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의 배신]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노동의 배신 - '긍정의 배신'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워킹 푸어 생존기 ㅣ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배신 시리즈
바버라 에런라이크 지음, 최희봉 옮김 / 부키 / 2012년 6월
평점 :
중산층의 지위로서 아무런 불편도 모자람도 불안도 없던 그가 그 위치에서는 보이지 않던
투명한 계급으로서의 삶으로 풀쩍 내려간다. 그 세계에서 그는 관찰자로서 그저 탐색전만
펼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그 세계에 뛰어들어 그 세계의 사람이 되어보기로 한다.
이는 <긍정의 배신>으로 사회 양극화와 경제적 불평등과 빈곤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의 '긍정적' 태도와 사고로 치환시켜버리려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파헤쳤던 저자,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이야기다.
이번엔 <노동의 배신>이라는 책으로 돌아온 그의 '배신' 시리즈 2부작인 셈이다.
긍정에 이어 우리를 배신하는 것은 다름아닌 '노동'이다. 무슨 연유에서인가 하니,
저자가 2000년대 초반 미국의 노동시장에서 겪었던 노동경험이 적나라하게 이를 고발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노동에 대한 기본적인 것들-충분히 상식적인 수준의 것들-은 무시되고
잊혀진지 오래다. 그것도 무참히.
노동. 사람이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기 위하여 육체적 노력이나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
이 행위를 통하여 사람들은 그에 상응하는 댓가를 얻고 이를 통해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으며
삶을 살아간다. 노동과 삶은 이처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이 책에 드러난 그 세계 사람들의
삶과 노동은 그 연결고리가 부실하다. 제목 그대로 삶과 이어저야 할 노동이 삶에게 고하는
배신인 것이다.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을 거라는 당연한 명제는 이들에게 너무나 벅찬 기대다.
하루벌어 하루 먹고 사는 이들은 더 나은 노동환경을 위한 그들의 마땅한 권리를 제대로 누리지도 못한 채, 그들의 삶을 그러한 노동으로 매번 새롭게 적응시켜 나간다. 한마디로 그들에겐 그들의 삶을 더 나은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여유'가 없다. 그들의 노동은 그들의 삶을 야금야금 빼앗아간다 Nickel and Dimed.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더이상 힘쓸 힘이 없도록 그들의 노동은 에너지를 고갈시켜간다. 방관자 혹은 관찰자로서가 아니라, 체험자로서 그들의 노동과 삶에 뛰어든
저자의 르포르타주가 타당한 설득력이 느껴지는 것도 이 대목이다. 저자는 자신의 입장에서 그들을 생각하는 것을 넘어서서, 그들의 입장이 되어 그들을 생각하고 그들의 삶과 노동을 겪는다.
그리고 그들이 어째서 더 나은 노동환경으로 옮겨가지 못하는지를 분석해간다. 그곳엔 개인이 어찌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 결코 단순하지 않은 문제들이 얽혀있기에
읽는 이들은 씁쓸함을 더해가지만, 그럼에도 책장을 덮으며 약간의 희망 또한 조심스레 걸어본다.
그 누구보다도 열심히, 시간을 쪼개가며 일하지만 일하면 일할수록 가난함에서 벗어날 수 없는 그들, 워킹푸어. 그들은 자신의 건강과 가정, 삶을 포기하는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그들의 '갑'이 되는 주체들에게 '주고 또 준다'는 박애주의자라는 웃지 못할 이 표현은 어디에서부터 잘못된 것이며, 어디에서부터 고쳐나가야 하는 것일까.
소설만큼 흥미진진하고 에세이처럼 진솔한 이 책이 어느 순간부터 두렵고 무서워지고 있었다.
나도 이들이 될 수 있음을.
혹은 보이지 않는 이들의 손길과 희생으로 마음껏 누리고 사는 그들이 될 수 있다는 것.
이 둘 다 무섭고도 소름끼치는 일이다.
이 책을 쓴 저자도 결국은 자신의 원래 삶으로 돌아온다. 중산층으로서,
이들의 서비스로 이루어진 편리함과 안락함을 누리는 위치로 말이다.
그러나, 이 책의 숨은 주인공들은 여전히 노동의 배신을 매일같이 겪고 있는 삶을 진행중이다.
언젠가는 여기서의 삶을 끝내고 다르게 살 수 있을 거라는 기대는 이들에게 애초부터 허락되지 않았다. 어느 순간은 끝이 날 체험이 아니라, 그것이 그들의 '삶'이라는 사실이 이 책을 두렵고 무섭게 만드는 이유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