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사상가 몽테뉴(1533~1592)는 ‘에세’에서 세 가지 조건의 삶을 살아 보았다며 이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 첫 번째는 고정된 수입이 없어 타인의 결정과 도움에 의존해 이십여 년 가까이 살았던 삶이다. 돈을 쓰는 것이 운수소관이었던 만큼 즐거웠고 근심도 덜했다며 그보다 더 잘 살았던 적이 없다고 한다. 돈을 빌려 준 친구들이 몇 번이라도 변제 기한을 연장해 주었고 남에게 돈을 지불할 때면 어떤 쾌감을 느꼈다. 마치 어깨에서 귀찮은 짐을 내려놓는 것 같고 노예 상태에서 벗어나는 느낌이었다. 거기엔 올바른 행위를 하고 타인을 기쁘게 한다는, 우쭐해지는 약간의 만족감도 들어 있었다.
두 번째는 몇 해 동안 돈을 갖게 된 상태에서 삶았던 삶이다. 이때는 ‘갑자기 이런저런 사고가 생기면 어쩐단 말인가?’ 하는 헛되고 그릇된 상상 끝에 꾀를 내어 여분의 저축을 마련해 불시에 닥칠 수 있는 모든 불편에 대비하려 했다. 그러나 괴로운 염려 없이 지낼 수는 없었다. 여행이라도 갈라치면 충분히 준비한 것 같았던 적이 한 번도 없었고 게다가 돈을 많이 지니면 지닐수록 염려가 늘었다. 어떤 때는 길이 안전한지 두려웠고 어떤 때는 짐꾼들이 믿을 만한지 걱정되었다. 가방이 자신의 눈앞에 없으면 도무지 안심이 되지 않았다. 돈궤를 집에 두고 오면 성가신 의심과 상념이 숱하게 밀려드는데, 더 나쁜 점은 누구와도 그것에 대해 솔직하게 말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또 돈이 많다고 해서 지출이 덜 부담스러운 것도 아니었다. 재물을 모으는 것만 기꺼워 쓰지는 못하고 재물을 지키기에만 급급해졌다.
세 번째는 지출을 수입과 나란히 달리게 해서 어떤 때는 이것이 앞서고 어떤 때는 저것이 앞서는 삶이다. 비축해 둔 것이 많지 않아도 현재의 일상적 필요를 채우기에 충분한 것을 지니고 있음에 만족하여 즐겁고 잘 조절된 삶이었다. 이와 관련해 “구매 열정을 갖지 않는 것도 하나의 부요, 탐욕스레 사지 않는 것도 수입이다.”라고 했던 키케로의 말을 인용한다. 늙은이들 사이에 흔한 병, 인간의 모든 어리석음 중에서도 가장 어리석은 ‘재물에 대한 욕심’에서 해방되었다는 것에 고마움을 느끼기도 했다.
세 가지의 삶을 열거하면서 몽테뉴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여유와 궁핍은 각자의 견해에 달렸다. 부도 영광도 건강도 그 소유자가 그것들에 부여한 만큼만 아름답고 즐거운 것이다. 각자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 행복하거나 불행한 것이다. 행복할 것이라고 여겨지는 사람이 행복한 것이 아니라, 자기가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행복하다. 바로 그럴 때에만 믿음이 알맹이를 갖게 되고 현실이 된다.(137쪽)
근심하거나 신경 쓰지 않고 자기 가진 것으로 넉넉히 충당할 수 있을 만큼 자신의 필요를 딱 알맞게 조절한 사람, 지출이나 돈 모으기 따위에 방해받지 않고, 자기에게 더 적합하고 더 편안한 다른 일들을 마음이 원하는 바에 따라 추구할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하도다.(137쪽)
미셸 드 몽테뉴, <에세 1>
글을 읽고 나서.................
우리 속담에 재물을 잃은 것은 작은 것을 잃은 것이고 벗을 잃은 것은 큰 것을 잃은 것이라는 말이 있다. 훌륭한 벗은 그 어떤 재물과도 비길 수 없는 존재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지만, 재물이 크게 중요하지 않음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부자일수록 근심은 더 많다는 속담도 있다. 부자는 아무 근심도 없는 것 같지만 그 생활 속을 들여다보면 오히려 가난한 사람보다도 더 근심거리가 많다는 말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빈자로 사는 것보다 부자로 사는 것이 훨씬 낫다. 그러나 나는 돈이 많은 부자가 되기보다는 여유로운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시간 부자’, 마음이 편안한 ‘마음 부자’가 되고 싶다. 마음이 편치 않거나 시간에 쫓기며 사느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고 사는 부자는 되고 싶지 않다.
....................
추석 연휴를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여유와 궁핍은 각자의 견해에 달렸다. 부도 영광도 건강도 그 소유자가 그것들에 부여한 만큼만 아름답고 즐거운 것이다. 각자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 행복하거나 불행한 것이다. 행복할 것이라고 여겨지는 사람이 행복한 것이 아니라, 자기가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행복하다. 바로 그럴 때에만 믿음이 알맹이를 갖게 되고 현실이 된다.(137쪽)
근심하거나 신경 쓰지 않고 자기 가진 것으로 넉넉히 충당할 수 있을 만큼 자신의 필요를 딱 알맞게 조절한 사람, 지출이나 돈 모으기 따위에 방해받지 않고, 자기에게 더 적합하고 더 편안한 다른 일들을 마음이 원하는 바에 따라 추구할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하도다.(137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