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그 비밀의 만트라 속으로 , 황엽

 

방금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넘겼다. 이 책은 황엽 시인의 티베트 불교 순례기이다. 그녀의 순례에는 간절함이 묻어난다.

저자가 한국에서 꿈을 꾸며 시달렸던 경험을 계기로 오직 꿈의 경험으로만 자신의 스승과 진정한 수행을 위해 한국을 떠난다. 그리고 엊갈림과 기다림 끝에 하나씩 길을 찾게 되고 드디어 자신의 꿈 속 이미지의 것을 만나게 되고 풀리지 않을 것만 같았던 실이 차츰 풀어진다. 그리고 드디어 수행의 길을 걷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생각했다. 나는 왜 이 책을 읽을까? 그것도 흥미로워 하면서? 티베트 불교를 순례하는 한 여성의 이야기에 나는 왜 매료당했을까? 나도 내가 의심스러웠다.

나는 히말라야의 한 동굴에서 몇 년씩 수행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며 황홀해할까? 작가의 사진속에 있는 수행자의 모습에서 나의 모습을 대입시켜본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넘기면서도 의문은 풀리지 않는다. 그러면서 나의 과거와 현재를 생각해본다. 내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나의 인생은 어디선가 무엇을 만나고 그 길로 아주 깊숙이 들어가곤 했다. 현재 나는 또 다른 무언가를 만났고 그 길로 들어가려고 준비 중이며 그 초입에 와있다. 나의 현재에서 이 책은 뭔가 울림이 있다. 아마도 아주 긴 시간이 지나서도 이 책의 저자가 만났던 스승들의 모습들은 지워지지 않을 것이다

(2015.8.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강의>를 읽으며 비로소 내가 가다가고 싶은 삶의 형태를 찾는다. 그리고 과거의 사건들에서 위안을 얻으며 미래로 나아갈 힘을 얻는다. 분명 저자 또한 감옥에서 고전을 읽으며 느껴던 것과 내가 이 책을 읽으며 느껴던 부분은 통하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너무도 잘 배운 책이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앎이 더 늘어나기보다 나는 모른다라는 앎이 한 겹 더 쌓인다. 하지만 그것이 너무도 즐겁다.

 

나는 한자를 활용하는 환경에서 자라지 않았지 때문에 한자, 특히 동양고전은 너무나도 멀리 있는, 갈 수 없는 장소라 느껴진다. 얼마 전 <논어>를 공부해지만 역시 혼자하기에는 너무도 어렵고 더 이상 공부를 지속할 힘이 생기지 않았다. 하지만 동양의 사고에 대해, 동양적 삶의 형태를 닮아가고 싶었다. 아이러니하게 나는 동양에 있으면서도 동양에서 너무 멀리 있다.

 

우연히 헌 책방에서 이 책을 발견했고 바로 집어 들었다.

사실 예전에 저자의 다른 책,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조금 읽어 본 적이 있었다. 하지만 당시의 나로서는 그 내용이 이질적이게 다가왔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이유는 내가 예전보다 많은 관계를 경험해서 일 것이다. 이 책은 줄곧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보다 생산적이고 전체적이며, 보다 가치있는 관계에 대하여. 비단 인간과 인간의 관계뿐만이 아니라 자연과 우주와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동양적 사고는 우리가 기존에 알지 못하고 지나쳤던 부분을 일깨워주기도 하고 우리가 생각했던 부분을 180도 다른 관점으로 해석한다.

 

책에서 내가 배운 것은 다양한 관점의 나열이 아니다. 저자의 삶에서 나오는 검소함과 수수함과 앎에 대한 욕구와 그에 따른 행동에서 감동을 받고 고개가 숙여진다. 나는 과연 이런 삶을 살 수 있을까? 다시 닮아가고 싶은 인생이 생겼다. 책만 읽을 때 마다 닮아가고 싶은 사람들이 생긴다.

(20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관에서 어슬렁거리면 책을 구경하던 중 청소년도서 코너에서 이 책을 발견하였다.

루소를 접하기 전에 좀 더 가벼운 문체로 루소를 접하는 것도 좋겠다 싶어 이 책을 집어들었다.

일단 저자는 인간 루소를 좋아했던 사람이고 루소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이었다.

나또한 이 글을 읽으면서 루소에게 매료되었다.

루소는 사상가 이전에 음악가였고 실천가, 과학자, 은둔자였다.

그의 삶에서 어떤 사상이 나왔고 그 사상이 인류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서 더 공부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지프 캠벨의 저서를 처음 만나건 잠시 같이 살았던 친구의 책상에서였다. <신화와 인생>이라는 캠벨의 강의 중 중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수록해 놓은 책이었다. 당시에는 신화라는 것을 단순히 옛날이야기로만 받아들였고 이야기를 내 삶으로 해석할 수 있는 상상력이 없었다. 당시에는 이 책이 지루하고 당연한 말만 늘어놓은 것만 같았다.

 

그리고 다시 조지프 캠벨을 만난 건 팟캐스트 벙커에서 있었던 고헤경박사의 강의를 듣고 나서였다. 당시에 나는 대학을 졸업하고 첫 일자리를 얻고 나와 내면과 현실 사이에서의 괴리감을 극복하지 못했다. 그때 고혜경박사의 꿈과 신화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나를 찾아가는 방법에 흥미를 느끼고 신화의 이야기가 단지 이야기로 그치지 않고 더 커다란 어떤 의미와 상징들로 가득 차 있음을 발견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를 위로할 수 있었고 나의 본성과 현실을 메울 수 있었다.

 

그리고 조지프 캠벨의 책들을 읽기 시작했다. <신화의 힘>, <신화와 인생>, <신화와 함께하는 삶>. 작년에는 캠벨의 산문과 인터뷰모음을 읽었다. 이 책들은 캠벨이 다소 일반인들에게 신화를 쉽게 소개하는 교양서이다. 캠벨의 비교종교학을 비롯한 비교신화학을 다룬 조금 더 전문적으로 다룬 책이 이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이다. 이것을 시작으로 더 깊이 있는 모음집이 <신의 가면> 시리즈이다. 현재 <신의 가면 - 원시 신화>를 읽고 있는데 신화의 원형을 다루는 범위가 상당히 방대하다.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이란 책은 교양서에 속하겠지만 쉽지만은 않다. 하지만 캠벨 특유의 할아버지가 어린 아이에게 들려주는 옛날이야기 같은 신화이야기의 문체는 변함이 없다.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할아버지에게 큰 칭찬을 받은 것 같이 뭔가 우쭐해지기도 한다.

(201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인호의 <>을 읽는다.

한국근대불교의 위대한 스님, 경허선사와 그의 세 제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을 읽기 전에 <유림>을 읽었고 내가 혹은 우리가 알지 못했던 우리에 대해서 알고 싶어졌다. 나를 혹은 우리를 이루고 있는 것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을까?

그것을 알기위해서는 동양식의 사고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었다. 시작은 이렇게 거창하진 않았지만 언젠가는 <유림>이라는 소설을 읽고 싶었다.

그로인해서 이렇게 <>을 읽었고 요즘은 <지구인>을 읽고 있다.

 

나는 수행자와 구도자의 삶을 존경한다. 이 소설에서도 그들의 삶에 존경을 표하고 조심스럽게 세상 밖으로 꺼내놓는다. 과연 현대의 세상에서 이렇게 구도자의 인생은 쓸모없는 일일수도 있고 어느 누구도 들으려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들의 삶이 우리에게 전하는 이 있다. 우리는 어디서 왔고 어디서 왔는지, 어디로 가야하는가? 이들의 삶이 이 질문에 답을 하지는 못하겠지만 보다 나은 답을 찾기 위한 범위는 좁혀주었을 것이다.

 

이 소설의 전작이라고 할 수 있는 <길없는 길>을 읽고 싶다.

  (20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