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두대간 민속기행 1 - 사라져가는 옛 삶의 기록, 최상일 PD의 신간민속 답사기
최상일 지음 / MBC C&I(MBC프로덕션)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한반도의 가장 크고 긴 산줄기로 우리 영토의 등뼈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그렇기에 우리 선조들과 민족의 정기가 고스란히 스며들어 있는 곳이기도하다. 아픈 역사가 공존하고 살아왔던 고된 이력들이 남아있는곳, 하지만 지금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외면을 받는곳 그곳의 기록들을 이렇게 만날수 있었음에 우선은 감사하게된다.
가끔 라디오를 듣다보면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라는 멘트와 함께 할머니 할아버지의 구성진 음성으로 들려오던 낯선 민요들이 있었다. 지금 세대와는 너무 맞지않는듯 무심코 지나쳤건만 오랜 시간이 지나도 귓가에 맴돌던 가락들 그것이 바로 우리의 소리였기 때문이었나보다. 갈수록 그 맛이 기억나고 막상 하려하면 생각나지 않아도 흥얼흥얼 거려지는 가락과 리듬만은 여전히 살아있었다.
이 책은 그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최상일 라디오 PD가 손수 발로 뛰며 찾아낸 이야기였고 십여년에 걸쳐 만났던 할머니 할아버지들의 이야기였다. 총 2권으로 구성된책중 첫번째 이야기로 지리산에서 시작된이야기는 추풍령으로 이어지고, 속리산에서 소백산까지 다시금 펼쳐진다.
어찌 이곳을 다 다녔을까 감탐스러울만큼 각 구간을 직접 걸으며 기록한 지리적, 역사적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해 놓은 글 속에는 마을별로 현지 사람들과 나눈 대화가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지금은 많은 이들이 떠난곳 예전엔 6.25라는 큰 사건으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떠나야만 했던곳 그 골짜기 골짜기 마다 사연많은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그곳을 지키고 계셨다.
하지만 적나라하게 드러난 현재의 모습을 보노라니 과연 그곳이 언제까지 이런 모습을 안고있을까라는 안타까움을 안겨준다. 먹고살기 힘들때 사람들은 자연속에서 음식을 구했고 살아갈 방도를 찾았었다. 하지만 민족분단의 아픔을 안겨준 6.25라는 전쟁은 그 많은 사람들을 내 몰기도 했었다. 그래서 많은 이야기가 단절된곳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민속적 모습들을 여전히 안고있는곳이기도했다.
백두대간이라는 등줄기속에서 산을 안고 사는 사람들이기에 그들이 지켜온 민속풍경들은 엄연히 존재했다. 그리고 노곤한 삶을 풀어주었던 민요들, 그 모든것들이 있어 더욱 정겨웠던 우리 풍속들임에도 불구하고 낯설게만 느껴지는 민요들은 그 노래가 그 노래인듯 느껴지기도하고 1년에 2번이나 3번씩 지냈다는 산신제는 잊혀져간 옛 모습에 불과했지만 그것을 찾아내고 정리해준 사람이 있음은 참으로 감사하기만하다.
그렇게 긴 산줄기를 찾아 찾아든 마을에서 만난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의 이야기는 너무도 살가웠다. 맞아! 이것이 우리의 모습이었어하며 글속에서나마 사진속에서만의 만남이었지만 반가운 마음이 지극해온다. 어떻게 이토록 긴시간동안 직접 대면하고 들은 이야기를 들을수 있단말인가? 소중한 인연들과 이야기가 마냥 감사하기만했다. 참으로 소중한자료 의미깊은 이야기들을 만날수있어 더없이 좋은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