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아름다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
최준식 지음 / 김영사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항상 '죽음'에 마주한다. 그러니까, 뭐 내일 갑자기 안타까운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는 말이 아니고, 아니 그런 면도 없잖아 있지만, 각종 매체에서 '죽음'이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뉴스에 종종 올라오는 사망 사고뿐만 아니라 문학이나 영화 같은 매체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것이 '죽음'이다. 죽음이라는 단어만큼 온갖 감정을 품고 있는 단어는 없다. '어떤 사람/캐릭터'의 죽음이냐에 따라서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도 제각각이다. 어떤 죽음에는 깊은 슬픔을 느끼기도 하지만 또 어떤 죽음에서는 통쾌함이나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이 죽음을 먼 발치에서 바라보는 것과 피부로 직접 느끼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매일같이 마주 해온 죽음의 상상과 실제는 다른 세상의 이야기니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실제로 죽음을 비교적 자주 접하게 되고 망자가 각자에게 어떤 존재였는가에 따라 이 또한 천차만별이지만 보통은 점점 감정이 무뎌지곤 한다. 그 무뎌짐의 이유는 삶의 무게가 죽음의 것보다 무척이나 무겁기 때문에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 볼 여를 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는 항상 존재하는데, 첫째로는 어른들의 말마따나 '언제 갈지 모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둘째로는 개인의 죽음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도 어마 무시하기 때문이다. 사후세계가 어떤 모습인지 상상해보자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마무리를 지어야 하는가를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는 일종의 가이드북이다. 보통의 가이드북들은 죽음 이전의 삶에서 겪을 수 있는 것들의 지침이지만 이 책은 죽음을 바로 앞둔 이들과 그 주변 사람들을 위한 길잡이다.


인간이 죽는다는 것은 '죽는' 사건 하나만 지칭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의 죽음은 수개월 혹은 수년 동안 이어지는 대단히 긴 과정입니다.


 이 책은 유언 작성부터 시작해서 숨을 거둔 이후의 절차에 이르기까지, 공손한 문체로 독자들에게 가슴 아픈 내용들을 던진다. 주로 임종을 앞둔 사람을 위한 정보들이 많은 편이지만 죽음이라는 것이 언제 다가올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들이라고 본다. 죽음에 대한 가치관을 제고하는 부분 역시 바쁜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듯싶다.


 저자는 집필 동기에서 죽는다는 것에 거부감을 갖는 것을 떨쳐내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죽음을 부정하거나 혐오하는 방식으로 외면하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결국 죽을 것이라는 걸 모두가 알고 있다. 어차피 다가올 것이라면 피하는 것이 아닌 맞이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나에게나 내 주위 사람에게나, 생각했다. 그런 맥락에서 저자가 연명 치료를 반대하고 당사자에게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는 말이 심히 와닿았다.  



 친할머니가 요양병원에 계셔서 격주로 될 수 있으면 찾아뵙곤 한다. 안타깝게도 할머니께서 총기가 떨어지셔서 내 이름이나 아버지-할머니 입장에서는 아들-을 구분하지 못하신다. 나는 찾아뵐 때마다 나를 기억해주시나 싶어서 이렇게 여쭤보곤 했는데, 이 말은 사실 할머니를 위한 것이 아니라 나를 위한 것이었다. 아직 할머니가 본문의 상황에 이른 것은 아니지만 어쩌면 병문안을 가면서 나는 무의식적으로 내 생각만 한 것 같아서 죄송스러운 마음이 들었다. 



 치열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와중에 죽음을 생각해보는 것은 쉽지 않다. 개인의 죽음이 주위 사람에게 끼치는 여파는 쉽게 헤아릴 수 없다. 사후세계가 어떤 모습인지는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각양각색이지만 현실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다시 삶을 이어나가야 한다. 그렇기에 더더욱 준비를 꼼꼼하게 해야 할 듯싶다. 삶의 매듭을 아름답게 맺기란 어렵지만 마냥 피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실은 아직 나에게 죽음은 먼 얘기 같다. 너무 늦기 전에 한 번쯤은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할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