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초라한 반자본주의
이수태 지음 / 사무사책방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쉽게 다가오지 않아서 사무사 책방 시리즈 중 조금 늦게 읽었는데 웬걸 술술 읽힌다. 저자와 함께 추억여행을 한 기분이 들었다. 마지막 논어에 대해 적어놓은 부분에서 약간이나마 논어를 들여다볼 수 있었던 점도 좋았으나 저자의 삶의 이야기가 더 있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한다.

생각의 전환을 할 수 있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듄 신장판 2 - 듄의 메시아
프랭크 허버트 지음, 김승욱 옮김 / 황금가지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는 우리가 만들어나가야 하는 것이죠. 그 점을 잊지 마십시오, 공주님.
p.23

항법사의 영향력이 미치는 지역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거나, 알거나, 예언을 할 수 없듯 예지력의 숙련자가 자신에게 속한 사람들을 은페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항법사 또한 그의 주변 사람들은 보지 못한다고 한다. 우주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살아온 조합의 조종사 에드릭 앞에서 음모를 의논하는 이유이다.

그런데 음모에 가담하는 멤버가 될지도 모른다는 이룰란 공주, 그녀는 어쩌다 이 모임에 참여를 하게 된것일까? 베네 게세리트가 그녀를 키워내면서 그녀의 머릿속에 교묘한 거짓을 주입해 놓았기 때문에? 아니면 정치적인 이유로 결혼한 폴이 자신과 결코 침대에 들지 않을거라는 사실때문에?!

그런데 12년동안 그의 후계자가 없는 이유가.. 와~! 무섭구나. 이룰란 공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듄 신장판 2 - 듄의 메시아
프랭크 허버트 지음, 김승욱 옮김 / 황금가지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언이 가진 치명적인 본성을 통해서만 우리는 그처럼 먼 곳을 내다볼 수 있었던 그 거대한 힘의 실패를 이해할 수 있을 뿐이다.
p.16 「역사의 분석: 무앗딥」, 익스의 보론소 지음

베네 게세리트 어머니 레디이 제시카를 둔 폴 아트레이데스, 그는 어머니로부터 프라나 빈두 훈련을 깊이 받아 근육과 신경에 대해 놀라운 통제력을 갖게 되었고 베네 게세리트 교단이 수천 세대에 걸쳐 유전자 교배 프로그램을 통해 추구해 온 퀴사츠 해더락이었다.

'동시에 여러 장소에' 존재할 수 있는 퀴사츠 해더락, 예언자인 그는 황제 무앗딥이 되어 자신이 물리친 패디샤 황제의 딸과 정략결혼을 했고, 프레멘 출신의 챠니를 후궁으로 둔다. 

멘타트이자 종교적으로 배척당한 고대인들의 기계적 컴퓨터를 능가하는 지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었던 그가 실패를 했다는 암시가 보이는 내용. 당황스럽다. 아니 그의 모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거 아니었나?! 흉악한 음모가 시작된 모임의 자리 이야기가 2권에서 시작된다. 도대체 어떤 일이 일어났던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초라한 반자본주의
이수태 지음 / 사무사책방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평화는 이미 평화가 아니다. 우리의 번영도 번영이 아니고 우리의 세련됨도 이미 세련됨이 아니다. 우리는 거대한 '……척(pretend)' 속에 살고 있다. 너무 오래 ……척하느라 ……척한다는 사실마저 잊을 지경이 된 것이 바로 이 자본의 밤이다.
p.70

32평으로 이사를 하고 심란한 저자는 아내에게 버럭 화까지 냈다고 한다. 32평 아파트로 표현되는 이 애처로운 삶의 지표를 그가 받아들였다는 사실에 대한 모멸감 때문에. "내게는 무언가를 소유한다는 것이 범죄처럼 여겨진다."던 간디의 말이 뒤따랐다는 저자. 32평 안에 자신의 모든 것을 볼모 잡히지 않으려고 버티기도 했다는 저자의 말이 그저 먼 나라 이야기처럼 들리지 않는 건 왜일까?

정말 파괴와 착취와 살육의 현장에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는 대목에서 나 또한 그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며 공감이 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인의 인문학 - 삶의 예술로서의 인문학
도정일 지음 / 사무사책방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이 의미가 있는 것은 그것이 우리네 삶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삶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을 우리는 '삶의 인문학'이라 부를 수 있다. <중략> 내가 이 책에서 '시학'이란 말로 부르고자 한 것도 삶의 예술로서의 인문학이다.
-책머리에-

편집자가 저자에게 시를 어떻게 읽는가 하고 묻는다. 그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시 읽기의 방법을 공개하라는 이 요구는 '벗어라, 보여라'하고 주문하는 누드의 장르라고 한다. 어째서?!

시인이 자기 작시법의 비밀을 천하에 공표할 수 없듯, 시를 읽는 사람도 독법의 기밀을 대명천지에 내놓고 공개할 수 없다고 하는 저자. 그에 대한 변명을 네 가지를 더해 설명한다. 그 변명에 인간이 만들어 내는 비밀에 관한 변명과 시의 읽기도 비밀 만들기의 하나라고 이어지는 내용이 사뭇 흥미롭다. 그런데 알듯 말듯 아리송하기도 하다. 이제 시작이니 읽다 보면 그 답이 보이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