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이 빛나는 순간 - 일상이 특별해지는 수학의 세계
황수빈 지음 / 길벗스쿨 / 2025년 10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일상 구석구석이 바로 수학교실
케이크부터 미슬관까지 생활 속 특별한 수학의 순간들을 만나볼 수 있다.
저자는 어릴때부터 수학을 좋아해서 지금도 수학 이야기를 풀어내는 시간이 가장 즐겁다고 수학 속에 숨어 있는 다양한 얼굴과 수학은 생각보다 재미있다는 사실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마음을 통해 수학이 우리 일상생활속에서 어떻게 빛을 발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된다.
줄탁동시,,,
달걀안에서 병아리가 쪼고, 밖에서는 어미닭이 타이밍에 맞춰 껍데기를 두드린다.
이 두 우직임이 동시에 일어나야만 새로운 생명이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다.
호기심과 질문이 '줄'이라면,
바깥에서 '탁' 하고 도와주는 존재가 바로 이 책 일 것이다.

왜 우리는 수학을 어렵다고 느낄까? 그 이유는, 기원전부터 길게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이 해결하지 못했던 수학 개념이 우리가 배우는 교과서에는 달랑 문장 할 줄로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찬찬히 살펴볼 수 있다.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했다.
로마제국의 광범위한 지배이후, 르네상스 시기에는 그리스-로마 고전문화로 인해 유럽 전역에서 그들의 건충 양식과 숫자 체계를 오랜 시간 유지, 세계 시계탑이 많이 사용된 그리스 로마숫자는 우리에게 익숙한 1,2,3,,,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수를 표현
그리스 로마 숫자에서는 I, V, X, L, C, D, M 같은 기호를 사용했는데 우리가 보통 일상생활에서 이런 기호를 사용할 일이 적기 때문에 다소 낯설어 보이지만 이런 표기는 시계는 물론이고 책에서 장을 구분할 때 자주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장부터 너무나 흥미롭다. 시크릿미션에 빠져 문제에 답을 찾아보았다. 그런데 어찌하여 답이 없는지 내가 푼 답이 맞는지에 대해서도 흥미롭고 수학에 빠져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