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집 디자인 도감 - 천재 건축가들이 설계한 작은 집의 공간, 구조, 인테리어 ㅣ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미미 제이거 지음, 김예원 옮김 / 보누스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는 넓은 집이 좋기도 하지만『작은 집 디자인 도감』에 소개된 작은 집들을 보면 단순히
크기가 작다는 생각에서 오는 편견을 불식시키는 상당히 매력적이 집들이라는 점에서 어떻게 설계하고 디자인하는지가 참으로 중요하구나 싶은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책에 나오는 집들은 제목 그대로 작은 집이나 외관으로 봤을 때 과연 둘 이상이 살려면 너무
비좁지 않을까(어떤 집들은 혼자도 비좁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싶을 정도이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상당히 짜임새 있는 구성을 지니고 있어서
마법처럼 느껴지도 한다.


집은 사는 사람의 개성과 삶이 묻어나는 아주 친밀한 공간이다.
그래서 자신의 스타일대로 꾸미고 싶어하고 편의에 맞춰 더하기도 하고 빼기도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투리 공간이다 싶은 작은 땅 위에
효율적으로 건축한 사례를 어렵지 않게 만나볼 수 있는데 이 책은 작은 공간이기에 더욱 매력적일 수 있는 요소들이 가득한 집들을 소개한다.
평범함을 거부하는 외관이 주는 멋스러움도 작은 공간에 대한
편견을 불식시킨다는 생각이 드는데 각 작은집에 대해서는 위치와 이름, 면적, 평면도, 이렇게 건축하게 된 이유 등이 건축학적이 설명과 재료 사용
등과 같이 구체적인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전체 외관을 찍은 사진은 물론 내부 곳곳의 특이할만한, 또는 그 집은 장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사진으로 잘 담아내고 있으며 각 공간 활용에 대한 설명도 해놓고 있기 때문에 최근 치솟한 집값으로 인해 작지만 단독주택을 짓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건축 tip이 될 것도 같다.
주택가에 자리한 작은 집에서부터 숲속, 센 강 위의 선상 주택, 원래 있는 빌딩의 지붕 위에
있는 집, 기하학적인 외관의 집, 폭이 2.5m도 안되는 건물 사이에 끼여 있는 듯한 집, 트렌스포머를 연상케 하는 집, 뗏목 위의 오두막, 곧
허물어져도 이상할게 없어 보이는 숲 속의 벽돌집, 4도어 냉장고 같은 외관의 집, 아이들이 좋아할 것 같은 나무 위의 오두막 같은 집, 어디든
원하는 곳으로 이동이 가능할것 같은 집 등이 다양하게 소개된다.
발상의 전환이라고 불러도 될 것 같은, 이 책에서만 볼 수 있을것 같은, 그래서 너무 신기하게
느껴지기까지 하는 집들을 만나볼 수 있어서 건축이나 인테리어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인테리어
관련 tip을 얻을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