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자로 가는 길 2 암자로 가는 길 2
정찬주 글, 유동영 사진 / 열림원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퇴근길의 신도림역이나 강남역 등을 가본적이 있는가?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역동적으로 활기차게 발걸음을 움직이는 곳도 드물 것이다. 하지만 오늘도 그 중 무거운 발걸음을 옮기며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은 분명히 있을 것이다. 지하철 안에서 아니면 계단을 내려가면서 낯모를 타인과 부딪치듯이 인생에서 이리 저리 부딪치면서 사는 사람들... 
 

‘암자로 가는 길2’...나에게는 이 책제목 자체가 휴식을 주는듯한 느낌이었다...삶의 고단한 일과를 팽개치고 당장 어디를 달려갈 용기가 없는 나에게 책을 펼침으로써 저자가 걸었던 산속 고요한 암자에 나의 부대끼는 삶을 잠시 내려놓고 휴식을 취하게 해줄 수는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책을 펼쳐 첫 페이지와 둘째 페이지에서 본 산속 암자의 사진은 나의 생각이 맞았다는 확신을 주기에 충분했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감탄했던 점은 내가 어느새 저자와 함께 산길을 걷고 있고, 저자가 보았던 것을 함께 보고, 듣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저자가 암자를 오르며 보았던 것을 독자도 함께 볼 수 있게 글의 내용을 시선의 변화에 따라 구성했다는 점과 만나는 분들과의 진솔한 대화, 그리고 징검다리식으로 페이지 페이지마다 펼쳐진 사진들 때문이었다. 푸르른 산속에 자리잡은 천덕산 삼성암의 전경 사진부터 산벛꽃이 만개한 약사암 전경, 제암자의 입구사진, 제암자에서 바라본 일출의 사진 등등 어느 것 하나 놓칠 것 없는 암자의 사진들은 너무나 시원해 한권의 책에서 두 권의 기쁨과 만족을 주는데 ‘충분하다’는 단어 선택조차 부끄럽게 만들었다. 

책의 구성은 4계절을 지닌 우리나라의 계절적 특색에 맞게 봄·여름·가을·겨울로 구분지어 놨다. 봄암자는 나를 설계하고, 여름 암자는 나를 성장시키고, 가을 암자는 나를 사색시키고, 마지막으로 나를 성장시키는 겨울 암자로...내용은 일반 기행문식의 글과 비슷한 구조를 지닌다 하겠다. 암자에 얽힌 전설이라던지 암자의 창건 배경이라던지..그런데 저자는 이러한 내용들을 단순히 독자의 호기심 자극이나 역사적 사실(야사)로 접근시키기 보다는 암자의 특색이 자연과 어울려 기존부터 자연과 함께 존재하고 있는 듯 주변배경과 어우러지게 저자의 감상(느낌)을 가미해 멋들어지게 글을 풀어나갔다는 점이다. 그래서 책을 읽는 내내 본인은 저자와 함께 암자를 여행했고,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같이 듣는 기쁨을 누릴 수 있었다. 

저자는 암자를 여행한지가 10년이 넘었다고 한다...주말 마다 저자를 부르지도 않는 암자를 애착과 사랑으로 찾아 다녔고, 그러다 보니 찾아간 암자만도 200군데가 넘는다고 한다. 일반 대중은 한 곳도 만들기 힘든 고단한 마음의 쉴곳을 그는 200군데나 넘게 찾아내고 만들어낸 자칭·타칭 ‘암자 전문가’라 충분히 불릴만하다 그간 그가 발행한 암자에 관련된 책이 4권정도이니 이를 뒷받침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겠는가?... 

세일즈북, 자기 개발서 전공서..등등은 어찌보면 책에 맞는 독자층이 따로 있다고 볼 수 있다. 저자가 말하듯이 암자는 사람을 따로 구별하거나 차별하지 않는다. 자연에게서 그 크나큰 포용성을 이어 받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책도 독자층을 따로 구분할 필요는 없을거 같다. 의자에 앉거나, 침대에 누워 쉴때 느끼는 그 편안함을 책을 한 장 펼침으로써 독자들이 맞이하기에 충분한 책이라 할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저자의 글을 인용함으로서 마치고자 한다. 

“암자란 불교가 아닌 다른 종교를 믿더라도 산길을 가다가 기웃거려보고 싶은 곳이다. 불교만의 고유명사가 아니라 모든 이들이 쉬어가고 싶은 보통 명사이다..”

“산사의 기호는 침묵의 덩어리 같은 적막이다. 그 적막은 자기 자신을 내면으로 향하게 하고, 자연과 가까이하게 하는 접속부사이다. 사람이 입을 닫으면 자연이 입을 연다는 금언을 잊지 말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