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만의 시대_윤중호(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념이나 사상이 삶에 스며들게 된다면,
사상이나 이념을 삶에 나누는게 일상이라면

너를 만나 당신이 머리 좌파인지, 가슴좌파인지, 몸좌파인지 되물을 것이다.
나를 만나 당신이 몸좌파는 아닌지, 열정이 배여있는지, 머리는 열어둔 것인지 되물을 것이다.

삶근육이나 이력에 흔들리는 앎(사상이나 이념도)이 배여 삶이 기우뚱거리며 들뜬다. 삶의 경계가 다시 보이고 흔들린다. 너의 삶, 그들의 삶, 간혹 먼 이웃의 삶의 파격이 지금 여기의 삶으로 깃든다. 복지를 이야기하기에 앞서 당신의 삶이 어떠한지, 혹 당신과 이을 삶의 연대가 있을 구석이나 있는 것인지? 몸의 차이에서 오는 선택의 폭은 어디에서 어디까지 인지? 당연한 것이 더 이상 당연하지 않고 불편스러워 삶을 왜 털어놓았는지 후회가 되더라도 혹 당신 삶에 도움이 되는 법의 실마리라도 찾을 수 있을까?

너의 삶으로 난 길을 같이 걸으면서, 내가 지나온 삶의 샛길을 거슬러오르면서, 자넨 가슴만 뜨겁고 살림의 보폭은 없네라는 핀잔을 듣거나, 자넨 머리만 불쑥커서 가슴도, 몸의 근육을 도통 찾아볼 수 없어라는 이야기를 듣더라도,

한번 너의 파랑 삶의 흔적을 분홍 삶의 한쪽에 이어보고 길을 가본다. 나의 삶의 흔적을 한꼭지 넣어 너의 몸의 족적에 그어본다. 아마 일상을 쭈욱 늘여 그 사이에 풍선부풀 듯 삶을 넣어 하나 둘 뒤섞어보는 재미와 아픔을 뒤섞어본다. 그러다 허망에 발을 저리고 절망이 더 높이 보일지도, 괜히 삶을 흔들어 고생시킨다고 할지라도 당신의 삶의 경계에 서있는 일상의 철조망이 어이가 없는 것이라면 한번 속는 셈치면 어떨까? 그러다가 불쑥 삶의 근육이 탱탱하게 생긴다면 어떨까? 나의 가족, 나의 삶이 아니라, 아주 조금 너-나, 나-너의 삶의 지평이 조금 다르게 볼 수 있다면 어떨까? 나-너-나의 삶의 희망이 단조로운 일상에 무지개처럼 저런 빛이라 느낄 수 있다면 어떨까? 허망하다 해도, 현실을 더 냉혹하게 다가선다해도 해보지 않은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저기, 저 멀리 이상이 아니라, 여기, 지금여기 일상을 나누어 먹고 씹을 수 있다면 나의 일상이 뜯겨 너의 일상이 접붙는다면,

아마 당신의 자식과 교육, 노후와 당신의 재산과 건강이 고스란히 드러나 머리-가슴-몸이 따로 노는 현실에 어쩔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새로이 함께 걸을 수 있는 근육이 생기는 중이라면....... 너의 가난이 나의 것이고, 나의 빈한이 너의 것이라면... ...


 

뱀발.  

1. 생각이 겹쳐 흔적을 남긴다. 책글이 삶에 접목되는 방법으로 일상에 침윤시켜본다. 머리 속의 생각에 침윤시키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일상이나 꾸는 꿈속을 헤집어 본다. 아마 당신은 가진 것이 몸뚱아리밖에 없어 어이할 수 없는 몸좌파라면, 지금당장을 꾸려가기 위해 머리우파을 주사를 잔뜩맞을 수밖에 없다. 그것이 현실이고, 한번도 세상에 이의를 제기해본 적이 없다.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여유가 많아 머리좌파로 향할 수밖에 없는 친구라면 자식키우기로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 생각해볼 수 있는지? 어디까지 선택의 폭이 주어지는지? 어쩔 수 없이 자식을 키울 수 있는 여유조차 없다면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 수긍해낼 수 있는지? 일상을 좌판에 놓을 요량을 부려본다. 

2. 열정이 무뎌져 한치도 몸이 움직이지 않고 머리만 저기로 갸웃거리고 있다면, 열정이 없는 당신은 늘 가슴우파를 지향한다면...그렇게 삶이 숨죽어 있다면, 당신의 열정을 돋궈낼 수 있을까? 어떻게? 삶의 그늘에 발목잡혀 있다면? 사면초가인 지금의 현실이 아무것도 움직일 수 없게 한다면? 온통 빚이라 한발자국도 움직일 수 없으니 그런 얘기하지말라고? 하소연한다면... 또 다시 아픔에 생채기내는 기억은 되새기기도 싫다구? 

3. 구름을 쫓아다니거나 모아서 재우려하지 말고, 지금현실과 곁에 있는 이들과 뿌리내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머리좌파의 슬로건만 대지를 자욱하게 나부끼고, 몸좌파에게 삶의 근육이 하나도 생기 않아, 또 다시 머리의 뽕만 맞으려는 현실은 되풀이 되지 않을 수 있을까? 누구나 삶의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는 현실에서, 삶의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는 안전장치는 바로 여기에서 시작할 수는 없을까? 

4. 나는 돈도있고, 나는 생각도 있고, 나는 머리도 있고, 나는 몸도 좋고.....(만)이 아니라 (도)의 연대는 꿈이고 허망일까? 문득 하늘에 뭉게뭉게 솟아 피는 구름에 시선이 간다. 내 맘 같다. 그저 허망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삶의 경계를 들여다보는 자리가 낯설다.

1.아버지의 역할이 대문처럼 다가선다. 집장사를 해서 돈꽤나 있지만 노름을 손을 대서, 집을 찾아나선다. 무릅을 꿇어도 소용없다. 아들이 왔는지도 안중에 없다. 2.집장사를 하고 번 돈으로는 가족 생계에는 아랑곳없다. 어머니가 따로 챙겨야 등록금을 낼 돈이 겨우 모인다. 아버지가 아니라 웬수다. 얼굴은 보고 싶은 생각이 추호도 없다. 거구의 몸집은 딸아이만큼 왜소해졌다. 동생 결혼식날 알아보지 못한다는 아버지는 움직이기도 힘든 몸을 이끌고 용케도 알아본단다. 동생과 사는 집에 돌아오니 눈물이 나오는 것이 어이가 없다.3. 아버지가 아니라 폭력배같다. 어머니를 때리고, 술로 일찍 세상을 등졌다. 아버지가 뭐란 말인가?

 좋은 이야기, 좋은 생각, 책속에 아픔만 나누다가 이렇게 늘 유사한 동선을 움직였음에도, 도통 이해할 수 없는 구석이 어디에서 연유하는지 물끄러미 바라보게 된다. 그들의 몸동작에 배여나는 것에 한치도 어깨동무를 하지 못한 아쉬움이 돌뿌리처럼 드러난다. 지난 몇년 사이, 나는 너에게 뭐였단 말인가? 지난 몇달 사이, 나는 도대체 너에게 뭐였단 말인가? 모임만 어루만지거나 저기만 건들려고 할 뿐, 나는 네 마음 한톨 어루만지지 않았다. 다가서는 너를 껴안는 법을 몰랐다.

 이렇게 당신의 삶의 울타리가 드러나고, 팽팽히 당겨진 울타리엔 열린 곳이 없다. 당신이란 삶의 담사이로 난 문은 어디있을까? 돌아서는 날, 그(녀)가 남긴 문자 "삶은 왜 이리 슬프고 아픈 걸까요" 가 밤을 가로지른다.

 난 뚱단지같은 머리의 배설문자를 남겼다. "삶이나 운명이 축구공같은 것이라면 다룰 수 없다는 보증이 없다고 할 수도 없지 않겠느냐고"  나의 죽은 문자는 아직도 삶을 책으로 난 길에 맞추고 있다. 삶으로 난 길에 책의 문자를 빗대보고 있지 않다.

 그(녀)의 삶으로 난 숲길엔 바람이 분다. 일찍 삶이 그렇게 허망하게 날벼락처럼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눈치챘더라면, 나는 좀더 일찍 그(녀)의 삶에 개입했을 것이다. 그 삶을 같이 살 수도 있었을 것이고, 책속의 활자를 그 날것에 접붙이려고 안간힘을 썼을 것이다. 책이란 안개나 구름 속에 머무는 것이 허망하다고 할 수 없지만, 이렇게 어깨동무 하나 할 수 없는 것을 보면 허망하지 않다 할 수 없다. 

 

뱀발.  

1. 안해가 돈이 궁하다는 문자가 왔다. 난 안해의 삶의 경계를 묻지 않는다. 들여다볼 수 있기에, 일상에 겹누르는 무게를 알기에 삶을 묻지 않는다. 헌데 이것 역시 더 부질없는 일이다. 그(녀)를 통해 삶의 안부도 물어봐야되고, 삶의 한 경계가 어떤지, 아니면 등짐이 장대비처럼 쏟아져내리고 있는지 확인해야 되는 일이기도 하다. 

2. 모임을 반죽하는 사이, 달리는 일상사이로 응어리가 진다. 나는 모임만 아름답게 빗지 않겠냐고 한다. 너는 돈의 화마에 휩쓸리고, 일상의 화마에 휩쓸려 다리가 휘청거린다. 

3. 별동부대원들의 삶은 순수하거나, 순진하거나... ...애초에 자유가 그러하고 평등이 그러하다면 오히려 그 깃발을 내려 배려나 인정을 걸었더라면, 인문의 저 고지로 향하지 않고, 그(녀)의 삶으로 좀더 가까이 갔을까? 그의 일그러진 지난 날을 감싸안을 수 있을까? 좀더 우울한 모임의 시선을 달래볼 수 있을까? 좀더 삶의 연대에 책들을 불쏘시개로 쓸 수 있을까? 삶의 어깨동무라는 가정을... ...
  

4. 모임의 정면만 응시하려는 습속. 모임의 보이지 않는 그늘과 삶의 뿌리로 견고하게 지탱되고 있다면... ... 잘 되는 것도 그러하고, 못되는 것도 그러하다면... ... 일상의 삶들은 댕강댕강 잘려나가는데, 아직도 지금당장은 어디에도 없고, 낡은 책의 깃발만 나부끼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구름만 같은 책으로 귀화하라고, 인문으로 귀화하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1-08-09 16: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오디오북인가요? 영어라서 들려도 들리는 게 아니네요 ㅠㅠㅋㅋ

여울 2011-08-09 16:42   좋아요 0 | URL
네, 물론 저두 그래요. 바쿠닌 책이 없더군요. 수소문 끝에 얻은 것이 이것이네요. 듣다가 찾다가보면 어찌되겠지요. ㅎㅎ
 


사회적인 나

 

즉자적인 대자적인....자유나 평등에서 물러나 인정이나 배려를 기본적인 개념으로 삼는다. 곁이 맨들맨들하여 미끌어지는 개념이 아니라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뿌리가 내려있는 말들을 생각의 단위로 여긴다. 사고의 단위를 개인적인 나로 멈춰두는 것이 아니라 고민을 함께 하거나 일상의 몸의 겹침이 있거나 원하는 삶의 뿌리가 붙어있는 관계로 열어둔다. 나는 여기저기 붙어있다. 그것이 따로따로 반응이 없는 낱개가 아니다.

 

고민에 살이 붙고, 그 고민의 결에 연동하는 사회적인 나는 겹치면 겹칠수록 자란다. 일상이 섞이고, 꿈이 섞이고, 지금의 현실이 섞여 서로 아프다. 세상을 바라보는 밋밋한 직선의 시선이 아니라 섞인 나만큼 예민하고 세세히 다르고 실뿌리가 내린다. 

뱀발 .

아이는 아프고, 일터 일로 인한 신경은 예민해지고, 모임은 넘친다. 스크랩한 자율평론 6호와 아나키즘 관련 자료를 살핀다. 모임의 고민 사이를 좀더 깊이 걸어본다. 만나는 사람들 사이는 너무 다져져 있는 것은 아닌가? 단단한 흙이 아니라 푸석푸석한 흙들 사이로 축축한 물이 스며들어 서릿발을 만든다 한다. 내가 너무 단단하게 다져져서 너와 관계가 소원하다. 나를 쑥 뽑아 흔들거리고, 너를 뽑아 쑥 너와 사이가 흔들거린다. 그래야 우리는 좀더 물처럼 다른 것들이 스며들지 모른다. 고민의 연동이 좀더 세밀해지고 세심해질 수는 없는 것일까? 이렇게 한여름은 장마빛을 거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07-20 2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7-21 1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