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영사 ㅣ 문지 스펙트럼
마르그리트 뒤라스 지음, 최윤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3월
평점 :
지독한 무더위의 인도 켈케타, 곧 다가오는 계절풍과 철책으로 분리된 사람들. 뒤라스의 문장은 시가 그렇듯 음악적 요소를 지녔고 질식할듯 단조롭고 외로운 선율을 떠올린다. 분절된 문장은 멈춰 세우고 분절된 철책은 넘나들게 하며, 그녀의글은 길을 잃지 않기 위해 애쓰면서도 그 과정의 몰입과 흥미를 놓치지 않는 미로와도 같았다. 자주 길을 잃었고 되돌아갔으며, 그 때마다 새로운 이야기를 만났다.
그 동안 읽은 모든 책을 통틀어 인물을 탐구하는데 전체 페이지를 할애한 적은 처음이었다. 끊임없이 궁금했다. 복중 태아에게 잠식당하는 한 소녀의 끝없이 이어지는 걸음의 이유가. 결국 혼자 남겨져 문둥병자들 속에 뒤엉켜 이름조차 부여되지 못한 채 본능만 남겨진 자신의 삶을. 또한, 철책 안 사람들에게 외면받는 프랑스 부영사의 지난 날과 그만의 광기, 울부짖음에 대해. 그리고 사랑을 말하는 그를.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어떻게 서로에게 엮이는지, 도대체 어떤 인간인지 알기 위해 모든 페이지를 탐독했다.
철책 안밖의 풍경은 극명하다. 걸인과 문둥병자들이 머무는 철책 밖과 보호를 받으며 철책 안에 머무는 백인들은 같은 땅을 밟고 있지만 철저하게 분리되어 다른 삶을 산다. 철책 안 부영사와 철책 밖 소녀의 영역은 다를지라도 자기 삶의 무력감, 공허함, 통제가 어려운 본능(사랑과 식욕)과 같은 점에서 유사하다. 부영사가 사랑에 빠진 대사의 부인도 마찬가지다. 위 인물들은 대체로 신경쓰지 않는다. 내버려둔다. 외로움과 슬픔에 세워진 자신을 알지 못한다. 혹은 알려하지 않는다.
카키색 군복의 보초들이 보호하는 안-마리와 사람들의 두려운 눈길을 받는 고독한 부영사, 불임이 된 소녀였던 이름 없는그녀까지도 애처로웠다. 부영사가 그녀를 슬픔으로 이해할 때, 나는 부영사를 슬픔으로 바라봤다.
“나는 인생을 가볍게 생각해요.” 그녀는 손을 빼내려도 애쓴다. “그것이 내가 하고 있는 일이에요. 모든 사람이 옳아요. 내게는 모든 사람이 완전히, 온전히 옳아요.” (p164)
“부영사의 인도는 고통스러운 인도인가요?”
“아니요, 그는 그렇지조차 못해요.”
“그렇다면, 그 대신 그에게 무엇이 있을까요?”
“아무것도.” (p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