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에 읽는 융 심리학 - 이렇게 계속 살아도 괜찮을까
제임스 홀리스 지음, 정명진 옮김, 김지용 감수 / 21세기북스 / 2025년 2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지금처럼 계속 이렇게 살아도 괜찮을까?'
그 무엇보다 정여울 작가님의 추천서를 보고 믿고 선택하게 된 도서예요. 자신의 인생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해오며 자책하던 나날들 속에서 어두운 그림자를 떨쳐낼 수 있는 '희망의 나이'로 표현된 마흔의 나이가 참 예쁘게 표현이 되었어요. 언젠가 제게도 다가올 마흔이지만, 30대인 지금도 여전히 많이 흔들리고, 저 또한 작가님처럼 자책감 속에 빠져 있으면서 과연 지금껏 살아온 이 모습 그대로 앞으로를 살아가도 될까라는 질문을 저 스스로에게 참 많이도 던져 보았어요,
그럴 때마다 책을 들여다보고, 영상들을 찾아보며 스스로 위안을 하기도 했었지만, 여전히 불안한 마음을 떨쳐낼 수가 없었습니다.
이번 책 속에서 마흔을 인생의 전환점이라 표현을 했어요. 평균 수명이 100세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하지만, 이왕 한 세대를 살아가는 거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다면 더 행복한 일생을 보낼 수 있을 테지요.
지금껏 제가 살아온 삶을 되돌아보면, 좋은 학교, 좋은 직장을 얻고, 또 돈을 벌기 시작하면 마냥 행복할 줄만 알았던 때도 제게도 있었어요. 그런데 그 시간들을 다 거쳐서 과거를 되돌아보면 그 모든 것들이 진정으로 제가 꿈꿔왔다기보다 부모님을 위해서, 혹은 타인에게 좋게 보이고 싶다는 이유가 가장 컸었음을 깨닫게 되었어요. 이 사실을 지금이라도 알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해야 할까요?
이번 도서는 심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생각할 수 있게끔 그 방법을 유도해 주었는데요. 누구보다 내 삶에 주인공은 나다라는 것을 잘 알지만, 살다 보면 그것을 늘 잊게 되고, 나 자신보다 타인의 시선에 나를 끼워 맞추려는 경향이 있어, 때로는 빈 깡통이 나의 모습이 아닐까라는 생각에 느껴지는 공허함도 크고, 나만의 색이 옅어져감을 느끼면서 많이 흔들릴 때가 있었지만, 그 불안과 공허한 마음을 '심리학'이론을 통해서 정말 나 자신의 모습을 되찾아가는 과정을 통해서 내면의 나 자신과 대화하며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개기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