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에 얼마 전 업로드된 pbs 다큐멘터리. Inside Einstein's Mind. 

거기 위와 같은 장면이 나옴. 


페이퍼 (서재 페이퍼 말고 "논문"으로서의 페이퍼.....) 쓸 때 

왜 이렇게 나는 어디 갇힌 거 같고 무엇이 나를 옭아매는 거 같고 

행동이 부자유하고 교양은 저열하고 감성은 저 어디 충청도 산간을 떠난 적 없는 종류고 (.....) 그런가. 

왜 나는 양인들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쓰지 못하는가. 


저런 생각으로 정말 괴로웠었다. 

.... 그들만큼 읽지 않았기 때문이지. 그들만큼 모르기 때문이야. 

그들이 영어(불어, 독일어)로 일찌감치 접했던 거의 모두를 너는 삼십대 이후에나 접했다. 


저런 답 나왔었다. 


저 답이 맞는 답이지만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니었음을 

미국 교수들 강의들 듣던 동안에 알게 되었다. 

정신에 여유를 준다는 게 무엇인가. 나의 정신이 움직일, 아니 그 정도 아니고 뛰고 날(날아오를), 공간을 

준다는 게 무엇인가. (......) 그걸 알고 체험하고 나니 


그게 다가 아니지만, 운신의 폭. 이것이 거의 절대적이다. 

....... 고 앞의 답을 수정하게 됨. 좋은 글, 자유롭게 숨 쉬게 하는 글은 트인 공간을 아는 사람이 쓰는 글이다. 




달라진 걸 느끼면서 실제로 페이퍼를 (묵혀 두고 질질 끌던) 하나 다 쓰기도 했고 

그러니 더더욱 이게 얼마나 중요한가 실감하고 생각하게 된다. 생각이 자유가 되게 하기. 


이미 우리보다 아주 잘하고 있는 그들의 사례 지목하면서, 그들만큼 해라. 그들만큼 하자. 이러면 좋겠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