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지 스펙트럼
신시아 오직 지음, 오숙은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얇은 책엔 「숄」과 「로사」 두 단편이 실려있다. 먼저 표제작인 「숄」의 주인공들은 거리를 걷고 있다.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지만 몇 가지 힌트를 통해 그들이 걷는 거리가 수용소로 향하는 길이란 걸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그들은 한 걸음 한 걸음 필사적으로 살기 위해 걷지만 그 길의 끝엔 생이 있을지 사가 있을지 알 수 없다. 로사는 아직 아기인 딸 마그다에게 제대로 된 음식도 주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숄로 감싸 딸을 숨긴다. 마그다는 숄을 빨아먹으며 숨을 이어가지만 마지막 희망 같은 숄을 뺏기자 당연한 수순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로사가 말했다. "잃어버린 게 있어서 찾고 있었어요."

"딱한 루블린. 잃어버린 게 뭐요?"

"제 삶요." (p.88)


짧고 굵은 단편 「숄」 뒤에 이어지는 「로사」는 「숄」의 30년 후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삶을 뺏긴 로사는 제 손으로 남은 생을 망치며 살아가고 있다. 「로사」까지 읽고 나면 얇고 가볍게만 느껴졌던 책에 무게감이 더해진다. 그들의 고통이 묵직하게 다가온다. 숄은 인간으로 살 수 있는 최소한의 보호막, 마그다는 생명의 존엄성을 상징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숄도 마그다도 잃은 로사는 과거에 묻힌 채 나아가지 못한다. 비극엔 엔딩이 없다.


∣"댁의 삶이 없다고?"

"도둑들이 빼앗아갔어요." (p.45)


원래 같았으면 위 문단에서 감상이 끝났을 것이다. 홀로코스트 문학을 읽은 후의 먹먹함. 하지만 이번만큼은 여운이 다른 곳을 향했다. 이번 서평에 신청한 가장 큰 이유는 띠지 문구 때문이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돌아보는 인간 조건의 무게' 이팔전쟁은 진행형이다. 창살 없는 수용소로 팔레스타인을 내몰고 그들의 삶을 빼앗은 건 누구인가? 인류 역사에서 도둑의 역할은 폭탄 돌리듯 돌아간다. 끝이 없는 비극은 돌고 돌아 원형을 만든다. 역사의 승자인 유대인은 수많은 문학으로 소리 내고 있지만 우리는 팔레스타인 문학을 접할 수 없다. 숄은 길다. 숄을 뺏고 뺏기는 게 아닌 서로가 함께 둘러 마그다를 보호할 수 있는 세상이 됐으면 좋겠다. 그런 세상을 만드는 게 인간의 조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본 게시물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솔직하게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