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세실 >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오늘. 도서관 평생학습강좌 회원들과 '고창 선운사, 미당문학관'으로 문학기행을 다녀왔다. 연초의 계획으로는 주부독서회와 동화구연지도자과정반을 개설하여 그 회원들을 데리고 순수한 문학기행을 다녀올 예정이었으나 강좌 개설을 하지 못한지라 할 수 없이 서예, 문인화, 퀼트교실등 평생학습강좌 회원들과 함께 했다.
묻지마 관광 혹은 동네 아주머니들 계에서 가는 여행과는 차별화하고자 인터넷으로 선운사의 유래를 조사하고, 설명자료를 출력하고, 미당문학관 자료를 조사하면서 미당의 대표시'국화옆에서, 동천' 등도 출력하여 가는 길에 자료를 읽어주고, 즉석 시낭송도 하였다.
조용히 옆사람과 담소를 나누다 보니 어느덧 정읍I.C가 보이고 송창식의 노래가 먼저 떠오르는 '선운사' 표지판이 보인다. 아침부터 추적추적 비가 내리던 하늘은 다행히 맑게 개었다.
선운사 입구엔 동백보다 벚꽃이 먼저 우리를 반겨준다~~

조금 더 올라가니 그렇게 그리워하던 동백이 보인다.

절을 좋아하는 이유중 하나는 가는 길의 푸르른 산책로 때문일듯^*^

미리 문화해설사분께 연락하여 좋은 설명도 들었다.

참으로 소박한 대웅보전. 고즈넉한 절의 느낌 그 자체이다.

원래 9층 석탑이었는데 6층만 남아있다는 탑의 모습.

절이 생각보다 아담하고, 소박하다.

대웅보전 뒤로 보이는 동백숲 풍경. 이번주가 절정이라고 해서 기대했는데
토종동백은 이렇게 꽃송이도 작고 한꺼번에 만개하기 보다는 몇개씩 피고, 지기를 반복한단다......

반쯤 가리니 날씬해 보이기도 하네.....

떨어진 동백꽃을 보며 '처절한 아름다움'을 생각한 이유는 뭘까? 마음 한켠이 아리다....


수선화도 예쁘게 피어있다.


선운사 작설차밭~ 보성녹차밭을 보지 않았더라면 이곳만으로도 흥분했겠지.

유채꽃도 보인다.

다음으로 간 곳은 '미당 시 문학관' 폐교를 활용한 곳이지만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했는지
경관이 참으로 아름다웠다. 가운데 우뚝 솟은 공간은 새로 지은 듯 하다.

기념관에는 시인의 작품, 시인이 생활하던 공간, 살림도구, 사진들이
아직은 정리가 덜 된 느낌으로 전시해 놓았다. 친일파로 문제시 되었던 수필, 글들도 보인다.

생가 가는 길...... 새로 만든 듯 반들반들한 다리에는 '미당교'라는 글씨가 보인다.

시인의 생가. 덩그라니 초가집 두 채와 우물이 보이고 문은 모두 잠겨 있었다......
급하게 만드느라 대충 해 놓은 듯. 좀 더 가꾸어야 겠다.

행사 담당자로서 이것저것 챙겨야 할 일도 많고, 안전사고가 걱정되어 여행의 기쁨이 반감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여행은 참으로 행복했다.
고생 많으셨다고 하면서도, 가을에도 문학기행 가요! 하는 회원들의 말에 고맙고, 뿌듯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