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풀 먹는 한의사다 마이너스 건강 2
손영기 지음 / 북라인 / 2001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한의사 손영기씨의 책으로, 과식을 경계하고 채식을 주장하는 한의사 분의 책이다. 이 책만 읽어서는 조금 이해가 잘 안가실 것이다. 먼저 <별난 한의사 손영기의 먹지마 건강법>을 먼저 읽고 이 책을 읽으면 이해가 수훨하실 거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 참 무엇을 먹어야 할 지 걱정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런 시각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선택하는 것이 모르고 선택하는 것보다 나을 것이다.

 

 손영기씨는 채식을 주장한다. 그리고 현대인들의 질병은 너무 많이 먹어서 온다고 이야기 한다. 분명. 맞는 이야기다. 하지만, 고기 좋아하시는 분들은(나를 포함해서) 참으로 비탄에 빠질만한 내용이 아닌가 싶다. 우리 모두 잘 안다. 인스턴트 음식이 몸에 해롭고, 사육되는 고기들도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사육되기 때문에 분명 몸에 해로운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그리고 밀가루음식도 안좋고... 이렇게 되면 먹을 것이 없어진다. 자연식, 채식을 해야한다. 하지만 이는 불가능에 가깝다. 나또한 건강이 많이 안좋아져서 정말 인스턴트 음식을 끊고 밀가루음식도 끊었었다. 분명 그렇게 하면 좋다는 것을 알고 실제로도 좋았었다. 하지만, 사람은 풀만 먹고 살 수 없다. 몸에 해롭지만 먹고 싶은 것은 먹고 싶은 것이다ㅠㅠ. 어느정도의 타협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나는 지금도 건강이 썩 좋지 못하다ㅠ. 만족스러운 수준에 도달하려면 한참 멀었다. 다시금 한 번 경종을 울려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다시 인스턴트와 밀가루음식, 그리고 술을 멀리해야겠다. 나중에 몸이 좋아지면 적절하게 좀 더 섭취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예전에 생존왕 베어그릴스가 쓴 책에도 이런 내용이 있었다. 생존왕도 80대 20의 법칙을 타협안으로 내놓았다. 80%는 몸에 좋은 음식을 먹고 20%정도는 몸에는 다소 해롭지만 먹고 싶은 음식을 먹자는 것이었다. 먹고 싶은거 못먹고 참는 스트레스보다 다소 몸에 해로운 음식이더라도 먹고 행복해져서 세로토닌이 분비되는게 낫지 않겠는가?

 

 물론 몸이 정말 극도로 안좋으신 분들에게는 먹지마 건강법, 마이너스 건강법을 추천해드리고 싶다. 손영기씨의 책을 읽고 한 번 실천해보시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 건강한 분들이라면 어느정도 경계하고 조심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워렌버핏도 햄버거와 콜라를 좋아하시지만 건강하신 걸 보면, 먹는 것 보다 중요한 것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주위사람들과 행복하게 사는 것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행은 뭘까? : 오행편 젊은 한의사가 쉽게 풀어 쓴 음양오행
어윤형, 전창선 지음 / 와이겔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오행이 무엇인지 조금 더 이해가 깊어진 것 같다. 동양철학은 서양철학에 비해 개념들이 참 함축적이고 포괄적인 것 같다. 오행을 명쾌하게 정의내려서 설명해주기 쉽지 않다. 때문에 이 책은 다양한 비유와 예를 들어서 오행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혀준다.

 

 오행과 한의학에 관심이 있는 분에게는 추천할마한 읽기 쉬운 도서일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젊은 한의사가 쉽게 풀어 쓴 음양오행 세트 - 전3권 젊은 한의사가 쉽게 풀어 쓴 음양오행
전창선.어윤형 지음 / 와이겔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의사가 쓴 음양오행에 관한 책, 그 중에 1권 <음양이 머지?>를 읽었다.

 

 음양이란 정말 그 무엇도 피해갈 수 없는 거대한 그물과도 같다. 예전에 읽었을 때는 세상만물을 음양으로 설명하는 것이 신비하고 신기했었는데, 이번에는 비판적이고 과학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음양은 세가지 특성이 있다. 음양의 상대성, 음양의 일원성, 음양의 역동성이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음양의 상대성이란, 음과 양이 서로 상대적으로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해와 달, 남과 여 처럼 서로 상대적으로 동시에 존재한다. 음양의 일원성이란, 음양은 하나 속에 들어있는 둘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석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자석은 N극와 S극으로 되어있다. 자석을 쪼개면 쪼개진 자석은 다시 N극과 S극이 생긴다. 이처럼 음양도 하나 속에 존재하는 둘이다. 사람은 남과 여로 나뉜다. 나뉜 남자는 다시 남성적인 남자와 여성적인 남자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음양은 쪼개도 쪼개도 다시 음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양의 역동성이란, 시간이 개입되면 음양은 살아 움직인다. 음양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하나의 사물에 음이 강해지면, 양은 약해지고, 음이 약해지면, 양은 강해지고 이렇게 역동성을 띄고 있다.

 

 더 자세히 예를 들어가며 설명하면 좋겠지만, 자세한 것은 책을 통해서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다.

 

 아무튼 음양은 세상 만물을 정말 단순화시켜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지만, 자칫 잘못하면 성급하게 일반화시켜서 판단하게 될 우려가 있으니,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역시나 실험과 검증이라는 과학적인 방법론이 참으로 신뢰성이 높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과학적인 방법론만이 결코 만능을 아닐 것이고, 과학으로 검증 불가능한 것들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음양론도 사실상 유용한 점이 많을 것이라 생각된다. 역시나 중요한 것은 과학이든 음양이든 어떤 것도 맹신해서는 안되며 비판적으로 사고해야 한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미숙의 몸과 인문학 - 동의보감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미숙씨는 어디서인지는 정확히 기억 안 나지만, 한겨레 특강시리즈에서 만난 분이었다. 한 번 그의 책을 읽어보고 싶었는데, 도서관에서 그의 책을 발견하고는 빌려 보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괜찮았다. 한의학, 그 중에서도 동의보감을 통해서 본 몸과 세상에 관한 에세이이다.

 

 아직 나도 음과 양, 오행에 대해서 깊이 알지는 못하지만, 이 음양오행이란 것 참 재미있다. 음양오행은 미신이 아니라 하나의 사고관이다. 동양철학적 사고관이라서 서양철학, 자연과학만을 배운 일반인들에게는 낯설고 미신처럼 느껴지기 쉽상이지만... 그냥 단순한 사고관을 가지고 미신이니 머니 하는 것은 음양오행에 대한 오해해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음양오행에 대한 오해를 조금 벗겨보자면, 일단 음양은 세계를 보는 이분법적 사고이다. 더 깊이 들여다보면 단순한 이분법적 사고가 아니라는데 있지만, 어쨌든 세계는 음과 양으로 뭉뚱그려 인식할 수 있다. 남과 여, 해와 달, 불과 물, 삶과 죽음, 전쟁과 평화 등등 옛 사람들은 세상을 아주 단순하게 이분법적으로 인식을 했던 것 같다. 이분법적 사고는 단순하지만 명쾌하다.

 그리고 음과 양은 그 속에 또 다시 음과 양을 내포하고 있다. 남자는 남자인데 남성적인 남자와 여성적인 남자가 있다. 삶도 열렬히 타오르는 삶이 있고, 죽어가는 삶이 있을 것이고, 해도 정오 무렵 뜨겁게 타오르는 해가 있을 것이고 노을 뒤로 지고 있는 해가 있을 것이다. 사람의 몸과 건강, 장부도 음양을 통해서 이해해 볼 수 있다. 한의학은 큰 이론은 실로 단순하다. '허즉보기모, 실즉사기자.' 허하면 보해주고, 실하면 사해준다. 그러니깐 부족하면 채워주고 넘치면 덜어내는 것이다. 이것은 음양의 이치이기도 하다. 뜨거우면 차갑게 식혀주고, 차가우면 열로 덥혀준다.  

 

 오행은 생성과 소멸에 관한 순환론적사고관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옛날 사람들이 자연을 관찰하다보니깐 끝없이 순환하더라 이것이다. 계절이 순환하고, 그 속에서 동, 식물들도 자연환경에 맞춰서 순환하더란 것이다. 봄에는 만물이 자생한다. 식물이 싹에서 깨어나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은 잠에서 깨어난다. 사람으로 치면 아이들이다. 여름에는 만물이 활발히 성장한다. 아이들은 자라서 혈기왕성한 청년이 되고, 동식물이 쑥쑥 큰다. (중간의 장마철도 하나의 계절로 친다.) 가을은 만물이 수렴한다. 식물은 열매를 맺고, 동물들은 아기를 갖는다. 사람은 장년이 된다. 겨울은 만물이 소멸하는 시기이다. 식물은 잎을 떨구고 봄을 기다리고, 동물들을 겨울잠을 잔다. 사람은 노년이 된다. 하지만 겨울이 끝이 아니다. 언제나 다시 봄이 온다. 만물은 순환한다.

 

 음양과 오행은 인식론이자 세계관, 사고관이다. 그리고 음양오행은 각기 속성을 가지고 있다. 유사한 속성을 묶어서 분류해서 세상을 인식하고자 했던 옛 사람들의 사고관인 것이다. 예를들면, 木은 나무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쑥쑥 뻗어나간다. 장부로 치면 肝이다. 계절로 치면 봄이다. 옛 사람들이 왜 간장을 목의 장부로 두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목의 속성과 간의 속성은 참 유사하다. 목의 쑥쑥 뻣어나가는 성질때문에 간의 회복력이 빠른 것일지도 모르겠다. 심장은 火의 장부이다. 계절로 치면 여름이다. 옛 사람들은 심장이 화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따로 부연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는 것 같다. 심장을 보고 水의 장부라고 할 사람은 없을 듯 싶다. 아무튼 비슷한 속성을 가진 것들을 묶어서 인식을 했다. 물론 디테일에서는 오류가 없을 수는 없지만 전체적인 관점에서는 대충 맞아떨어진다. 이 대충 맞아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 것이다. 예를들면 나무의 껍질은 딱딱한데 왜 간의 껍질은 안딱딱하냐고 디테일하게 따져 물으면 할 말이 없다. 나무는 나무고 간은 간이다. 완벽히 같을 수는 없는 것이다. 하지만 기본적인 공통된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음양오행학설이자 관이다.

 

 사실 나도 잘 알고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는 것을 장황하게 늘어 놓아버렸다. 이것은 내가 가지고 있는 음양오행에 관한 생각이며, 내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고미숙씨도 이러한 관점으로 본 세상이야기를 하고 있으니, 너무 배타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으셨으면 좋겠다. 물론 내가 볼 때도 너무 비약이 심하게 느껴진 부분도 있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무리는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콧속에 건강이 보인다
이상곤 지음 / 시공사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도서관에서 <낮은 한의학>이란 책을 통해 이상곤 한의사를 알게 되었다. <낮은 한의학>은 한의학을 일반인들과 실생활의 눈높이에 맞춰서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이상곤 한의사는 이비인후과 전문의이며 코 전문가라서 코에 관한 책이 많다. 이 책또한 코에 관한 책이다.

 

 일반인이 보기에는 재미없고 지루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코에 문제가 있으신 분들은 그래도 한 번 읽어보면 코에 관한 한의학적인 시각을 얻으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낮은 한의학>은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추고 건강에 관한 전체적인 부분을 다뤘기 때문에 한 번 읽어보시길 권해드리며, 최근에 이상곤 한의사가 쓴 <왕의 한의학>은 조만간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