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우다 3
현기영 지음 / 창비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억새밭 한가운데 바위들 틈바구니를 비집고 자란 서어나무, 그 뿌리 아래에 숨겨진 조그만 동굴 안에 부대림과 정두길이 나란히 누워 있었다, 밤늦은 시간이었다, 밖은 눈보라가 치고 있었지만 굴속은 불이 없어도 포근했다. 아무것도 먹지 않고 굶은 지 여러날이 지났다. 보름쯤 지났을 것이라고 두길은 생각했다, 작고 비좁은 굴 속에 아무것도 먹지 않고 누워 있는 자신들이 고치 속의 유층처럼 느껴졌다, 그러나 그들은 조만간 성충이 되어 날아갈 존재가 아니었다, 더이상 먹지 않기로 결심했으므로 이제 두길은 별로 배고프다는 느낌이 없었다, 처음 며칠 동안은 위가 몹시 쓰라렸는데 이제는 그 통증마저 사라지고 위가 졸아든 느낌이었다. 배는 등에 가 붙고, 기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고통도 욕망도 없는 텅 빈 공허, 그 공허 속ㅇ로 온몸이 삼켜진 듯했다. 

 어둠 속에서 대림의 갸날픈 목소리가 들려왔다, 

 "두길아, 죽을 때 옆에 친구가 있으나 참 좋다이!"

 그의 말소리 속에 가쁜 숨소리가 섞여 있었다. 숨소리가 거칠게 쌕, 쌕, 쌕 끊겨 나오면서 각혈의 비린낵 풍겨왔다, 

 “그래, 우리가 죽으면 이 조그만 굴은 우리 두 사람의 합장묘가 되는 거라.”
 “아아, 그래, 합장묘!”
 “대림아, 이 굴을 우리의 무덤이 아니라 대지의 자궁이라고 생각해보자. 우리는 대지의 자궁 속에 들어와 있는 거야. 따뜻한 자궁! 아아, 따뜻하고 아늑하구나!”
그렇게 말하면서 두길은 두 무릎을 안고 가슴팍으로 끌어당겨 자궁 속의 태아처럼 몸을 말았다.
 “대지의 자궁! 멋진 말이네. 역시 시인은 달라.”
 “우리는 죽지만 다시 태어날 거다. 대지의 자궁은 죽음 속에서 새 생명을 잉태하니까. 모든 것이 불에 타고 모든 사람이 죽었지만, 그러나 어머니 대지는 죽은 자식들을 끌어안을 거여. 땅속 혈맥들이 고동치는 소리가 지금 내 귀에 들려. 대지가 자기의 자궁 안으로 죽은 자식들을 받아들이고 있는 거라. 낭자한 피와 총성과 비명도, 죽창, 철창에 묻은 살점도 대지는 남김없이 받아들이고 있어. 아, 그리고 마침내 그 자궁에서 새 생명들은 아나 대지 위에 다시 번성할 거여."

  (350p-351p)

--------------------------------------------------------


 따알리아를 사랑했던 두 친구 정두길과 부대림은 마지막을 함께 했다.  

해방된 땅에서 함께 기뻐하고 새 나라를 함께 만들어거자고 가슴이 부풀었던 청년들은 스러졌다, 

역사의 파도에 스러진 젊은 생명들, 어린 생명들, 늙은 생명들. 

그 비참 속에서, 그 오욕 속애서, 그 슬픔 속에서도 창세는 죽은 목숨으로 살아남아 손자 손녀에게 이야기를 들려준다, 기억하라고 아니 넘어서라고 

기억하고 넘어서야 새로운 세상이라고 하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주도우다 2
현기영 지음 / 창비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이야기를 떠올리며 창세는 킥킥 웃음을 깨문다, 고른 보폭으로 천천히 달려간다. 신문 뭉치가 든 배낭이 등에서 털썩거린다. 신문에는 미군의 총격 사건에 대한 기사가 실려 있다. 그래서인지 배낭이 약간 무겁게 느껴진다. 그 뉴스가 창세의 경쾌한 달리기를 방해하지는 않는다, 배낭 속에는 작은할아버지가 병약한 송장의 어른에게 보내는 건재 한약과 함께 봉투에 넣은 한시도 들어 있다, 이번에도 장의 어른은 "약이 잘 들어 고맙다는 말을 할아버지에게 전하거라"라고 할 것이다. 이제 창세는 노래를 흥얼거리면서 달린다. <산타 루치아>를 부른다, 벌건 대낮에 "창공에 빛난 별"이라니 우습지만 달리기에 박자가 맞아서 좋다. (66p)

 

창세가 달린다, 달리는 창세는 세상에  무거운 사건이 일어나더라도 마음은 흥겹게 노래부른다. 그런 시절이 있었느니 그 후에 겪는 참혹한 시절을 견딜 수 있었을까?

열세살 소년은 모른다, 그 후의 일들을, 앞 일을 모르고 살아가는게 삶이지. 나도 모른다. 

입을 열 수 없는 세상, 지금도 그런 참혹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예루살렘에서, 우크라이나에서.

'자신이 옳다는 확신'에서 일어나는 폭력이 세상을 어둡게 하지만, 창세는 살아간다, 그 후의 창세도 살아갈 것이다. 폭력을 밀어내면서 조금씩 조금씩이라도 움직이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웰의 장미 - 위기의 시대에 기쁨으로 저항하는 법
리베카 솔닛 지음, 최애리 옮김 / 반비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월의 장미는 흔하다, 흔한 제목을 붙인 것인가 하고 다시 보니 오월이다. 조지 오월이 장미를 심었다는 단서로 시작하여 리베카 솔닛은 오웰의 문장을 따라 과거로 가고 다시 현실의 우리로 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김인정 지음 / 웨일북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고통과 마주쳤을 때, 우리를 크게 흔드는 이미지를 만났을 때, 우리는 공감하며 크게 감응할 수도 있고, 곧 잊어버릴 수도 있다. 연민을 느끼고도 아무것도 할 수 없어서 무력감이나 죄책감을 느낄 수도 있고, 너무 많은 타인의 고통에 질려 눈을 돌릴 수도 있다, 분노한 나머지 공격적인 말들을 쏟아낼 수도 있고, 눈물을 흘릴 수도 있다. 무엇이라도 행동하지 않으면 견딜 수 없어질 수도 있다. 행동은 절대선처럼 여겨지는 경향이 있지만 행동이라고 해서 다 맞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일상을 살아가며 연민을 잊지 않는 일에는 노력이 필요하고, 그 균형과 전환 사이에서 기이한 파열음이 나는게 전부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세상의 변화라는 건, 개인들의 자유로운 반응 속에서 일어나는 예기치 못한 화학반응이 사회에 영향을 미치며 발생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희망도 절망도 없이 그 자유를 지켜볼 수 있을지를 더 자주 곱씹어보게 된다.  (- 238p)

 

 저자는 기자로서 고통을 마주하며 고통울 콘텐츠로 소비하는 것은 아닌지 묻는다, 먼저 고통이 있고 그 고통을 전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고통을 대상화하지 않고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려는 입장에서 뉴스를 만들지만 그것이 가능한 일인지 늘 의심하는 저자의 마음이 좋은 뉴스를 만드는 이의 윤리가 된다. 그 윤리가 사회의 울타리가 되어 좋은 사회로 나아가는 바탕이 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뗏목 - 압록강 뗏목 이야기
조천현 지음 / 보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의 길

세상의 길은
땀 흘리며 가야 할 때가 있고
떠밀리듯 가야 할 때도 있습니다.
강의 길은
그 모든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뗏목은 강의 흐름에 맡기며 흘러갑니다.
그렇다고 흐름에만 맡길 수 없습니다.
된바람에 밀려 들썩이지 않도록
바위에 부딪혀 깨지지 않도록
떳목꾼의 안전한 운전이 필요합니다.
목적지까지 뗏목을 무사히 나르는 일은
강과 뗏목과 뗏목꾼이
함께하는 일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작가는 조선 중국 접경 지역 (압록 두만 강변)을 다니며 우리 민족의 생활상을 시진과 영상으로 기록해 왔다고 한다.
강물 따라 흘러가는 뗏목과 뗏목꾼들의 모습을 보며 마음이 움직인 작가의 사진과 글이 마음을 울린다.
오래 바라보았구나, 강물을 따라 걷고 흐르고 그리고 마음을 나누었겠구나.
그런 마음이 지금 현란한 세상에 어떤 의미가 있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책을 읽고 사진을 보는 이들의 마음에 잠깐이나마 강물 같은 마음을 열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