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체, 예수의 13번째 제자 - 니체가 가장 만족한 저서 『안티크리스트』 거꾸로 읽기
김진 지음 / 스타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유퀴즈 다양한 종교인 편에서 목사님을
뵈었다. 이번에 출간된 '니체, 예수의 13번째
제자'를 읽으며 기독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요즘 기독교 애니메이션 '킹오브
킹스', 한국 케이팝 관련 애니메이션 데몬헌터스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이슈가 되고 있다. 물론
한국이 알려지는 것은 좋지만 콘텐츠를
분별해야 될 때가 분명하다.
많은 사람들이 보는 영화, 애니메이션, 책은
파급력이 크기 마련인데 각자의 생각이 다르듯
제작자가 전하려는 메시지가 정확히 무엇인지
파악해야 함은 매우 중요하다. 저자는 니체를 예수의
13번째 제자라 칭했다. 니체가 그만큼 신앙심이
깊고 세상을 예수 중심으로 살아왔을 거라
기대했지만 정반대였다.
니체의 마지막 저서에 가까운 '안티크리스트'는
기독교를 비판하는 내용이었고 니체는 자신이
쓴 저서 중 가장 만족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니체를 예수의 13번째 저자라 칭한 이유는?



개인적으로 니체의 책들을 몇 번 읽으려고
시도했지만 어려워서 읽다가 포기했었다.
저자의 책을 통해 안티크리스트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원수를 사랑하라는 예수님 말씀처럼
적그리스도적인 니체를 사랑하라는 뜻인가
초반에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읽다 보니 알겠다. 잔소리도 관심이 있어야
하고 증오가 사랑이라는 말이 있듯이 니체가
기독교를 비판한 이유를 보며 나도 공감이 되는
부분이 있었고 돌아보게 되었기 때문이다.
저자의 말처럼 신의 이름으로 행해진 모든
위선과 타락을 꿰뚫어 본 니체의 외침은, 오히려
더 진실한 신앙으로 나아가는 길목이 될 수 있겠다.
니체는 현실 기독교의 왜곡된 모습을 드려내며
예수의 삶과 사상의 정수를 전하려 애썼음을
알게 되었다. 니체는 '역사적 예수'를 사랑했고
그 예수 복음이 지닌 진정한 가치와 능력을
깨달았던 것이다.
'복음'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진정한 삶, 영원한
삶이 이미 그대들 안에 있다는 것이다. 사랑의 삶,
예외나 거절, 거리감이 없는 사랑으로서, 누구나
하나님의 자녀임을,, 30p
저자는 니체의 날카로운 비판 앞에 정직하게
맞서는 기독교만이, 진정 건강한 기독교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뉴스를 볼 때면 가끔 눈살 찌푸려
지는 기독교인 목회자들의 사건사고가 눈에 띈다.
특히 사이비 이단들이 판치는 요즘 세상 누구도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제는 전도도 대놓고
한다. 유튜브 알고리즘을 타고 들어가다 보면
AI 합성으로 만든 아주 이상한 메시지들도 많다.
종교가 자신의 사심을 채우는 도구가 되어선
안되는데 정말 신앙의 변질이 심각한 세상이다.
니체는 전통적인 기독교 집안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신학대학을 다녔지만 결국
자퇴했다. 기독교 신학과 성직 계급, 교회의
타락은 학문에 대한 열정, 공부와 토론, 자유로운
그의 사고에 걸림돌이 되었다.
니체는 역사적 예수를 사랑했고 그 복음이 지닌
능력을 알아차렸다. 그리고 '복음'을 다만 믿어서가
아니라 '복음답게 실천할 때 비로소 복음이 된다'
라는 위대한 복음의 핵심을 간파했다.
저자는 예수의 열두 제자가 예수의 복음을 전함으로
예수 신앙의 토대를 닦았다면 열 세 번째 제자는
기독교의 잘못된 토대를 무너뜨림으로 예수 믿음을
전한다고 말한다.
안티 크리스트를 읽어보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것을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저자가 중간중간 정리해
주는 내용들을 보며 알게 되었다. 기독교인으로서
피하지 말고 꼭 읽어봐야겠다. 문제 삼기 어려운
민감한 부분들을 문제 삼는 용기, 비난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 그의 넒은 혜안과
영감까지 정말 대단한 철학인인것 같다.
저자의 말처럼 니체의 외침을 피하지 말고
비껴가지도 말아야겠다. 니체의 기독교에
대한 비판을 많은 기독교인이 되짚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