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흑설공주 이야기 ㅣ 흑설공주
바바라 G. 워커 지음, 박혜란 옮김 / 뜨인돌 / 2002년 8월
평점 :
요즘 사람들은 충분히 매력적인 외모인데도, 성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이유로
‘있는 그대로의 자신 모습’을 사랑하려 노력하기를 금방 포기해 버리는 것 같다.
맘에 안 들면 고치면 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현대인들에게 결핍된 것은 ’내면의 미’이다. ‘내면의 미’란 한마디로 성품이다.
예쁜 것만 좋아하기보다, 미운 것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포함한 올바른 성품.
그런 성품을 가진 이들은 왕자의 유리구두 없이도 자연히 행복해질 수 있다.
<흑설공주 이야기>는 페미니스트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동화들을 묶은 책이다.
작가는 ’왕자가 아름다운 공주와 결혼해 행복하게 살았다’는 내용이 대다수인 기존 동화를 비판한다.
그 유명한 백설공주도, 신데렐라도 인간미보다 미모로 왕자에게 어필한다.
작가는 그런 내용들이 아이들에게 ‘외모’를 최고 가치로 여기는 사고방식을 심어준다고 주장한다.
’맘에 안 들면 무조건 성형’이라는 생각이 판치는 현대 사회에서,
작가의 이러한 의식은 큰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 우리는, 이런 작가가 쓴 책에는
당연히 외모보다 ‘내면의 미’가 돋보이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있을 것이라 기대하게 된다.
하지만 웬걸, <흑설공주 이야기>에는
그런 기대를 저버리는 여인들이 적잖이 등장하여 떫은 뒷맛을 남겼다.
책의 존재 의의를 완전히 부정해 버리는,
딸들이 보고 따라했다간 큰일 날 여인들이 다수 등장한다.
외모지상주의에 빠져 있거나 배려심이 부족한,
또는 그릇된 도덕적 판단을 하는 주인공이 행복을 얻는 이야기에서
딸들이 배울 만한 것이 과연 있을까 싶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에 제시된 여성상이 모두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못난이와 야수>의 못난이는 작가의 주제의식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가족을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야수의 소굴로 들어가는 고운 마음씨는
‘내면의 미’라 말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벌거벗은 여왕님>의 여왕 또한 현명한 처신을 보여준다.
자신이 알몸으로 행진한 망신스러운 상황을,
모두가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된 좋은 계기로 여겼을 뿐 아니라
자신에게 망신을 준 재단사들을 처벌하지 않고 자기 사람으로 만드는 너그러움을 보여주었다.
<늑대 여인>의 루파는 다친 늑대를 보고 늑대라는 사실에 공포를 느끼기보다,
치료해줘야겠다는 마음을 먹는 착한 아가씨이다.
내면이 아름다운 사람은 어떻게 행동하는지,
또 그렇게 행동함에 따라 어떤 행복을 얻는지를 얘기하는
이러한 작품들을 많이 담고 있어야
책의 부제대로 ’세상의 모든 딸들을 위한’ 책이 되는 게 아닐까?
아쉬운 여인들도 많이 등장했지만, 몇몇 좋은 여인들의 동화들이 실려 있으니
여전히 이 책에 페미니즘 동화의 희망은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