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누스 푸디카

[ ] 녹 - 이파리로 가득한 숲속에서/나무는 얼굴이 어디일까 생각한다// 바람의 힘으로 사랑에서 떨어질 수 있다면//이파리들은/나무가 쥐고 있는 작은 칼/ 한 시절 사랑하다 지는 연인// 누군가 보자기가 되어/ 담을 수 없는 것을 담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일/ 떨어지기 위해 물방울이 시작하는 일// 두세해 전 얼었던 마음이/비로소 녹고//어디선가 ‘남쪽‘이라는 꽃이 필 것도 같은

[ ] 그의 시에서 인식의 주체는 이성이나 관념이 아니라, 기관과 감각이다. 귀가, 머리가 하지 못했던 일을 한다. 눈이, 볼 수 없다고 믿었던 것을 본다. 손이, 잡을 수 없거나 만질 수 없다고 여겨졌던 것을 커다란 획을 그으며 거머쥔다. 141

[ ] 박연준의 시는 이렇게 오로지 몸을 경우해서 당도할 모종의 상태, 가령 아물지 않은 채 존재하는 것, 잔존하는 끔찍한 것들이나 현존하지만 돌보지 않은 슬픔, 자주 울컥하거나, 간혹 울컥하게 만드는 순간과 순간의 정념들, 다소 식어버리거나 잠시 고조되거나 조금 뻗어나가거나 이내 흩어져버리는, 그러니까 움직이는 감정과 그 감정이 길을 낸 몸과 몸이 길을 내며 남겨놓은 정신-몸의 흔적들을 기록해낸다. 141

[ ] 시인은 스며드는 존재와 다르지 않다.....그래서 형체가 없는 저 어두운 것, 아픈 것, 깊이 파인 것과 그러한 곳에 고여 있는 정념을 불러내는 존재가 바로 시인이기 때문이다. 143

[ ] 박연준 시의 뛰어남은 시간이나 공간, 존재 등을 액체라는 유동성의 산물로 전환해내는 능력에서 자주 빚어진다. 145

[ ] ˝앓고 난 후 뒤늦게 대가리를 밀고 도착하는 감정˝은 그러니까 ‘실패하는 사랑‘이 아니라 ‘실패하는 실연‘을 말하는 데 바쳐진다. ˝버려도 돌아오는 나의 귀신들은/끝내 살아남은 것들˝(빈잔)은 사랑과의 관계에서는 차라리 역설이라고 해도 좋겠다. 152

[ ] 허기는, 에로티시즘의 에너지이자, ‘실연의 실패‘로 가득한 현실의 빈 잔, 현실의 구멍, 현실의 죽음이기도 할 것이다. 155

[ ] 외향적인 시선보다는 내면에서 차올라온 목소리가 한결 도드라지고, 하나의 중심으로 가지런히 수렴되는 이미지보다는 외부에서 걸어와 내면에서 폭발하면서 일시에 굳건한 자아와 통념을 붕괴시키며, 그 폐허의 자리에서 자신의 체럼과 감각을 독특한 시적 경험으로, 의미를 특수하게 조절하는 말의 찬란한 행렬과 낱말의 변주로 풀어낸다. 158

[ ] 몸이 쓴다. 기억이 쓴다. 감각이 쓴다. 몸-기억-감각이 고유한 시적 에끄리뛰르가 되어, 개인이라는 섬에서 탈출하여 또다른 타자의 섬에 발을 내딛고, 거기서 주관성의 주재자가 되어, 다시 살아나갈 힘을 얻는다.

0. 박연준 시집을 몇 권 사두고, 이 시집은 급히 취기를 담고 보았다. 말미 조재룡비평가의 글이라 주저하지 않고 보게 되었다.

1. 다시 만남이 예비되어 꼼꼼하게 보게 되지 않는 것이 실수일까? 그러면 어떻겠는가. 시와 비평이 잘 어우러져 좋다. 또 다른 시집을 꼼꼼이 볼 참이다.

2. 읽기가 서로 겹치는 나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