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 /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지네/ 참되거라 바르거라 가르쳐 주신/ 스승의 은혜는 가이 없어라 ...

 

 

 

지난 주에 스승의 날이 있었죠. 오늘은 만세(萬世)의 스승이신 공자께서 하신 말씀을 한 대목 보도록 하죠.

 

 

 

학불염교불권(學不厭敎不倦)이라고 읽어요. '배우는데 싫증을 내지 않고, 가르치는데 게으르지 않는다'라고 풀이해요.

 

 

 

공자가 공자일 수 있었던 그만의 특징이자 자부심을 표현한 말이죠. 사실 배운다는 것은 고단한 과정이라 싫증 나기가 쉽고, 가르친다는 것도 대부분 반복되는 것을 가르치게 되기에 게을러지기가 쉽죠. 그런데 그러한 것을 남들과 다르게 싫증내지 않고 게으르게 하지 않는다면, 그는 분명 보통 사람은 아니겠죠?

 

 

 

잘 알려진 것처럼, 공자는 특정한 스승을 두지 않은 채 독학했던 사람이죠. 조실부모했기에 일찍부터 생활전선에 뛰어 들어야 했지만, 배움을 게을리 하지 않았죠. 그는 자신의 주변 사람 모두를 자신을 가르쳐주는 스승으로 생각했죠. '세사람이 가면 그중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三人行 必有我師焉)'는 공자의 말은 그런 배움의 과정을 피력한 말이지요.

 

 

 

공자의 제자였던 안연은 스승을 술회하면서 '선생님께서는 차근차근 잘 지도해 주신다. 글로써 견식을 넓혀 주시며 예로써 단속시켜 주시니 그 배움을 그만두고자 해도 그만 둘수가 없다(夫子 循循然善誘人 博我以文 約我以禮 欲罷不能).'라고 말한 적이 있어요. 공자는 제자의 상태에 맞추어 차근차근 지도해주는 근면한 스승이었던 것이지요. '그만두고자 해도 그만 둘수가 없다'는 안회의 말은 공자가 얼마나 노련한 스승이었나 하는 것을 보여주는 언급이에요. 이런 스승 밑에서 배우면 정말 배우는게 한없이 즐거울 것 같아요.

 

 

 

요즘 교육현장에 스승다운 선생님이 없고 제자다운 학생이 없다고 많이 아쉬워하지요. 뭐, 과거와 다른 시대니까 그런 것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한 일이지요. 그래도 마음 한켠에 그런 것을 그리워하는 것은 공자이래의 오랜 교학(敎學)전통이 우리의 유전자에 박혀있기 때문이겠지요.

 

 

 

서설이 너무 길었네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보도록 할까요? 배울학(學) 아니불(不) 싫어할염(厭) 가르칠교(敎) 아니불(不) 게으를권(倦), 학불염교불권(學不厭敎不倦)이라고 읽어요. 厭, 敎, 倦만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다른 것은 전에 다뤘어요.

 

 

 

厂(언덕한)과 猒(편안할염)의 합자에요. 돌덩어리[厂: 언덕한. 언덕에는 돌덩어리가 많죠]로 무겁게 눌러놓아 안정되게[猒] 한다는 뜻이에요. '누르다'란 의미지요. '싫어하다'란 의미는 '누르다'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계속 눌려있는데 누가 좋아 하겠어요? 厭은 지금은 '싫어하다'란 뜻으로 사용하고 본래의 뜻인 '누르다'란 의미는 壓(누를압)으로 표기해요. 厭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厭症(염증), 厭世(염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爻(본받을효)와 攵(칠복)의 합자에요. 윗사람이 지도해주는[攵] 것을 아랫 사람이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요. 敎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敎育(교육), 敎導(교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人(사람인)과 卷(굽을권)의 합자에요. 본래 '피로하다'는 의미였어요. 피로하면 숨도 제대로 못쉬고 일도 대충대충 하겠지요? 卷에 그런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게으르다'란 의미는 '피로하다'라는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설명 안드려도 충분히 짐작하실 것 같아요. 倦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倦怠(권태), 倦色(권색, 피곤한 기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싫어할염, 가르칠교, 게으를권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育, (    )症, (    )怠

 

 

 

3. 다음을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學不厭敎不倦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아, 한가지만 더. 스승의 노래중에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지네'란 가사는 안연이 공자를 술회한 말중에 나온 '앙지미고(仰之彌高 )'를 따온 것이에요. 앙지미고(仰之彌高 ) -- 우러를앙(仰) 어조사지(之) 더욱미(彌) 높을고(高), '우러러 볼수록 더욱 더 높아 보인다'란 뜻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오른쪽 사진의 주련을 보도록 하죠. 차호명월성삼우(且呼明月成三友)라고 읽어요. "또 밝은 달을 불러 세 벗을 이루었네" 라고 풀이해요. 밝은 달빛 아래 매화 향기를 감상하는 선비의 모습이 떠오르는군요.

 

선비들이 달을 좋아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윤선도 선생이 대신 답변해 주시는 것 같아요.

 

쟈근 거시 노피 떠셔 만물을 다 비취니/ 밤듕의 광월(光月)이 너만 하니 또 잇느냐/ 보고도 말 아니하니 내 벋인가 하노라

 

달에서 어둠을 밝히는 선각자의 이미지를 본 것 아닌가 싶어요. <맹자>에 보면 '옛 사람은 뜻을 얻으면 백성에게 그 혜택이 가게 했고 궁벽하게 되면 독선기선(獨善其身)했다"는 말이 있어요. 사(士)에게 선각자적인 자기 수양을 강조했던 것이지요. 이런 류의 전통이 달을 선비들이 선호하는 대상물로 만든 것이 아닌가 싶어요.^ ^

 

아, 한가지 고백(?)할게 있어요. 추사기념관에서 파는 추사고택 주련 해설집에서는 위 주련의 순서를 '且呼明月成三友 好共梅花住一山'으로 풀이하고 있어요.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好共梅花住一山 且呼明月成三友'라고 해야 의미가 통할 것 같아서 순서를 바꿔 풀이 했어요. '또(且)'라는 말이 처음에 나오는 것이, 암만 생각해도, 어색해서 말이죠. ^ ^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또차() 부를호() 밝을명() 달월() 이룰성() 석삼() 벗우(), 차호명월성삼우(且呼明月成三友).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할까요? 且, 明, 友만 살펴 보도록 하겠어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든요. ^ ^

 

는 두가지로 풀이해요. 하나. 조상의 신주를 모신 사당을 그린 것이다. 위의 一은 지붕, 양쪽의 丨丨은 벽면, 가운데의 二는 대들보, 맨 아래의 一은 땅을 의미한다. 둘. 희생용 짐승을 얻어 놓은 용기를 그린 것이다. 위의 一은 희생의 얼굴, 양쪽의 丨丨은 희생의 다리, 가운데의 는 도마 판, 맨 아래의 은 다리를 의미한다. 둘 다 일리가 있죠? '또'라는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으로 보여요. 사당에 제사를 드리기 위해 '또' 제물을 준비했단 의미로 말이죠. 且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苟且(구차), 且月(차월, 음력 6월의 별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日(날일)과 月(달월)의 합자에요. 매우 밝다는 뜻이지요. 해와 달이 함께 있으니 오죽 밝겠어요? ^ ^ 明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明日(명일), 分明(분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二(두이)와 又(手(손수)의 변형)의 합자에요. 두 손을 마주 잡은 모습을 표현한 것이지요. 여기서 서로 마음이 통하고 협력하는 친구(벗)라는(이라는) 의미가 나왔지요. 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親友(친우), 友情(우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또차, 밝을명, 벗우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分(    ), 苟(    ), 親(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且呼明月成三友

 

 

추사고택 주련 기행은 오늘로 마감해요. 찍어온 사진이 더 있는데, 너무 오래 하니 좀 지루한 감이 없잖아 있어서... ^ ^  내일 뵈용~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벗이 몇인가 하니 수석(水石)과 松竹(송죽)이라

동산에 달 오르니 그 더욱 반갑고야

두어라 이 다섯 밖에 또 더하여 무엇하리

 

 

윤선도 선생의 오우가(五友歌) 첫 수에요. 오늘 주련의 내용은 이와 유사한 면이 있네요. ^ ^ 오늘은 왼쪽 사진의 주련을...

 

호공매화주일산(好共梅花住一山)이라고 읽어요. "즐겨 매화와 더불어 한 산에 머무네"라고 풀이해요. 옛 선비들이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이른바 사군자(四君子)를 혹호(酷好: 유달리 좋아함)했다는 것은 잘 아시죠? 매화는 특히 한매(寒梅)를 좋아했다고 해요. 차가운 날씨를 뚫고 꽃을 피우는 그 모습에서 군자의 지절(志節)을 연상했기 때문이겠죠.

 

주렴계는 그의 <애련설(愛蓮說)>에서 세상 사람들은 화사한 모란을 좋아 하지만 자신은 진흙탕에서 깨끗한 꽃을 피우는 연꽃을 사랑한다며 내적인 수양없이 부화(富華)함만을 추구하는 당시의 풍조를 비판한적이 있어요. 당대의 사람들 특히 사회를 이끄는 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보면 그 사회의 기풍이 어떠한가를 알 수 있죠. 오늘날 이 사회의 지도자들은 무슨 꽃을 좋아 할까요? 매화는 아닌 것 같아요. ^ ^

 

한 글자씩 읽어 볼까요? 좋아할호(好) 함께공(共) 매화나무매(梅) 꽃화(花) 머물주(住) 한일(一) 뫼산(山), 호공매화주일산(好共梅花住一山).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好, 共, 梅 3자만 살펴보면 될 것 같아요. 다른 것은 전에 다뤘거나 너무 기초적인 거라...^ ^

 

는 남자[子]와 여자[女]가 서로 좋아한다는 의미에요. 혹은 남자가 여자를 좋아한다고 풀이하기도 해요. 好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好感(호감), 選好(선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十十 (스물입)과 八(拱(손맞잡을공)의 약자)의 합자에요. 많은 사람들이 손을 맞잡고 병렬로 서있다는 의미지요. 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共同(공동), 共和(공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木(나무목)과 每(매양매)의 합자에요. 木이 매화나무란 뜻을 나타내고 每는 음을 나타내요. 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一枝梅(일지매, 의적 이름이죠. ^ ^), 梅實(매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좋아할호, 함께공, 매화나무매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實, (     )同,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好共梅花住一山

 

 

 

님은 무슨 꽃을 좋아 하시나요? 저는, 찔레꽃~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문장의 격조를 다룬 주련을 보도록 하죠. 오른쪽 사진이에요. 추수문장불염진(秋水文章不染塵)이라고 읽어요. "가을 물 문장은 티끌에 물들지 않았네"라고 풀이해요. 문장이 가을 물처럼 맑고 깨끗하여 속기가 하나도 없다는 뜻이에요. "문체는 곧 그 사람이다"란 말이 있죠. 글 속에 그 사람의 면목이 자연스럽게 드러나기 마련이죠. 추사 선생의 글을 읽어 본적은 없지만 대단히 고아(高雅)한 의취(意趣)를 풍기는 글일 것 같아요. 그로 미루어 추사 선생의 인품 또한 그랬을 것 같구요.^ ^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가을추(秋) 물수(水) 글월문(文) 글장(章) 아니불(不) 물들염(染) 티끌진(塵), 추수문장불염진(秋水文章不染塵).

 

水와 不은 전에 다뤘어요. 나머지만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 ^

 

는 곡식[禾: 벼화]이 익어가는[火: 불화] 계절이란 의미에요. 그게 바로 가을이겠죠? ^ ^ 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秋收(추수), 秋分(추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무늬란 뜻으로, 체크무늬처럼 교차된 모양을 그린 거에요. 글이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죠. 글이란 사람의 생각이 교차되어 표현된 무늬잖아요? ^ ^ 文은 지금은 거의 전적으로 글이란 뜻으로 사용하고, 본래의 의미였던 무늬란 의미는 紋(무늬문)으로 표기해요. 文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文學(문학), 文化(문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音(소리음)과 十(열십)의 합자에요. 音은 음악의 의미이고, 十은 마침 -- 十이 수의 마지막이기 때문에 -- 이란 의미에요. 주악(奏樂)의 한 소절이 끝났음을 의미하는 글자지요. 글이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거에요. 음악의 한 소절이 끝나듯 하나의 생각이 마무리된 표현이란 의미지요. 章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文章(문장), 樂章(악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木(나무목)과 氵(물수)와 九(아홉구)의 합자에요. 염료의 원료가 되는 수액을 채취하여 아홉번 이상 착색을 했다는 의미에요. 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染色(염색), 感染(감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사슴[鹿: 사슴록]이 달려가면서 일으키는 흙먼지[土: 흙토]란 뜻이에요. 塵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塵埃(진애), 塵土(진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가을추, 글월문, 글장, 물들염, 티끌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色, 樂(    ), (    )埃, (    )學,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어보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秋水文章不染塵

 

 

 

 

자,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엔 사대부의 기상과 문장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주련을 보도록 하시죠. 오늘은 왼쪽 것만. '춘풍대아능용물(春風大雅能容物)'이라고 읽어요. '봄바람처럼 큰 아량은 만물을 포용할만 하도다'라고 풀이해요.

 

봄바람은 만물을 차별없이 소생시키죠. 그처럼 만상(萬象)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요. 사람 마음이라는게 천지를 수용할 만 하다가도 어느때는 바늘 하나 들어가기도 어려울만큼 좁아지지요. 기분의 진폭에 따라 마음이 좌우되지 않으려면 평소 부단한 연마가 없이는 불가능할거에요. 추사 선생의 도량이 어땠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 주련만 놓고보면 속좁은 분은 분명 아니었을 것 같애요.^ ^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볼까요? 봄춘(春) 바람풍(風) 큰대(大) 우아할아(雅) 능할능(能) 용납할용(容) 만물물(物), 춘풍대아능용물(春風大雅能容物). 春과 風은 전에 다루었어요. 나머지만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 ^

 

는 양 팔과 양 다리를 최대한 펼친 모습을 그린 거에요. 본래 '사람'을 의미했죠. 후에 '크다'라는 뜻으로 전용(轉用)됐어요. 양 팔과 양 다리를 최대한 펼친 모습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大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大小(대소), 大學(대학)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까마귀의 일종인 갈까마귀[隹: 새추]를 의미하는 글자였어요. 다른 부분은 검은데 복부는 흰 까마귀지요. 지금은 갈까마귀를 '鴉'로 표기하고, '雅'는 주로 우아하다란 의미로 사용해요. 우아하다란 의미는 갈까마귀의 나는 모습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어금니아)는 음을 담당해요. 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優雅(우아), 雅趣(아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곰을 그린거에요. 지금은 곰을 熊(곰웅)으로 표기하죠. '능하다'란 의미는 '곰'이란 뜻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곰은 보기보다 영리하고 힘도 세지요. ^ ^  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能力(능력), 可能(가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宀(집면)과 谷(골짜기곡)의 합자에요. 집이 사람을, 골짜기가 사물을 수용하듯이 대상을 용납(容納: 수용하여 받아들임)한다는 의미에요. 容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包容(포용), 容恕(용서)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容은 '얼굴'이란 뜻으로도 사용하지요. 얼굴이란 의미는 용납이란 의미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모든 것은 얼굴에 나타나잖아요? ^ ^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본래 잡색(雜色)의 소[牛: 소우]라는 뜻이었다. 이것이 잡백(雜帛: 여러 색의 비단)이란 뜻으로 확장되었다가 만물의 의미로까지 확장됐다. 勿은 음을 담당한다. 둘: 처음부터 만물이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만물 중 일상에서 보는 가장 큰 물체가 소[牛]이기에 이것으로 뜻을 삼은 것이다. 은 음을 담당한다. 둘 다 일리가 있죠? ^ ^ 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萬物(만물), 事物(사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큰대, 우아할아, 능할능, 용납할용, 만물물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事(     ), 優(     ), (     )力, (     )恕, (     )

 

3. 다음을 소리내어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春風大雅能容物

 

 

오늘은 요기까지~ 내일 뵈용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