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피부, 하얀 가면 -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시대의 책읽기
프란츠 파농 지음, 이석호 옮김 / 인간사랑 / 199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공명 - 두 역, 아니 세 역. 강남, 구의 그리고 곡성. 두 제단. 아니 공무원 그림자와 공무원의 안타까운 죽음. 그냥 스쳐가는 줄 알았다. 늦밤 떠지는 눈. 혹 우리가 놓치다 가는 건 아닐까.


강남.

하얀 가면들. 눈치채지 않으려던 우리 속의 그 사회적 가면의 경계를 문지르고 있는 건은 아닐까. 서구라는 쫒아가는 서양의 공모자와 같이 몸에 배인 남자라는 근거없는 정체성을 `사회적 공명`이란 약자의 울림으로 그 지문이 지워지고 있는 건 아닌가.

그렇게 하얀 가면을 부수는 지표로 흰 그림자를 드리워 사회의 아우성을 깃발처럼 날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또 다른 제단에 바쳐지는 국화꽃들.

구의.

정규직이라는 지문을 지우고 사회적 형평을 찾아가는 민주주의를 찾아가는 공명의 흔적이자 또 다른 흰 그림자는 아닐까.

곡성.

그리고 또 다를 절규. 곡성에 울부짖음. 산자와 사자가 한몸이란 걸. 살 자와사자가 한 몸이란 걸. 또 다른 제단에 꽃을 바친다.

신문 사회면, 한줄기사의 안타까운 비운에도 공명하던 한 세대 전, 반세기 전의 일상들. 곡성이 일상인 퇴행의 시대.

`사회적 공명`이 또 다른 형태로 귀환하는 것이자 여명처럼 오는 것이라고. 우리는 너무 멀리 온 것이라고. 결코 가벼운 , 사소한 죽음은 없는 것이란 그림자.

곡성의 비극. 그 죽음에 흰꽃을 바치며 삼가고인들의 명복을빕니다. 눈물의 그림자를 올립니다.

발. `오보에를 위한 협주곡` 외 몇곡 더 연주회에 다녀오다. 너무 안스럽기도 했다. 붉게 부푸러오르는 얼굴. 호흡과 연주 사이의 간극이 자꾸 눈에 들어온다. 연주와 표정의 안온함이 같이 어울린 건 단 한차례. 어느 귀족이 자신의 악 취미를 위해 작곡시킨 건 아닐테지. 나라면 우리라면 저 작곡은 시키고 즐기고 싶진 않아. 그러고 싶었다. 삼삼오오 연주자와 식구들과 지인들과 뒤풀이. 즈문동이 아이들의 맘과 삶이 걸려온다. 밤바람도 좋은 날. 문득 생각이 사선으로 불어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비 - 늦밤 막내에게 공부한지 2백일이 되어가냐고 건넨다. 과외한지 백일은 되어가는지 하고 말이다. `아직`이라고 한다. 힘들거라고, 좋아하는 농구처럼 재미가 붙으면 좀 낫거나 하고싶을 거라고 그 고개쯤 와 있을거라고 한다.

발. 부쩍 힘들어해서 여러 변화를 엄마와 나누어 보고 헤아려본다. 형의 판단도 저간의 상황도 겹쳐본다. 불쑥불쑥 지난 관성이 스며나오는 지점이다. 돌아보지 못한 것이 있는지 다시 한번 새겨볼 시점이다. 나에게도. 막내에게 챙겨온 책 두권을 전했다. 파인만과 이안스튜어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보다 길이를 재는 데 소홀했다. 몇 번 수정을 요구받고서야 근사해진다. 명암도 앞원기둥이 뒤보다 밝아야하는데 그러지 못했다. 기본을 의식하면서 끝까지 가야 더 조화가 있을 듯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밤빛

이젠 더 헤아리지 않아

마음들이
어디로 가는지

마음들이
어디쯤 머무는지

마음이
지나온 자취들을

이젠 더 이상 찾지않아

마음들에
말걸지 않아

마음들로
마음주지 못해

마음이
움트는 곳을 보지않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봐주지 말고 고쳐주라고 ㆍㆍ

발. 삶은 나이에 상관없다. 새로 시작하는 나이가 없듯이 같이 삶을 만든다면 봐주기만 하는 게 아니라 뿌리까지 고칠 자세로 대들기도 해야한다. 삶의 주기가 그리 긴 것도 아니기에 ㆍㆍㆍ그런 생각이 인기척있는 저녁무렵이다. 용담꽃같은 밤빛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