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자전쟁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김진명 작가의 작품은 항상 끝에 묵직하게 가슴 깊이 남는
무언가가 있습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도 그랬고, 『가즈오의 나라』(지금은 제목을 달리하여 재출간한 모양이지만)도 그랬고, 『고구려』도
그랬고. 이번 신작 『글자전쟁』 역시 머리에 남는 것, 가슴 속 깊이 남는 것이 있는, 비교적 짧지만 무게 깊은 작품이네요.
돈벌이에만 몰두하는 이기적인 무기중개상 태민, 그리고 그의
손에 넘겨진 한 편의 소설. 사실, 태민에 대한 이야기는 곁가지와 같은 것이고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고스란히 액자소설 형태로 들어간
'킬리만자로의 소설'에 다 들어 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군납비리, 무기구매와 관련한 비리와 한심한
작태들을 꼬집는 속시원한 이야기들에도 방점이 찍혀있습니다만, 우리 민족의 과거와 역사, 한자의 원류와 역사에 관한 작가의 생각과 주장이 날선
채로 고스란히 '오늘의 우리'에게 뜨거운 일침을 쏘아주고 있습니다.
상喪을 당한 곳에 걸리는 근조勤弔라는 글자 가운데, 조弔라는
글자. 그냥 별 생각없이 그냥 원래 그런 글자겠거니 생각하고 지나쳤던 이 조弔라는 글자가 작대기 혹은 일직선 무언가에 활 궁弓자가 얹혀진
모양이라는 것을 새삼 깨닫는 순간, 죽은 이에 대한 조의를 표하는 글자, 혹은 상과 장례를 상징하는 글자에 왜 활 궁弓자가 들어가 있는 걸까
하고 고민에 빠져드는 순간, 아, 작가의 조사와 주장이 결코 허황된 것만은 아니겠구나 하는 것을 마음 속 깊히 깨치게 됩니다. 그 사실을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 속 소설도 정말 흥미진진하기 이를데 없습니다.
중국사람들은 격노할 일일지도 모르지만, 과거 공자와 사마천
등 위인이나 사가史家들이 써 놓은 역사란 것이 과연 모두 진실된 것일까, 무언가를 없애고 덧붙이고 왜곡하고 뒤틀어놓은 것은 아닐까, 과거
동이東夷족과 한자에 관련한 진짜 사실은 과연 무엇일까 등 기나긴 시간이란 흐름에 파뭍혀 빛을 잃어가던 역사의 진실이라는 영역에 눈돌리게 만들어
줍니다. 하기야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이나 여러가지 수작질을 보면 공자와 사마천의 그것 역시, 특히나 쓰여진 사람의 생각과 주관을 증명할 도리
없는 그것들 역시 깊은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볼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러한 의혹의 불씨와 일말의 긍지와 자부심을 독자의 가슴과
뇌리에 심어주는 작가의 솜씨. 역시 김진명이로구나, 김진명의 작품은 읽고 나서 부터가 진짜 시작이로구나 하는 것을 새삼 재삼 깨달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번 작품에서 주제를 관통하는 부분 이외의 것들이
조금 성기게 구성되어 있고, 엉성하게 마무리 된 점이 아쉽기는 합니다. 제시된 주제와 던져진 화두가 매우 묵직하기 이를 데 없어 더 안타깝게
느껴지기도 하는 부분입니다. 아마도 길고 힘겨운 고구려 프로젝트 대장정 가운데 쓰여진 작품이라 그 여파가 미친 것은 아닐까 상상해 보는데,
언젠가 여러가지 장치와 내러티브를 보강해 개정판을 내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많은 이들이 『고구려』 다음 편을 기다리는 가운데, 고구려
시리즈와 함께 이런 '다 읽고 난 뒤부터가 진짜 시작인' 김진명표 작품들도 언제까지고 계속 만나볼 수 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 다음에 툭-
하고 던져질 화두는 무엇일까, 벌써부터 기대되고 기다려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