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자 선언 - 판사 문유석의 일상유감
문유석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이 먼저 주체로 서야 타인과의 경계를 인식하여 이를 존중할 수 있고, 책임질 한계가 명확해지며, 집단 논리에 휘둘리지 않고 자기에게 최선인 전략을 사고할 수 있다. 25쪽


어려운 일이다. 내가 먼저 주체로 서야 한다는 것도, 존중하고 휘둘리지 않을 자신이 없다. 카페에서 혼자 차를 마시며 유유자적 책을 보고 있으면서도 다른 사람이 날 어떻게 생각할지,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나이기에 ‘타인과의 경계’조차 애매모호해지는 것이다. 나 역시 ‘내 삶이 우선인 개인주의자고, 남의 일에 시시콜콜 관심이 없으며, 누가 뭐라 하던 내 방식의 행복을 최대한 누리며 살’고 싶을 뿐이다. 그런데 이게 나만 노력한다고 해서 되는 일이 아님을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관계를 맺고 살아가자면 어떤 식으로든 개인주의를 숨기는 게 편하다는 걸 여러 번 경험했기 때문이다.

남들보다 뒤처지는 것, 남들과 다르게 비치는 것, 튀는 것에 대한 공포. 이 집단주의 문화로 인한 만성적인 긴장과 피로는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행복을 안겨주지 않았다. 36쪽


보통의 인간으로, 평범하게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나이를 먹을수록 체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틈바구니에서 어떻게 하면 나만의 행복을 만끽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된다. 자극적인 뉴스, 처절한 경쟁시대, 나만 아니면 된다는 이기심이 팽배한 사회를 두려움으로 바라보다 결국 도피하기 일쑤인데 그럼에도 모든 것을 개인의 탓으로만 돌리는 건 아닌 것 같단 생각이 들고 있다. 책을 좋아하는 나는, 책을 읽으면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사람들과 상황 속에서 내가 좀 더 노력하면 언젠가는 사회도 변화하고 희망을 품을 수 있다 생각했다. 그래서 책을 읽고 후기를 남기면서도 항상 깨달음, 뉘우침, 희망을 빼먹지 않았는데 어느 순간 굉장히 좁은 사고 속에 갇혀 있단 생각이 들었다.


개인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구조 문제를 언급하면 ‘환경 탓이나 하는 투덜이’로 간주한다. 사회는 어쩔 수 없으니 개인이 변해야 한다는 자기계발 논리의 폐해다. 115쪽


평소라면 이 문장이 모호하고 뭐 어쩌라는 말이냐고 지난한 시선으로 바라봤을 것이다. 하지만 개인의 변화에도 꿈쩍 않는 사회구조와 갈수록 삭막해져가는 현재를 바라봤을 때 사회 구조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환경 탓이나 하는 투덜이’로 남았더라면 정권 교체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품기 위해 용기 있게 나서는 사람들도 없었을 것이다. 무조건적인 투덜이가 아니라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는 투덜이가 행동하고 합쳐질 때 사회가 변화되는 것을 경험했다. 그럼에도 집단주의에 휩쓸려 타인의 시선만 신경 쓰며 살아갈 것인가? 이 책을 읽는 내내 개인이 존중받고 자존감이 높아질 때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이 높아지며, 여전히 삭막한 세상인데도 사회도 발전하고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연구 결과 행복감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문화적 특성은 개인주의고, 북미나 유럽 국가들의 행복감이 높은 이유는 높은 소득보다 개인주의적 문화 때문으로 본다. (중략) 행복의 원동력은 넘치는 자유, 타인에 대한 신뢰, 그리고 다양한 재능과 관심에 대한 존중이라는 것이다. (중략) 집단주의로 인한 압력에 짓눌리지 않고 각자 제 잘난 맛에 사는, 서로 그걸 존중해주는 개인주의 문화의 강력함이다. (56쪽)


최근에 북유럽 국가에 관한 책을 읽으면서 과연 우리 사회에서 상상할 수 없는 것들이 허용되고 존중받는 게 너무 먼 나라 얘기처럼 느껴져서 오히려 낯설었던 경험이 있다. 저자의 말처럼 ‘현실을 조목조목 따져보면 모든 사회는 나름의 문제를 안고 있고 나름의 특수성이 있다. 그대로 가져다가 베끼면 되는 정답 같은 건 없다.’는 말에 공감한다. 하지만 적어도 개인을 존중해주고, 타인에 대한 신뢰를 보내고, 성적과 스펙으로 줄을 세우지 않고 다양한 재능이 존중되어주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은 여전하다. 그 모든 걸 가르치고 지원해주는 공교육이 이뤄질 때 불안한 미래가 아닌, 내 아이에게 행복한 세상을 기대하게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3부에 걸쳐 저자의 ‘개인주의’와 타인의 삶을 지켜보는 정직한 시선, ‘세상의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는 용기를 보며 어제까지만 해도 미미했던 내 존재가 존중받는 기분이 든 것도 비단 다르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