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의 슬픔 ㅣ 아시아 문학선 1
바오 닌 지음, 하재홍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2년 5월
평점 :
인생이란 그런 것이다. 실로 넓고, 깊고, 풍요롭고, 활기찬 것 같아도 결국엔 여전히 무언가 빠져 있는 듯한, 부족한 듯한, 그래서 누구나 죽음에 이르면 갚지 못한 부채나 의무 같은 것이 마음에 휘감기고 엉겨 붙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161p)
아침에 눈 뜨면 의욕이 솟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것 같다. '아침'을 굉장히 의욕적인 시간으로 여긴다.
내겐 아니다.
아침이면,
오늘도 일해야 하는구나. 먹어야 하는구나. 말해야 하는구나.
나는 어쩌면 내 삶에 부채나 의무 같은 걸 느끼는구나.
전쟁의 슬픔을 겪은 끼엔의 부채나 의무 같은 것에 비하면야 그 질감과 양감이 턱도 없이 작고 초라하겠지만.
난 어떤 삶의 부채나 의무 같은 게 있어 아침마다 무거운 발을 침대 밑으로 떨구고 바닥을 밟고 천근같은 몸을 일으켜 세워야 하는 걸까. 나를 일으키는 건 삶의 의지가 아닌 것 같다. 그냥 삶, 자체인 것 같다. 삶이 알아서, 이어 잠자고 싶어하는 날 깨워 일으키는 것 같다.
손이 알아서 칫솔을 집어 이를 닦고 비누칠해서 얼굴을 닦고.
이젠 예뻐지기 위해 하는 화장이 아니라 '노화'를 가리는 말 그대로 'make UP'을 하고.
'전쟁의 슬픔'의 끼엔에겐 선명한 삶의 부채나 의무가 있다.
전쟁에서 이유도 모르고 죽어간 자들의 혼령을 위로하는 일.
그들의 죽음에 일말의 관심도 두지 않는 세상 사람들에게 관심 좀 가지라고 알리는 일.
죽어간 자들의 묻힌 유골을 캐내어 이름과 정체를 찾아주는 일
바로, 소설을 쓰는 일.
끼엔이 소설을 쓰는 이유는 부채갚음이다.
그 부채는 끼엔의 유익을 향해 있지 않다.
끼엔은 그 일을 할 의무가 없다.
그냥 끼엔을 찾아왔다.
열명 정찰대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기에.
유일하게 살아남아 숨이 붙었다는 이유로 끼엔은 부채를 스스로 짊어졌다.
나도 소설을 쓴다.
부채의식 같은 건 없었다. 당연히, 부채갚음도 없었다.
이 소설의 뒤로 갈수록 끼엔이 소설을 쓰는 이유는 사실, 그를 향해 있었음이 드러난다.
더 읽어봐야 그 확연한 정체를 만질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지금은
누구나 죽음에 이르면 갚지 못한 부채나 의무 같은 것이 마음에 휘감기고 엉겨 붙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부채나 의무 같은 것이 마음에 휘감기고 엉겨 붙는 것을 느끼게 되는 일이다.
죽음에 이르면,이 아니라 죽음에 가까이 가고 있으면,의 자세로.
지금 살아 있는 자들은 어쨌든 모두 죽음에 다가들고 있는 걸 테니까.
오늘 하루 만큼 더 가까이.
뱀들은 사는 게 지겨운지 전혀 꿈틀거리지 않고 몸을 길게 쭉 늘어뜨렸다. - P268
과거는 최후가 없고 과거는 우정, 형제애, 동지애, 그리고 일반적으로 불멸의 인간성과 더불어 영원히 정절을 유지한다. - P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