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은 인류 사회 전체에 이득을 준다. 물질적 자산은 남에게 주면 줄어드나 무형의 지적 자산은 남에게 준다고 없어지지 않는다. 부와 권력은 유한하나 지식은 무한하다. 육체는 죽지만 지식은 영원하다.
지식의 기본은 타인을 배려하는 데 있다.
피타고라스 공동체에서 지식은 마치 암호와 같이 압축된 문장과수수께끼의 형식을 통해 상징적으로 전달되었다. 학생들은 선문답같은 가르침을 받았고 그 의미를 스스로 알아내야 했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침묵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고, 주의력과 기억력을 발전시키는 일이 공부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생각했다.
- P27

호메로스는 신의 섭리가 인간의 의지를 매개로 실현된다는 철학을 갖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이제 중요한 것은 신과 인간의 소통이다. 따라서 그리스의 신들은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기 위해 부지런히 인간의 행동을 관찰해야 했다. 적어도 세상은 신의 의지대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동의를 얻어 관철되는 것임을 아테나와 아킬레우스는 보여주고 있다. 신의 뜻과 인간의 행동은 각기 독자적인 책임의 영역을 갖고 있으며, 양자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는 전제 위에서 호메로스는 세상을 보았던 것 같다.
- P44

플라톤에게 참존재는 이데아라는 보편자였다. 개개의 원보다는 원의 이데아가 더 참되게 존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참된 존재는 구체적인 사물, 즉 개별자였다. 원의 이데아‘ 이전에 컴퍼스로 그린 원, 모래 위에 그린 원이 먼저였다. 플라톤에게 보편자를 떠난 개체는 맹목적인 것이었다. 그렇듯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개체를 떠난보편자는 공허한 것이었다. 플라톤에게 개체는 보편자의 특성을 나눠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보편은 개체 속에 실재할 때만 의미를 갖는다.
- P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