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처럼 사람 혼을 쏙 빼는 물건이 또 있을까. 손안에서 떠나지 않고 작은 소리와 떨림으로 새 소식을 알리고 내가 이불 속에서도 다른이와 이야기와 소리, 노래, 영상을 주고 받게 해주고, 때론 나 아닌 척 내 속을 짹짹 거리게 만들어주고, 게임도 있고, 또..... 그런데 시침 뚝, 나는 어른이니까, 아이가 혼을 빼고 헐렁헐렁 핸드폰에다 시간을 쏟아붓는 건 막아야한다.

 

지우가 만난 핸드폰은 주인없는 새 물건에 리본까지 달려있었다. 어찌어찌하다 가방에 넣어 집에 가져왔지만 주인은 나타나지 않고, 폰으로 연결된 친구는 '그거 가져. 네거 해. 대신 나랑 놀아.' 라며 지우를 밤마다 불러낸다. 아, 이거 위험합니다. 실제 몸이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뿐 채팅으로 아이를 꼬드기는 정체모른 사람 만큼이나 위험해 보인다. 그런데 상대는 사람? 지우는 도깨비불이 이끄는 네비를 따라 '신도'를 걷고 벽을 통과하여 도깨비 집으로 간다. 얘가 겁도 없지.

 

캐빈, 아니 (도)깨비와 만나서 도깨비 폰에 별별 희한하고 요상한 앱도 받아내리고 재미있게 놀고 뚝딱 숙제도 해치우지만 조금씩 몸이 힘들어지고 평생 약정의 비밀도 알게 된다. 얻는 게 있으면 내어주는 게 반드시 있기 마련. 도깨집 집의 윤 진사는 지우에게 정말 지키고 있어야할 것에 대해 넌지시 일러준다. 물리치려던 상대, 도깨비와 일리 있는 협조를 하게 되는 결말도 흥미롭다. 진짜 싸우고 경계해야하는 상대는 누구인지 생각하게 했다. 또한 지우는 원래 심지가 곧은 아이였다, 라는 말의 힘이 크다. 자기 자신을 믿고 반칙을 끊고 혼자 서려고 애쓰는 지우. 하지만 지우와 도깨비들과의 관계에 집중 하느라 학교 친구와 부모의 모습이 평면적으로 그려지고 뒷전으로 밀려나서 아쉽다.

 

도깨비에 얽힌 옛이야기들과 전설, 그리고 민간 설화들과 핸드폰 사용의 결합으로 풀어가는 이야기가 재미있다. 중후반에 이르도록 도깨비폰에 얽힌 이야기가 펼쳐져서 재미는 있지만 '너무 놀기만 하는데' 하는 마음으로 불안해진다. 아, 어디까지 가는거야? 이렇게 달콤하기만 할 리가 없는데? 그때 지우가 곤란에 부닥치고 덜컹거린다. 그런데 그 갈등에 '목숨'이 걸렸다니 이야기의 무게가 갑작스럽게 버겁다. 저승, 혹은 도깨비, 이야기 속 딴 세상이 우리의 21세기 생활로 넘어오는 동화가 많다. 고양이 가장, 노잣돈 프로젝트, 귀서각. 등. 점점 더 저세상 존재들이 우리 쪽으로 넘어오는 것만 같다. 경계가 무너지니 이야기 거리가 많고 재미있고 서로의 짝꿍 할 것들을 빗대어 교훈도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그 경계가, 목숨이고 죽음인데 이리 '재미'만 있어도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