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me Shift (Paperback) - Comparative Dynamics of the Japanese Political Economy
T. J. Pempel / Cornell Univ Pr / 199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펨펠은 비교정치학의 거장이다. 정치학과에서 수업을 들을 때 여러권의 편저를 잃을 기회가 있었다. 이책은 펨펠이 자신의 논리틀을 완성해 보여주는 성격을 가지면서 왜 일본이 헤이세이 불황을 10년동안 방치할 수 밖에 없었는가를 정치경제학적으로 접근해 설명하고 있다. 그가 제시하는 개념은 regime이다. 이익집단의 대결과 타협이 정치이고 한 정치경제 단위에서 일정한 균형에 도달하면 그 균형은 쉽게 바뀌지 않는 regime이 된다는 것이다. 그 regime이 바뀌기 힘들었기에 10년을 끌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하는 논리이다 

다음은 내가 아마존에 포스팅했던 리뷰이다. 

 

since the 1982, the developmental state, articulated by Chalmers Johson in his infulential book 'MITI', has been the standard approach in the field of North East Asian studies at least in the circle of political economy. but the model of developmental state does not fit into the phenomenon since the 1980s, in SOuth Korea, and the 1973, in Japan. the bureacrats is not that autonoumous like the past, i.e. the rapid growth period, the ruling party proned to be the masters of fork barrel politics, and constituents were not that concensual like the past. there must be some 'shift'. Pempel's work is the attem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framework to explain the shift in systematic and succinct way. his framework is based on the concept of 'regime' which is common in the field of comparative politics. I think he succeeded in that point.
but the concept of regime has some limitation: for example, it can't expalin why keiretsu or main bank system developed and why it has been disolved since 1980s. sure I know it was not Pempel's intention to include them. but to understand Japan or Korea, we should include big businesses. without them, explanation can't be comprehensive. it's the point of political economy, I thin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Paperback, 2)
칼 폴라니 지음 / Beacon Pr / 2001년 3월
평점 :
품절


학위과정에서 본 책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역사서이다. 영어원서로 읽는데도 평이하게 읽혔었다. 자본주의가 꽃핀 영국의 사회경제사를 기술하면서 시장과 사회는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류경제학에서 말하듯이 시장을 자유롭게 내버려두면 경제적 효율성만 추구하다 그 시장을 지탱하는 사회가 무너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자유주의와 세계화가 화두가 되면서 그 반대논리의 원천이 되었던 서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side the Kaisha (Hardcover) - Demystifying Japanese Business Behavior
Noboru Yoshimura / Harvard Business School Pr / 1997년 3월
평점 :
품절


일어로 회사를 말하는, 카이샤 내부에서 바라본 일본기업이다. 일본회사에서 근무한 미국인과 일본인이 인사이더의 시각에서 일본기업의 조직운영논리와 전략이 어떻게 돌아가고 왜 그렇게 되는가를 설명한다. 종신고용이라든가 무한경쟁과 같은 전략이 왜 나왔는가를 직원과 매니저의 입장에서 설명한다. 보통 외부에서 학자들이 바라본 이해와는 아주 다른 설명을 하고 있다. 내부경험에서 나온 것이기에 상당히 설득력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udyguide for Economics of Strategy by Al., Besanko Et, ISBN 9780471212133 (Paperback)
Besanko, David / Academic Internet Pub Inc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학위과정에서 읽었던 조직론 교과서의 하나로 내가 봤던 것은 2판이다. 지금도 사무실 책상에 놓고 참고할 때가 많다. 경영학도를 위한 조직론+전략 교과서라 생각하면 된다. 경영학 교과서치고는 그리 두껍지 않지만 경영학 교과서 답게 많은 케이스들로 설명이 되어 있어 쉽게 읽힌다. 경제학적인 수리모델도 박스로 처리되어 있다. 

다음은 내가 아마존에 썼던 리뷰이다 

This is a textbook for MBA classes both on business strategy and on business economics which focuses on the economics of industry and firm. Textbook is supposed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vocabulary of each discipline, not to specific or uncommon theory. So it¡¯s far from singular or creative. Nevertheless, to be a good textbook, at least in social sciences, it should meet two criteria:
1. it should relate concepts to empirical cases. Social sciences are the empirical sciences. So their concepts are also empirical. But when I took economics courses, textbooks led me to think ¡®economics is no more than a math exercise.¡¯ When deriving and calculating ISLM model, for example, you could not disagree with me. And worse, such a knowledge could be neither applicable nor realistc, and could not endure against student¡¯s amnesia. In this regard, this book is worth recommending. It¡¯s full of cases from real business world and always attempts to explain concepts in the real world meaning.
2. A good textbook should have a consistent framework which integrate various concepts introduced in the book into a coherent and meaningful whole. This book, from start to end, raises the question, ¡®What is the business strategy?¡¯ the business strategy is about how to attain competitive advantage, put another way, how to strategically position one¡¯s firm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Competition increase the supply of output in the market, and drive down price, therefore, profitability. The firm is the organization to earn profit. Them the strategy of firm is how to earn higher profit than competitors¡¯. When a firm earns a higher profit rate than the average rate of competitors , the firm has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A firm¡¯s profitability within a market depends both on market-led economics and firm¡¯s capabilities. Part I and II of this book is about what constitutes and affect firms¡¯s market and industry or firm¡¯s environment. Part III is about how to achieve and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or about firm¡¯s strategic positioning. In a nutshell, a firm has the ultimate objective to earn higher profit rate. To achieve that goal depends both on firm¡¯s environment and on firm¡¯s own capabilities. Strategy is firm¡¯s interaction with its environmen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대세계체제 1 - 자본주의적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경제의 기원 근대세계체제 3
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음, 나종일 외 옮김 / 까치 / 199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월러스타인은 참으로 신기한 글쓰기 재주를 가졌다. 그의 이론은 아주 간단하게 요약된다. 그러나 그 주장은 글의 논리전개와는 무관하게 명료하다. 무슨말인가? 그가 참고하고 있는 논거는 거의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Europe에서 발췌한 인용이다. 이 50년대에 발간이 시작된 이 시리즈는 대단한 권위를 가지고 있고 캠브리지에서 나온 역사 시리즈(Cambridge Histories)들 처럼 읽기에 어렵지도 않다. 그러나 월러스타인의 글쓰기는 참으로 요령부득이다. 인용을 아주 장문으로 집어넣고 자신의 주장은 그 인용에 대한 부연설명처럼 따라붙는다. 다시 말하자면 인용문을 제대로 소화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경제사에 대한 자신의 연구가 없이 그냥 브로델의 이론을 남의 글을 근거로 재생산하다보니 읽고 나서 아무 내용도 기억이 나지 않는 신기한 글을 쓰게 된 것이다. 차라리 월러스타인 이론의 근거가 되고 있는 브로델의 '물질문명과 자본주의'를 읽는 것이 휠씬 생산적이고 얻는 것이 많다. 이론 자체도 브로델이 휠씬 구체적이고 생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