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괜찮은 거 맞아?" - P214

원경이 고개 숙인 신오를 힐끗 보더니 다시 말을 이었다. - P215

. 신오는 그 안으로 끌려들어갈여다보았다. 신오는 이 여자들을 전혀 알지 못했다. 이들은 모두살아남은 사람들이었다. 자신은 그렇지 못할 것 같다는 예감이들었다. 신오는 깊은 구덩이에 빠진 듯한 외로움을 느꼈다. - P217

다른 것, 다른 것을 발견해야 한다. 반짝이지 않는 것. 금과 정반대에 있는 것. 뼈가 떠올랐다. 우르르 쏟아지는 뼈들. 샤워를 끝내고 급히 파일을 다시 열어서 우선 마지막 장면을 모두 지웠다.
그리고 다시 쓰기 시작했다. - P209

L불행과 불안의 근원을 파악하는 것은 가능할까? - P221

「원경」은 인물들 간의 배제적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불안을 새정의한다. 이때의 불안은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듯 억압된 욕망의귀환이나 과거의 나쁜 기억이 현재로 침투하는 일 등에서 비롯하지 않는다. 소설에 따르면 불안은 아직 실재하지 않는 미래의가능태들이 현실을 지배할 때 주체가 느끼는 하나의 상태다. 「원경」에서 그것을 추동하는 가장 큰 힘은 인물의 말과 상상력이다. - P227

). 불안과 위기에 맞서는 그녀들의 방법론은 가능태가 현실태를 압도하는 신오의 방법론과는 정반대로,
현실태로부터 가능태를 생성해나가는 쪽을 향해 있다. - P2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시작을 중단하지 않았다."
이 말은 이렇게 읽힌다.
"나는 어떤 슬픔 속에서도 삶을 중단하지 않았다."

나는 세계에 꼭 들어맞지 않는다포기하지 않는 읽기

우리는 다르게 사유할 뿐만 아니라다르게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한테 쓰레기처럼 버려진 산에 이렇게 멋진 집을 지어버린거. 가족들이 여길 어떻게 오겠어." - P206

-나이모님 댁 앞이야. - P206

"집은 다 탔어요?"
신오가 묻자 이모님은 한숨을 쉬었다. - P209

"너 묻을까봐 겁나?"
"저요?"
"네가 찼다며. 우리 원경이." - P211

"근데 땅은 왜..
"보살님이 보셨대. 땅에 금괴를 묻는 거."
"금괴?"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처럼 모든 것이 고갈되고 도래할 새로움의 충격을 상상할 수 없을 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패스티시와 복고주의이다. 3) 패스티시는 패러디의 일종으로 ‘짜깁기‘를 말한다. - P1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야지. 무조건 가야지 - P174

[언니 꽃다발 사갈 거예요? 총대가 돈 걷자고 하던데요) - P174

감독님, 영화 정말 잘 봤습니다. <안타고니스트>는 각 장마다다른 화면비가 사용되었잖아요? 저는 그걸 통해 감독님이 말하고자 하는 게 인간의 가변성인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게 너무탁월하다는 생각도 들었고요. - P176

영화를 잘 아는 분 같아요 - P176

지독하고 뜨겁고 불온하며 그래서 더더욱 허무한, 어떤 모럴떨쳐내고 싶지만 그럴 수 없었다. 이제는 얼굴조차 기억나지 않는 누군가의 말처럼, 이미 일어난 일은 없던 일이 될 수 없으니까. - P184

내가 좋아하는 건 그들의 작품이지 인격이나 삶이 아니라고 합리화하기도, 판단을 유보하기도 하지만 피해자의 항변과 명칭한사실로부터 나는 늘 자유롭지 못하고 그래서 더 복잡해진다. - P186

그러나 어떤 사랑은 푹 젖어도 찢어지지 않고 도리어 곤죽처럼질퍽해진다. 사랑이고 죄의식이고 찬미고 경멸이고 죄다 흡수해종내 원형을 알 수 없는 상태로. - P187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개인의 취향이란 순수한기호나 선호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만들어지는 계급적 구별 짓기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고급문화와 저급문화 중무엇을 향유하는지에 따라 예술적 취향이 구분되며, 취향은 각각의 사람들이 어떤 계급에 속해 있는지를 보여준다. - P189

내가 타인의 고통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인가, 의심도 들었다. 나는 김곤이 혐오스럽지 않았다. 오히려 안쓰러웠다. - P191

그건 언젠가 느껴본 적 있는 감각이었다. 죄의식을 동반한 저릿한 쾌감. 그 기시감의 정체를 깨닫기까지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183~184쪽) - P193

건강검진을 12월 마지막주까지 미루는 사람이 자기 말고도 이렇게 많으리라고 신오는 생각지 못했다. - P197

"환자분, 요새 아무리 생존율이 높아졌다지만 암이 우스우세요?" - P199

잔인한 범죄,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 뉴스에 과하게 방어적으로 반응하지도 않았고, 어떤 드라마나 특정 배우에 지나치게 몰입해 신오를 당황하게 하지도 않았다. 이런 사람이라면 함께 살아도 좋겠다고 신오는 생각했다. 누구를 만나면서 처음 해본 생각이었다. - P200

정말 기꺼운 마음으로 원경을 돌볼 수 있을까? 원경의 병을 지겨워하지 않을 수 있을까? 유전자 문제로 발생하는 암은 끈질기고 예후가 좋지 못하다는 것을 신오는 알고 있었다. 이런 상상을 해버린 이상 원경과 관계를 계속 이어갈 수는 없었다. - P2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