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미디어 대표이지만 대만 ICT 산업의 후원자입니다.

상세한 내용과 생각해볼 점 등의 통찰이 재미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ICT 산업의 우위가 지속되길 바라는 분명한 입장을 갖고 쓴 책이라는 점은 명확합니다.

앞으로 AI시대의 반도체를 포함한 ICT 산업의 미래는 어떻게 전개될까요? 역사는, 비즈니스는 사람의 개입에 따라 달라지기에 이 책의 내용이 흥미롭지만 앞으로 지켜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종종 해법은 생각지도 못한 데서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만 ICT 산업의 전망이 밝은 이유는 게임의 룰을 좌지우지하는 미국은 비용 개념으로 공급망을 관리할 뿐이고, 중국의 약탈적인 비즈니스 모델은 앞으로 난관에 부딪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소비자의 인정을 최우위로 여기는 대만은 높은 신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선 작가가 그린 웹툰을 이제서야 보기 시작했어요.

«신림동 뱀파이어»를 먼저 보고 있어요.
웹툰에서는 단행본 만큼 관심을 받지는 못한 것 같아요.

새 만화를 기다립니다.


* 단행본으로 나온 만화는 여러 권 봤어요.
고양이를 좋아해서 번역한 만화도 봤구요.

** «신림동 뱀파이어»의 작가 후기가 인상적입니다. 결말에 대해 이러저러하게 적어놓은 내용에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 이미 디지털로 작업을 하고 있었군요. 채색이 들어가는 만화는 채색은 거의 디지털이고 앞 단계의 얼마만큼을 디지털로 하느냐인데, 요즘에는 전부 디지털로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아마도 «신림동 뱀파이어»를 그리던 시절과 요즘은 또 다를 것 같습니다만.

**** 펜 그림이 더 어울리는 작가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요즘의 웹툰은 그림체가 비슷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스토리만 다르지 그림은 유사하다는 생각이 드는 만화들이 있습니다.

단행본을 디지털로 그리면 말끔하지만 뭔가 아쉬움이 좀 있습니다.
«게임방 손님과 어머니»를 다시 보니, 신체의 선, 의상, 표정 등에 공을 많이 들여서 그린 것 같아요. 칸과 칸 사이에 담겨있는 시간도 좋습니다만, 웹툰은 그 특징을 살리기에 좋은 매체는 아닌 것 같아요. 옛 트위터나 인스타그램 만화가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행본은 2006년에 나왔고 2005년 가을부터 만화잡지 <윙크>에 연재됐다고 합니다.

다시 읽어도 재미있습니다.

기선 작가의 신작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이 만화를 보고, 작가의 다른 만화들도 챙겨봤던 기억이 납니다.
이번 주말에는 다른 만화들까지 챙겨봐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라에몽 12 - 개정완전판
후지코 F. 후지오 지음, 박종윤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뚝딱뚝딱.

진구의 그날 그날의 고민을 매번 진지하게 듣고
방법을 찾고 옆에서 함께하는 도라에몽.

만약 어린 시절에 이 만화를 봤다면 어땠을까요?

지금도 한편 한편 읽다보면 재밌고
절묘하게 균형을 잡아가는 마무리로
들뜨거나 불쾌하지 않습니다.

이슬이와 관련된 장면은 불필요하거나 선을 넘는 경우가 조금 있습니다만.

현실의 어떤 상황 때문에 상상을 하다가 실제로 일어나다가 허점을 찾아서 현실로 다시 돌아오는 전개가 재미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