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에 와 닿는 글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테에게는 베아트리체가 있었고, 기독교에는 성모 마리아가, 불교에서는 관음보살이 있었다면 동양신화에서는 서왕모(西王母)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서왕모는 초기의 죽음의 신에서 생명의 신으로 변화고 마침내 미의 여신으로 변하게 되는데, 초기의 서왕모는 다소 살벌하게 묘사되어 있다. <산해경>에 따르면 반인반수(半人半獸)의 모습을 한 여신으로 나타난다. 그녀는 중국의 서쪽 끝에 있는 신령스러운 곤륜산(昆侖山)의 정상에 있는 요지(瑤池)라는 아름다운 호숫가에 살고 있다고 하기도 하고, 옥산(玉山)이라는 곤륜산의 한 봉우리에 살고 있다고도 했다.

곤륜산(昆侖山·崑)은 중국의 전설에서 멀리 서쪽에 있어 황허강[黃河]의 발원점으로 믿어지는 성산(聖山)으로, <산해경>에서는 '서해(西海)의 남안, 유사(流沙)의 언저리, 적수(赤水)의 뒤, 흑수(黑水)의 앞에 큰 산이 있는데 이름하여 곤륜산이다’라고 되어 있다.

 

그녀의 용모는 사람과 비슷하지만 표범의 꼬리에 호랑이의 이빨(虎齒)를 지녔으며, 쑥대머리(蓬髮)에 비녀(華勝)을 꽂고 휘파람도 잘 불고 다녔다고 한다. 

 

그녀의 시중꾼들은 곤륜산 서쪽 삼위산(三危山)이라는 봉우리에 살았는데 인간이 아니라 세 마리의 파랑새(靑鳥)가 있었는데 주로 서왕모의 음식을 조달하는 일을 맡았으며, 세발 달린 새가 한 마리 또 있었는데, 이 새는 그 밖의 잔 심부름을 도맡아 했다.

 

서왕모는 과연 그 모습답게 하는 일도 살벌하기 그지 없었다. 그녀는 하늘에서 내리는 재앙과 돌림병과 같은 무시무시한 일들과 더불어 코를 베거나 손발을 자르는 등의 다섯 가지 잔인한 형벌에 관한 기운을 관장하는 여신이었던 것이다.

 

왜 서왕모는 이렇게 살벌한 일을 담당하는 여신이 되어야만 했을까? 그것은 고대 중국에서 서쪽이 지니는 상징적인 의미 때문이다. 서쪽은 동쪽과는 반대로 해가 지는 곳으로서 어둠과 죽음의 땅이다. 그래서 재앙과 형벌 등 죽음과 상관된 일들을 서쪽의 여신 서왕모가 맡게 된 것이다.

 

그러나 서왕모는 음산한 죽음의 여신만은 아니었다. 죽음을 관장했기에 그녀는 죽음을 극복할 수 있는 힘, 곧 영생과 불사의 능력을 지닌 생명의 여신으로도 아울러 간주되었다. ‘산해경’에 의하면 서왕모가 살고 있는 곤륜산에는 불사의 열매가 열리는 나무(不死樹)가 자라고 서왕모가 그 주인이었다. 서왕모는 이 불사약을 아홉 태양을 쏜 활의 신이며 항아(嫦娥)의 남편인 예(羿)에게 주기도 한다.

 

후기로 갈수록 죽음과 생명의 여신 서왕모는 미의 여신으로 거듭난다. 주(周)때 목왕(穆王)이라는 임금이 여덟 필의 준마가 이끄는 수레를 타고 서쪽으로 여행을 떠나 곤륜산에 머물다. 젊고 예쁜 여신 서왕모를 만나 사랑에 빠져 고국에 돌아갈 일을 잊었다 한다.

 

그리고, 동왕공(東王公)이라는 남편 신을 두게된다. 이것은 처녀신이었던 여와가 후일 복희(伏犧)와 부부관계에 놓이게 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가부장적 관념의 침투가 가져온 결과이기도 하고 음양오행설에 의해 짝을 맞추려는 의도의 산물이기도 하다.

 

서왕모의 열렬한 팬은 한무제(漢武帝)였다. 기원전 4, 5세기경에 이루어진 작자미상의 소설 ‘한무제내전(漢武帝內傳)’에 의하면 한무제는 사당을 짓고 치성을 드리는 등 갖은 노력을 다하여 서왕모의 강림을 기원하였다.

한나라 때의 서왕모

*시중꾼이 세 마리 파랑새가 주위에 있다

산동성의 한나라 화상석에서...

 

지성이면 감천이었던지 마침내 칠월 칠석날 서왕모가 아홉가지 빛깔의 용이 끄는 수레를 타고 천상에서 내려왔다. 그녀는 삼십 세쯤 되어 보이는 미녀였고, 두 명의 예쁜 시녀가 모시고 있었다. 아마 이 시녀들은 앞서의 파랑새들이 변신한 것이리라.

 

한무제가 불사약을 간청하자 서왕모는 불사의 복숭아(仙桃)를 내려 주었다. 이 선도는 서왕모가 관리하는 반도원(蟠桃園)이라는 복숭아나무 밭에서 딴 것으로 이곳의 복숭아 나무는 3천 년 만에 꽃이 피고 다시 3천년 만에 열매를 맺으며 그것을 한 개라고 먹으면 1만8천 살까지 살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서왕모는 이 선도를 주면서 한무제 곁에 있는 동방삭(東方朔)을 보고 그가 몇 차례나 자신의 궁궐에 와서 복숭아를 훔쳐갔노라고 책망한다. 원래 동방삭은 별의 정령이었는데 잠시 인간세상에 와서 한무제의 신하 노릇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먹어 오래 오래 살았기에 “삼천갑자 동방삭“이라는 말이 유행하게 되었다.

明나라 吳偉의 동방삭투도도(東方朔偸桃圖)

 

서왕모에 대한 숭배는 이후 당(唐)대에 이르러 다시 한번 크게 일어났다. 이 때에 서왕모는 주목왕이나 한무제 같은 고귀한 신분들이나 만날 수 있는 숭고한 존재가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도 그녀를 통해 소원을 이룰 수 있는 보다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를 받는 여신으로 변모해 있었다. 시인들은 공공연하게 그녀에 대한 연애감정을 노래하기도 했고, 그녀를 사랑의 여신으로 찬미하기도 했다. 세 마리 파랑새 역시 이 때에 사랑의 메신저로서 애정시에 자주 등장하였다. 서왕모는 당시(唐詩)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조선시대 시인들의 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요지연도(瑤池宴圖),

조선시대, 경기대학교 박물관

 

도연명은 자신의 소속한 바람을 서왕모에게 이렇게 노래했다.

 

훨훨 나는 세마리 파랑새,

털빛도 기이하고 고와라.

아침에는 왕모님 시중 들고,

저녁이면 삼위산엘 돌아오지.

나는 이 새들을 통해,

왕모님께 드릴 말씀이 있다.

사는 동안 달리 바랄 것은 없고,

그저 술 있고 오래 살았으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2-03-22 1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헤라 여신이나 비너스 여신을 잘 알아도 서왕모를 아는 분들은 드물지요.중국 신화를 읽지 않으면 잘 모릅니다.저도 산해경을 보고서 처음으로 서왕모를 알게 되었어요^^

후애(厚愛) 2012-03-24 00:39   좋아요 0 | URL
저도 서왕모응 몰랐는데 시대물 로설을 읽다가 알게 되었다.
검색을 해 보니 많은 정보가 있는데 이것만 골라서 올렸어요.^^
 

이건 정말 아니다... 오바마가 대통령이 되기 전부터 미국 경제가 안 좋았는데 왜 오바마 대통령 탓을 하는가 말이다.

아래 사진을 보고 어찌나 화가 나던지... 옆지기도 마찬가지...

Renig Bumper Sticker

A photograph of a bumper sticker that features racist, anti-Obama language has gone viral on Facebook and other social networks.

The sticker reads "Don't Re-Nig In 2012," in large white type, above smaller text that reads: "Stop repeat offenders. Don't re-elect Obama!"

The offensive design appears to have originated at a site called Stumpy's Stickers, where it can be purchased. The site sells variations on the same idea, including another "Don't Re-Nig" design featuring a caricature of a black man's face with a missing tooth, a picture of a chimp that reads "Obama 2012," and another with a drawing of several Ku Klux Klan members that reads "The Original Boys In The Hood."

Racist Anti-Obama Sticker: "Obama '12"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2-03-18 1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19 01: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19 20: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름지기 살아간다는 것은
가득 채워져 더 들어갈 수 없는 상태가 아니라

비워가며 닦는 마음이다.

 
비워 내지도 않고 담으려 하는 욕심, 
내 안엔 그 욕심이 너무 많아
이리 고생이다.


언제면 내 가슴 속에
이웃에게 열어 보여도 부끄럽지 않은
수수한 마음이 들어와 앉아 둥지를 틀구
바싹 마른 참깨를 거꾸로 들고 털때
소소소소 쏟아지는 그런 소리 같은 가벼움이
자릴 잡아 평화로울까.

 
늘 내 강물엔 파문이 일고
눈자국엔 물끼 어린 축축함으로
풀잎에 빗물 떨어지듯 초라하니
그 위에  바스러지는 가녀린 상념은
지져대는 산새의 목청으로도
어루만지고 달래주질 못하니
한입 베어 먹었을때
소리 맑고 단맛 깊은 한겨울 무우,
그 아삭거림 같은 맑음이
너무도 그립다.


 
한 맺히게 울어대는 뻐꾹이 목청처럼
피 맺히게 토해내는 내 언어들은
죽은 에미의 젖꼭지를 물고 빨아내는
철없는 어린 것의 울음을 닮았다.


볼 수 있는 것과
볼 수 없는 것이
곧 나다.

 

 
육체 속에
영혼 속에
수줍은 듯 숨어 있는 것도
역시 나다.
 

나를 다스리는 주인도
나를 구박하는 하인도
변함없는 나다.
 
 
심금을 울리는 하나의 목소리
하나의 외침, 외침들
그것도 역시 나다.
 

나를 채찍질 하는 것도 나요,
나를 헹구어 주는 것도 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