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화인지 아니면 작가가 만들어낸 이야기인지 아니면 실화와 창작물 그 사이에 어디쯤인지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이야기가 많습니다. 나는 실화라고 생각하며 읽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얼마든지 만날 수 있는 사람의 이야기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웹 디자이너 지혜 씨의 이야기로부터 시작해서 여러 가지 상황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끌어안고 살아가는 사람의 이야기가 빼곡합니다. 많은 이야기가 있다는 것은 책이 재미있다는 뜻을 가질 뿐 아니라 가독성 좋게 읽어나갈 수 있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사람의 속 사정을 읽고 들으면서 공감하게 되며, 나의 문제를 직시하기도 합니다. 얇고 쉽고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지만 상당한 무게감으로 다가오는 이유기도 합니다.
1장은 나 자신이 마음에 안 들었던 이유에 대해 살핍니다. 2장에서는 이런 문제가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3장에서는 불완전한 대로 잘 살아갈 수 있는 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많은 이야기와 그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밖에 없었던 각 사람의 가슴 아픈 인생 스토리가 담겨 있습니다.
결국 저자는 "자기 수용"이 나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첩경일 뿐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과도 좋은 관계를 맺고 살아갈 수 있는 지혜라고 제시합니다. 문제는 어떻게 나를 수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도 저자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 해결이라고 말합니다. 바꿀 수 없는 것을 억울해 하기 시작하면 결국 가면을 쓰거나, 분노하거나, 외면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현실을 부정하고 부인하고 외면한다고 해서 현실이 바뀌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 자기 수용의 첫걸음이란 뜻입니다. 맘에 안 들 수 있습니다. 몇몇 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 나면 자신이 살아가는 현실이 뭐가 그렇게 맘에 들겠습니까. 그러나 불평하고 원망한다고 해서 바뀌는 것 하나 없습니다. 불평하고 원망할수록 결국 망가지는 것은 자신일 따름입니다. 자신에 대한 삐뚤어진 생각으로 살아가면 자신만이 아니라 사랑하는 아내와 남편 부모와 자녀의 삶을 힘들게 만들 따름입니다. 더 나아가 친구와 이웃과 주변 사람과의 관계를 망가뜨릴 따름이지요.
우리는 있는 그대로의 나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속이 좁고 비좁은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나만 그런 사람이 아니라 우리 대부분, 절대다수, 압도적으로 많은 사람이 다들 문제가 있고, 속이 비좁은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그저 여러 가지 장치로 문제가 없는 척, 속이 좁지 않은 척할 따름이지요.
자신의 한계와 문제와 아픔과 현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가볍습니다. 남 눈치 보고 다른 사람의 시선에 나를 옭아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해는 금물 자기를 수용한다고 해서 그것이 자포자기나 자기합리화의 길로만 걷는 것은 아닙니다. 나의 현실을 인지하고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는 말은 지금 그 모습대로만 살아가겠다는 뜻은 아니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태도를 포함합니다.
지금 현실을 받아들이되 현실에 안주하거나 현실을 받아들이면서 폭력적인 길을 걷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현실을 인지하고 인정하되 대가를 지불하겠다는 태도와 현실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수용하되 더 나은 사람이 되려는 자신의 발판을 발견하겠다는 태도를 지향하고 가지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저의 언어로 바꾸자면 "건강한 자기 수용"이라고 말해도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