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막걸리, 넌 누구냐? - 색깔 있는 술, 막걸리의 모든 것
허시명 지음 / 예담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언제부터인간 우리의 것은 나쁜것이요 남의것은 좋은 것이란 생각이 뿌리깊게 박힌듯하다. 아마도 일제식민지의 영향이 아닐까?. 전통을 고수하다 된서리를 맞았던 아픔,그래서 모든것을 갈아 얻고싶었던마음은 새로운것에 대한 동경을 하고 옛것에 대한 부정심을 박아 놓은듯하다. 그래서 없어진것도 잊혀진것들도 참으로 많다, 안타까운 역사만큼이나 속상한 일들이다.
그렇게 잊혀지고 무시당했던것중 하나가 막걸리였는데 작년즈음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있다. 하지만 이것도 알고보면 우리의 자체적인 힘보다는 일본 여성들이 다이어트 음식으로 많이 애용하며 인기를 끌고있다는 후광덕분인듯하여 조금은 씁씁해진다. 그러거나말거나 시작이 어찌되었든간에 그것이 계기가 되어 우리의 것을 잘 찾아가게되면 좋은 일이다 싶어진다.
어린시절 평범한 농부의 딸이었던 나는 막걸리 심부름을 많이도 했었다. 일에 지칠즈음 휴식을 부르던것, 다른 심부름과 달리 그리 싫지 않았던 부름, 주전자 가득 술을 받아보며 찔끔찔끔 마시던 술맛이 참으로 좋았었다. 그렇게 막걸리는 농촌에서 어른들에게도 아이들에게도 술이 아니었다. 힘든시간을 함께했던 음료였고 가족을 떠올리게 만드는 아름다운 추억이었다.
그렇게 정겨운 모습으로 막거리를 조우하려 이 책을 찾아들었는데 정작그렇게 여유롭지만은 안했으니 참으로 진지했다. 오랜 우리의 풍습이 담겨있고 막거리문화가 담겨있는 전통과 삶이 고스란히 스며든 우리삶의 본질이었다. 그리고 쇠락의 길을 걸었던 이유와 아픔들 그것이 반전되어 새로운 문화로 만들어 가려는 노력들까지 막거리에관한 모든것이 총망라된 백과사전이요 앞으로 우리가 지켜야할 문화적 노력들이었다.
막걸리하면 가난하고 고단한 서민들의 대표 주류였는데 알고보니 고급 술이다. 와인과 맥주에 밀린채 노점삼에서 가난한 이들이 쪼그려 앉아 마시는 탁배기로만 알았었는데 아주 잘못된 편견이었다. 힘든 노동을 완화시켜주고 밥대신 간단한 요기가 되어주고 어른들을 봉양할때도 제격인 막걸리가 시금털털한 맛을 벗고 달보드레한 새로운 옷을 입었든 우리들의 사고도 이젠 바껴야했다.
그 막걸리의 주원료는 누룩과 쌀이었다. 그 재료만 봐도 고급술임이 자명해지건만 그동안 왜 그렇게도 무시했을까? 포도로 만든 와인, 보리로 만든 맥주에 비해 월등히 좋은것임을 이젠 정말 잊지말아야겠다.
막걸러서 막걸리요, 탁해서 탁주, 힘든 전쟁시절 피난민들의 시름을 달래주던 밀주에서 유래되엇다는 동동주까지 비슷한듯 느껴지는 다양한 이름속에서도 막걸리의 정체성은 모호했다. 이제 그 정체성을 찾아주는게 우리들의 몫이었는데 변화하는 모습이다. 지방마다 다 달랐던 알코올 도수가 6도에 맞춰졌던 역사와 1916년 122,180개였던 양조장이 2007년 1425개로 줄어들고 막걸리의 주재료인 누룩의 제조장수가 1919년 25,907개에서 1930년 483개 현재는 10손가락안에 꼽을만큼 줄어든 역사를 거슬러 우리들이 더욱 사랑하고 세계속에서 맥주 와인등과 동등한 위치에 오르기위한 준비작업을 보았던것이다.
막걸리는 또한 허기와 시름을 달래주는 술이상의 무언가가 있었는데 누룩맛사지, 비누에 이어 막거리식초에서 우리 고유 음식의 우수성을 확인하며 더욱 발전해나갈 미래가 보인다. 궁중음식보다 막거리를 함께하고싶었다는 일본기자단의 모습에선 막걸리의 상품성을 확인했다. 이렇듯
과거와 미래를 넘나들며 참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막걸리의 우수성을 새삼스레 확인한다.
난 지난 주말 우연찮게 우리나라 최후의 주막이라는 예천의 삼강주막을 다녀왔다. 복원후 주막으로서의 새로이 임무를 시작한 그곳에서 막걸리 한잔을 앞에두곤 오래전 소금을 싣고 낙동강포구를 드나들었던 서민들의 시름을 달래주었던 그 술이겠거니 생각해보았다. 그렇게 막걸리엔 우리의 정취와 감흥과 생활고가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