜻이에요. 오른쪽 부분은 음[강]을 담당하는데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어그적 거리며 내려온다는 의미거든요. 합치면, 어그적거리며 언덕에서 내려온다란 의미가 되겠네요. 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下降(하강), 乘降(승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연습 문제를 아니 내겠어요. ^ ^  내일 뵙도록 하죠.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 1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