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명화 비밀 - 개정판 생각나무 ART 1
모니카 봄 두첸 지음, 김현우 옮김 / 생각의나무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오래 전에 샀던 책인데 다시 읽게 되니 감회가 새롭다.

그 때만 해도 미술사에 문외한이었던 터라 열심히 밑줄 그으면서 읽었던 흔적이 있다.

미켈란젤로의 다비드나 다 비친의 모나리자는 마치 클라쎄처럼 너무나 많이 알려져 비밀 탐사라고 하기에는 진부한 느낌이 들었고, 대신 고야의 <1808년 5월 3일>과 마네의 <올랭피아> 해설이 무척 좋았다.

모더니즘이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이 정립되는 기분이다.

고야만 하더라도 무려 18세기 후반의 사람인데 저자는 근대적 개념의 미술을 시작한 이로 보고 있다.

그는 스페인이 프랑스에 의해 지배되는 혼란한 시기에 궁정화가를 역임하면서도 뻔한 세속적 화가에 머물지 않고 내면의 열정과 사회 부조리를 거칠고 표현주의적인 붓터치로 캔버스에 담아냈다.

같은 상황을 그린 동시대 화가들의 그림과 비교해 보면 왜 고야가 위대한지 확연히 느껴진다.

화면을 뚫고 나올 것 같은 긴장감이 없고 그저 예쁜 평범한 그림일 뿐이다.

마네의 올랭피아 역시 마찬가지다.

저자가 설명한대로 천재란 시대의 한계를 넘어서 보편적이고 영원한 명성을 얻게 하는 특별한 힘을 가진 사람인 것 같다.

도판이 아주 훌륭해 감상하는 즐거움이 있다.

뭉크에 대해서는 정말 별 관심이 없었는데 한가람 미술관에서 열린 뭉크전을 본 후 그 강렬한 표현주의적 색채에 확 빠지게 됐다.

확실히 책으로 본 것과 실제 작품을 대면했을 때의 강렬한 감정은 다른 모양이다.

<아비뇽의 처녀들>은 피카소가 오랫동안 소장한 작품인데 자크 두세라는 유명한 디자이너에게 이 그림을 사도록 설득한 앙드레 브르통의 미적 안목이 놀랍다.

루브르에서도 거절한 작품인데 어떻게 현대 미술의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간파했을까?

잭슨 폴록의 작품이 페기 구겐하임의 갤러리에 전시됐을 때도, 몬드리안이 가장 인상적인 미국 화가라면서 이 작품에 주목하라고 적극 추천했다고 한다.

그래서 페기는 폴록의 후원자가 된다.

역사에 남을 위대한 작품을 알아보는 눈이 따로 있는 모양이다.



<오류>

31p

피에로 데 메디치와 교황 알렉산더 7세의 서자 보르기아의 공격을 막아내야 했고

-> 보르기아는 알렉산더 6세의 서자이다.

119p

카를로스 4세와 마리아 루이사는 자신의 사촌이었던 프랑스의 루이 14세와 마리 앙투아네트의 운명을 목격한 바 있다.

->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이다.

그리고 카를로스 4세와 루이 16세는 7촌 관계이다.

120p

<카를로스 4세의 부부와 가족> 도판

왕의 여동생 도나 마리아 요세파, 왕의 형인 돈 안토니오 파스쿠알, 돈 루이스 드 보본

-> 마리아 요세파는 여동생이 아니라 누나이다. 돈 안토니오 파스쿠알은 형이 아니라 동생이다. 돈 루이스 드 보본은 왕의 사위이자 5촌 조카로, Ludovico 1 di Borbone 즉, 루도비코 1세 드 부르봉이다. 보본이라고 쓰면 부르봉 가문이 확실하게 드러나지 않아 헷갈릴 것 같다.

226p

<귀를 자른 자화상> 빈센트 반 고흐, 런던, 쿠르토 갤러리

-> 쿠르토 갤러리가 도대체 어딘가 했더니만 Courtauld Gallery 즉, 코톨드 갤러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관 관람 : 런던 내셔널 갤러리 시공아트 7
호먼 포터턴 지음, 김숙 옮김 / 시공사 / 199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려 1998년도에 나온 책이다.

런던의 내셔널 갤러리는 나에게 무척 특별한 곳이다.

대학교 3학년때인가 처음 해외여행을 갔는데 마지막으로 들른 곳이 내셔널 갤러리였다.

그림에 대해서는 정말 1도 관심이 없었는데 해외여행이라는 게 미술관 관람이 대부분이있던지라 별 생각없이 보고 있었다.

특히 루브르 박물관은 그 압도적인 규모에 질려서 감동은 커녕 힘들다는 생각밖에 안 들었다.

그런데 내셔널 갤러리를 방문해서는 일단 관람객을 편안하게 해 주는 전시장 분위기도 좋았고 그림 하나하나가 너무나 감동적으로 와 닿고 특히 반 고흐의 해바라기를 봤을 때는 스탕달 신드롬처럼 가슴이 울컥하면서 눈물이 막 흐를 것 같은 감정적 고양을 경험했다.

쇠라의 <아스니에르의 물놀이>, 얀 반 에이크의 <아르놀피니의 결혼>, 벨라스케스의 <거울을 보는 비너스>, 한스 홀바인의 <대사들> 같은 그림들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에 남는다.

너무나 감동적이라 출국하는 날 한번만 더 보자고 갔었는데 시간을 많이 지체하는 바람에 비행기도 놓치고 공항에서 하루 노숙을 해야 했다.

그 때 도록을 사왔는데 적당히 그림 많은 걸로 살 걸, 욕심에 글자 많은 걸로 골라서 한국에 가져와 낑낑대며 읽었던 기억이 난다.

당시만 해도 미술에 대해 너무 문외한이라 책 읽기가 어려워 마침 한국어로 이런 관람서가 번역되어 나왔길래 같이 구입을 했었다. 

오랜만에 펼쳐보니 그 당시에 열심히 공부했던 흔적이 있다.

정말 놀랍게도 흑백 도판이 대부분이다.

이럴 수가!

그 당시에는 이게 자연스러운 일이었나 싶다.

하긴 무려 20년 전 책이니.

내셔널 갤러리 온라인 싸이트에 모든 그림들이 잘 올라와 있어 인터넷을 참조하면서 읽어서 크게 불편하지는 않았지만 문화적 충격이긴 하다.

워낙 매력적이고 유명한 그림들이 많으니 컬러 도판으로 다시 출간되면 좋겠다.

박물관에서 직접 펴낸 도록들이 많이 좀 번역되서 나오면 명화 감상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인상깊은 구절>

145p

호가스 자신은 "소재가 사소하고 단조로우면 꼼꼼한 주의를 기울여 작업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림은 볼품없어지고 만다. 감각을 전하는 제 요소들이 잘 살아날 정도로 소재가 좋다면, 완벽하고 세밀한 마무리보다는 거칠고도 대담한 붓질에 의해 행동과 열정은 좀더 진실되고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다."라고 했다. 

 호가스는 <유행에 따른 결혼>과 같은 엔그레이빙 연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뛰어난 천재성을 지닌 순수 화가였음을 깨닫게 해주는 것은 바로 <새우 파는 소녀>와 같은 꾸밈없는 걸작 앞에서이다.

148p

이 습작과 비교하면 완성작은 구성이나 색채 모두에 있어서 좀더 일관성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좀더 '고전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늘 이런 식으로만 해석할 것은 아니다. 컨스터블의 <건초마차>를 대할 때는, 이를 선구자로 하여 새로운 풍경화 유형 -오늘날 우리가 보기에는 '정상'인-을 창조한 인상주의자들이 등장하기까지 앞으로 5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나야 하는 1821년 초에 그려졌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65p

생애 내내 풍경 속의 누드라는 르네상스적 주제에 매료되었던 그는, 누드를 그리기에는 소묘가로서의 자질이 충분치 못하긴 했지만, 대가 소품으로 목욕녀들을 몇 점 그렸다. 

 대상의 표면을 전하고자 하는 인상주의자들과 달리 세잔의 접근방식은 좀더 분석적이었으며, 색채만으로 형태를 이루어내려고 시도하였다.


<오류>

124p

콘스탄테인 호이겐스는 런던 주재 네덜란드 대사관에서 근무하였고, 후에는 윌리엄 2세가 된 총독 프레데릭 헨리 왕자의 비서관으로 암스테르담에서 일했다.

-> 프레데릭 헨리 왕자의 아들이 윌리엄 2세이다. 즉, 호이겐스는 아버지 프레데릭 헨리와 아들 윌리엄 2세의 비서로 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명화 핸드북 755점
닉 롤링 지음, 박누리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로니에북스에서 이런 조잡한 책도 내다니, 새삼 놀랍다.

300 페이지의 짧은 분량과 손에 들어 오는 작은 판형으로 700 점이 넘는 많은 그림들을 소개하려고 하니 이해가 되면서도, 도판이 너무 조악하고 역자의 번역도 불성실해 정말 아쉬움이 많은 책이다.

딱 표지만 괜찮은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은 이유는, 아빠가 오래 전에 읽어 보라고 준 책이라 읽어야지 하는 부담감이 있어서다.

아마 아빠도 대충 제목만 보고 구입한 뒤에 너무 허접해서 나한테 줬을 것 같다.

2006년이니 벌써 14년 전에 나온 책이구나.

출판업계도 나날이 발전하는 것 같기는 하다.

대부분 아는 그림들이라 확인하는 차원에서 훑어 봤다.

제일 인상깊은 화가가 마지막에 소개된 소포니스바 앙귀솔라이다.

1532년 경에 태어난 이 여성 화가는 처음 접했다.

찾아보니 무려 93세까지 장수했고 펠리페 2세 가족들의 초상화를 많이 그렸다.

특히 아름답고 우아한 펠리페 2세의 딸 카테리나 미카엘라 공주의 초상화를 그녀가 그렸다니 놀랍다.

16세기라고 하면 선조 시대인데 여자가 이렇게 훌륭한 왕실 초상화를 그릴 수 있는 환경이었다는 게 무척 부럽다.

반 다이크가 노년에 그린 그녀의 초상화를 보면 정말 지적이고 진실되게 보인다.


<인상깊은 구절>

272p

여행의 기회가 드물고 야생의 자연을 두려워한 옛 사람들은 그리폰, 유니콘, 켄타우르스, 용과 같은 상상의 동물들을 만들어냈고, 고대의 화가들은 이들을 실물처럼 그렸다. 이러한 신화 속의 동물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가지 상징을 가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켄타우르스는 욕정을, 유니콘은 순결과 정절을, 용은 악을 의미했다. 후세의 화가들은 이러한 상징성은 버리지 않은 채, 대신 인간 심리의 보편성을 표현하기 위한 소재로 사용하였다. 특정 동물이 종교나 신비 의식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도 많았다. 


<오류>

얀 베르메르 <레이스를 짜는 여인> 1760년 경

-> 1670년이다.

95p

히에로니무스 보쉬 <어리석음의 치유> 1550년 경

-> 1494년이다.

229p

조반니 바티스타 살비 <그리스도의 매장> 1580년 경

-> 도판은 1507년에 그려진 라파엘로의 작품이고 보르게세 미술관에 있다.

조반니 바티스타 살비, 즉 사소페라토는 1609년부터 1685년 사람이다.

232p

로히르 반 데르 웨이덴 <최후의 심판> 1450년대 프랑스 본, 듀 호텔

-> Hotel-Dieu de Beaune 본에 있는 오텔 디외, 즉 본의 자선병원에 있는 작품이다.

영어로는 Hospices de Beaune 로 표기한다. 호텔이 아니다. hotel-Dieu 자체가 병원을 뜻한다.

234p

<천국의 정원> 프랑크푸르트, 시립 예술원

-> 이 작품은 프랑크푸르트의 슈테델 미술관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년의 그림여행 - 특별 보급판
스테파노 추피 지음, 이화진.서현주.주은정 옮김 / 예경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때문에 집에 있던 책들 열심히 읽고 있다.

옛날 책들을 다시 보니 좋으면서도 시의성에 뒤떨어진 기분도 들고 그래도 읽다 보면 몰랐던 사실들을 많이 알게 돼서 어떤 독서든 다 나름의 의미있는 시간들이라는 걸 새삼 느낀다.

이 매력적인 표지의 주인공은 베를린 국립미술관에 있는 반 데르 베이덴의 작품이다.

무려 15세기 작품이니 서양화의 색채감과 드로잉은 참으로 놀랍긴 하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조선 초기 작품이니 과연 인체와 자연에 대한 서양인들의 관심도는 놀랍다.

예술서적을 주로 출판하는 곳이라 도판질도 비교적 양호하고 가능하면 많은 도판들을 실으려고 해서 여러 작품들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아쉬운 점은 작품을 소개하는 이런 책들이 흔히 갖는 편집의 문제와 번역이다.

주제를 서술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작품들을 소개하려다 보니 아무래도 통일성이 부족하고 글이 뚝뚝 끊긴다.

그리고 언제나 아쉬운 번역의 문제다.

영어권 번역은 자연스러운 경우가 더 많은 것 같고 이탈리아나 독일어권 서적들은 보통 어색하다.

번역자들이 적어서 그런가?

더군다나 이 책은 세 사람의 공동역자라 그런가 같은 미술관도 서로 다르게 번역한 경우도 종종 나온다.

그리고 번역투의 문체는 어쩔 수 없이 어색해서 쉽게 읽히지가 않는다.

좋은 번역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끼게 해 주는 책이다.

르네상스부터 20세기 팝아트까지 유럽 미술사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특히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미국이나 이탈리아 회화도 같이 소개해 신선했고 많은 작품들을 실어줘서 좋긴 한데 번역투의 어색한 문장들은 가독성을 많이 떨어뜨린다는 게 아쉽다.


<오류>

58p

로히르 반 데르 베이덴 <그리스도의 탄생> 슈타틀리세 미술관, 베를린 

-> 베를린의 슈타틀리세 미술관은 어디란 말인가? Staatliche museen zu Berlin 즉 베를린 국립박물관이다. state 라는 뜻으로 베를린에 있는 여러 국가 박물관을 총칭하는 단어다. 저렇게 표기하면 슈타틀리세 미술관이 따로 있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독자들이 쉽게 알 수 있게 표기해 주면 좋겠다.

73p

한스 멤링 <밧세바> 스타츠 미술관, 슈투트가르트

->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슈투트가르트에 있는 Staatsgalerie, 죽 국립미술관에 있는 작품이다.

스타츠 미술관이라고 한글로 써놓으면 미술관 이름이 스타츠인 줄 오해하게 된다. 역자가 전공자던데 이런 부분이 아쉽다.

99p

히에로니무스 보스 <십자가를 진 그리스도> 켄트 미술관

-> 켄트 미술관이라고 해서 내가 잘 모르는 곳인가 싶어 찾아보니 벨기에의 Ghent, 즉 겐트(혹은 헨트) 미술관이다.

켄트 미술관은 미국에 따로 있다. 역자가 전공자던데 이런 부분은 신경을 좀 써 주면 좋겠다.

104p

알브레히트 뒤러 <시스킨의 성모 마리아> 국립미술관, 베를린

-> 역자가 세 명이라 위의 역자와 다른 사람이 번역한 것인가? 여기는 또 국립미술관이라고 번역했다. 이런 식으로 통일성이 없는 게 이 책 번역의 문제다. 

시스킨의 성모 마리아라고 하니 원어 표기도 없고 시스킨이 도대체 뭔가 했다.

Madonna with the siskin 즉 성모와 방울새로 보통 번역한다. 시스킨의 성모라고 하면 원어를 표기해 주면 좋겠다.

108p

이후 미켈란젤로는 바티칸에 있는 파울린 예배당을 위해 <성 베드로의 십자가 처형>과  <성 바울의 개종>을 제작하였다.

-> 파울린 예배당이 어딘가 했더니 바티칸 성당에 있는 Cappella Paolina 즉 바오로 경당이다. <성 바울의 개종>이라고 번역하면서 파울린 예배당이라고 하니 같은 용어를 다르게 번역해 헷갈린다. 

142p

야코포 틴토레토 <노예들을 구하는 성 마르코> 갈레리아 델라카데이미아, 베네치아

-> The Miracle of the Slave 혹은 The Miracle of St. Mark 즉 노예를 구하는 성 마르코로 번역해야 한다. 주인 몰래 성지 순례를 다녀온 노예를 죽이려 할 때 성 마르코가 구하는 장면이고, 노예들이 아니라 the slave 노예 한 사람이다.

이 그림은 Gallerie dell'Accademia in Venice 에 있다. 기왕이면 독자들이 쉽게 알 수 있게 베네치아의 아카데미아 미술관이라고 번역해 주면 좋을 것 같다. 다른 부분에서는 또 아카데미아 미술관이라고 해서 일관성이 없다. 역자가 다른 탓인가?

144p

1553년경, 베네치아 총독궁의 살라 델 콘실리오 데이 디에치에서 작업하던 베로네세는 그곳을 대표하는 화가가 되었다.

-> Sala del Consiglio dei Dieci 즉 10인 위원회 회의실이다. 가뜩이나 이탈리아 말도 생소한데 원어 표기도 없이 저렇게 한글로 써 놓으면 어딘 줄 안단 말인지. 

154p

프랑수아 1세와 프랑수아 1세의 후계자인 앙리 2세, 샤를 4세의 궁정화가였던 클루에는

-> 앙리 2세의 후계자는 샤를 4세가 아니라 샤를 9세이다. 

157p

카바라조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 안티카 국립박물관, 로마

-> 이 작품은 Galleria Nazionale d'Arte Antica at Palazzo Barberini에 있으니 바르베리니 궁에 있는 국립회화관이라고 번역하면 더 좋을 것 같다.

188p

마인데르트 흡베마 <미델하르니스로 가는 길>

-> Hobberma 흡베마가 아니라 호베마다.

207p

오노레 프라고나르 <둥근 과자> 카유 재단, 파리

-> 이 작품의 제목은 "Young woman playing with a dog" 즉 강아지와 노는 소녀라고 번역한다. 둥근 과자는 어디서 나온 제목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화 클라시커 50 24
롤프 H. 요한젠 지음, 황현숙 옮김, 노성두 감수 / 해냄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처음에 읽을 때도 정말 힘들었는데 역시나 재독도 마찬가지다.

이런 책들은 통일성이 부족하고 중구난방 나열식이라 하나의 주제로 수렴하지 않아 가독성이 참 떨어진다.

편견인지 몰라도 영어권이 아닌 나라의 책들은 훨씬 더 번역이 어색하게 느껴진다.

번역자 풀이 적어서인가, 아니면 영어권에 비해 그 쪽 문화가 덜 알려져서인가?

가능하면 국내 필자의 책을 읽어야 할 것 같다.

어색한 번역투의 문장이 너무 많고 원래 책의 구성도 몰입도가 떨어지는 것 같아 힘들게 읽었다.

미술사적으로 유명한 50개의 작품을 선정해 시대 사조와 함께 기술한다.

르네상스 시대까지는 작품의 배경이나 도상학도 좀 알아야 감상이 되는 반면, 근대로 넘어오면서부터는 딱히 해설이 없어도 직관적으로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 좋다.

역시 진정한 예술로서의 도약은 인상주의부터가 아닐까 싶다.

미술은 사회적 필요와 형상으로부터 벗어나 내면의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고 대상을 해체하고 선과 면과 색이라는 순수 조형요소로 발전하는 과정인 것 같다.

구상에서 추상으로, 공예에서 예술로 도약하는 느낌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상을 해체하기 시작한 터너나 모네, 세잔 등은 진정한 근대 회화의 출발점이 아닐까 싶다.



<오류>

38p

우르비노의 궁정, 즉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1422~1582) 공작의 저택에서는

->1422~1482년이다.

126p

루이 14세는 1643년 네 살의 나이로 프랑스의 왕위에 오른다.

-> 루이 14세는 1638년에 태어나 1643년, 다섯 살의 나이로 왕위에 오른다.

191p

에두아르 마네는 1823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 마네는 1832년에 태어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