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 삶을 위한 투쟁 ]

p.45-47

차라투스트라에 따르면, 정신은 낙타가 되고, 낙타는 사자가 되며,
사자는 마침내 어린아이가 된다. 정신은 세 가지 변형태를 갖는다는뜻이다. 우선 낙타는 고귀한 전통을 존중하고 지키는 정신을 상징한다. 낙타의 정신은 그 내면에 외경심이 깃들어 있으며, 강인하고 인내심이 많다. 사자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자 하는 정신, 삶의 주인이되기 위해 자유를 쟁취하려는 정신이다.
사자의 정신은 인류를 지배해 온 거대한 용에 맞서 싸우려 한다. 그용은 규범적 도덕의 힘, 우리 모두에게 "너는 해야 한다"라고 명령을내리는 지배자 신, 유리즌의 상징이다. 사자는 유리즌의 명령에 맞서
"나는 원한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사자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지 못한다. 사자는 다만 새로운 창조를 위한 자유를 획득할 수 있을 뿐이다.
사자의 정신은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항거와 부정의 정신이며, 오직 이러한 부정의 정신을 통해서만 자유가 새로운 가치를 위한 권리가 쟁취될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가치의 창조는 순연한 긍정의 정신을 필요로 한다.

 차라투스트라에 따르면 "어린아이는 천진무구함이자 망각이고, 새로운 출발이자 걱정을 모르는 놀이이며, 스스로 도는 수레바퀴, 최초의 운동, 성스러운 긍정이다." 왜 어린아이의 천진무구한 정신은 성스러운 긍정의 정신인가? 존재하는 모든 것을 존재함 그 자체에서 순수하게 긍정하기 때문이다.

존재란 무엇인가? 그것은 곧 생성, 창조를 위해 부단히 자신이 극복되도록 하는 만물의 이름이다.

 어린아이의 정신은 윌리엄 블레이크의시 양」에서 하나님의 축복을 받을 어린 양의 정신이기도 하고, 자신을 어린 양이라고 부르는 하나님의 정신이기도 하다. 물론 자신을 어린 양이라고 부르는 하나님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는 기꺼이 몰락을 선택하는 신이며, 오직 새로운 창조를 위해 몰락해 가는 한 존재에게서만, 몰락해 가기 위해 창조되는 무상한 존재에게서만, 그 가장 내밀한 비밀로 깃들며 감추어지는 영원한 삶의 이름이기때문이다. 그는 우리에게 "너는 해야 한다"라고 명령을 내리는 도덕의 궁극적 심급으로서의 신이 아니다. 그는 우리에게 숭배의 대상으로 기념되는 초월자로서의 신이 아니다. 그는 그저 몰락할 운명에 처해 있는 모든 것들의 근원적 아름다움을 증거하는 침묵의 소리일 뿐이다.

신은 죽었다! 죽지 않는 신, 죽음을 거부하는 신은 처음부터 신이아니었으며, 경외될 자격이 없는 압제자의 허명일 뿐이다. 신을 만나고 싶거든 천진무구한 어린아이를 찾으면 된다. 스스로 몰락을 위해 내던져져 있을 뿐 아니라 몰락해 갈 운명에 처해 있는 모든 무상한 것들을 순연하게 긍정하고 기꺼워하는 그러한 정신보다 더 높은 것은 없다.

성스러운 긍정의 정신으로서 어린아이는 아무것도 동정하지 않는다. 동정이란 그 자체가 일종의 부정, ‘동정의 대상이 되는 한 존재를본래 존재해서는 안 될 것으로 받아들임‘이기 때문이다. 어린아이의정신은 불행한 인간조차 동정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왜 그러한가?
그와 함께 있음이 그저 즐겁기 때문이다. 기꺼이 함께 고통을 나눌뿐, 불행한 인간의 존재를 부정할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기쁨의 원천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앞날의 일에 대하여]
.....
제일 위험한 게 전문가들의 얘기, 그다음으로 위험한 것은 그럴싸한 캐치프레이즈다. 그 둘은 절대로 신용하지 않는 게 좋다. 나도 그런 것들에 꽤나 속으면서 살아왔으니까.

소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새로운 소설이란 무엇인가 따위의 생각을 하기 전에 먼저 좋은 소설을 쓸 것. 그것이 전부다. - P37

요즘 세상에 ‘ 돈도 없지만 취직도 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가진 젊은이들은 대체 어떤 길을 걷고 있을까? 과거에 나도 그중 한 사람이었던 만큼.

요즘의 패쇄된 사회 상황이 무척 염려스럽다. 빠져나갈 길이 많으면 많을수록 살기 좋은 사회라고 나는 생각한다. - P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리하는 뇌 - 디지털 시대, 정보와 선택 과부하로 뒤엉킨 머릿속과 일상을 정리하는 기술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리하는 뇌라는 제목이 무색하다. 내용 구성이 정갈하지 못하다. 다듬어지지 않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생각의 빈틈 ]
....

달리면 모든 게 단순해진다. 아무리 무거운 고민이라도 달리기 시작하면 점차 그 부피가 줄어든다.
몸이 바쁘게 돌아가니 평소처럼 복잡하게 생각할 여유가 없어서다. 우선순위 정렬 버튼을 누른 것처럼중요치 않은 것들은 자연스레 생각의 바깥으로 밀려나고 마음 한가운데에는 고민의 본질만이 남는다. 그렇게 본질과 직접 대면하면 생각보다 쉽게 고민의 마침표를 찍을 수 있다. 당시에는 세상 복잡하고 어려웠던 고민이 지금 돌이켜보면 참 별거 아니었음을 깨닫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깊은 통찰로든 시간의 흐름으로든 고민의 단단한 껍질을 벗겨 핻심과 마주할 수 있가면 모든 건 명쾌해진다.
달리기는 그 껍질을 용이하게 봇겨쥬는 과도가 되어준다. 전에는 미처 알지 못했던 뜁박질의 숨은 기능이다. 늦은 밤이어도 무거운 마음 하나가 일사유전체를 짓루른가 느낄 때면 기어코 운동화 끈을 고쳐 매는 이유이기도 하다. - P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데거는 서양의 전통철학이 형이상학적 사유로부터 자유롭지못하다고 여긴다.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형이상학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명이 가능하지만 그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형이상학이란감각적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는 실체적 존재자에 관한 학문‘이라는설명이다. - P53

하이데거 존재론의 근본 명제 가운데 하나는 ‘존재는 늘 한 존재자의 존재이다‘라는 것이다. 이 말은 인간 현존재와 무관하게 이런저런개별적 존재자들이 존재하는 것이 자명하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도리어 그 반대이다. 

하이데거의 어렵고 복잡한 논의를 거칠게 단순화시켜서 말하자면, 개별적 존재자는 언제나 시간과 공간 안의 것으로서만 발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미 실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라이프니츠와 칸트가 밝혔듯이, 아니 고대와 중세의 근원적인 사상가들이 이미 분명하게 알고 있었듯이, 시간과 공간 자체가 실재적인것이 아니라 현상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존재는 늘 한 존재자의 존재이다‘라는 존재론의 근본 명제는 존재란 인간 현존재의 존재에 근거해서만 가능한 것이라는 뜻을 함축할 수밖에 없다. 현상적인 모든 것은, 그 존재라는 의미까지 포함해서, 인간 현존재의 존재에 근거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