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지적 초조함을 이해합니다
뤄전위 지음, 최지희 옮김 / 글항아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이 시대는 고정된 사고방식을 용납하지 않는다. 가장 좋은 방식은 아예 고정성을 버리는 것이다. 기존에 갖고 있던 모든 것을 버리고 계속해서 새로운 것을 배우며 이해하는 과정은 확실히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 하지만 진정, 변화가 있어야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 41쪽


끊임없이 변화하라는 말은 식상하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하는 건 또 싫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을 읽는 동안 내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이며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가 조금씩 정립이 되어 굉장히 흥미로웠다. 내가 몰랐거나 혹은 관심 없는 분야가 허다했는데도 전혀 지루하지 않았고 겉도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저자가 먼저 곱씹고 곱씹어서 소화시킨 다음에 친절하게 다시 알려주고 있어 모르는 사실을 알아가는 즐거움을 느꼈다. 이런 독서가 얼마만인지! 책 제목이나 두툼한 두께를 보면 결코 녹록치 않은 읽기일 수밖에 없는데 그런 선입견을 철저히 깨주어 굉장히 즐거웠다.

제1장에서는 제목처럼 ‘지적 초조함’을 왜 느끼는지 상세하게 풀어낸다. 현대 사회가 빠른 변화를 추구하고 있고 그 안에서 많은 것들이 떠올랐다 사라져가고 누군가는 기회를 얻고 누군가는 겉도는 모습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런 변화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기보다 그냥 흐름에 맡기는 경우가 많다. 저자는 그 부분을 건드린다. 과거의 인물들과 역사를 통해 ‘관념’이란 개념을 새롭게 정립함과 동시에 변화의 통찰과 현재의 밀접함은 물론 미래까지 연결시키는 과정을 상세하게 안내한다. 그 과정을 느긋하게 따라가다 보면 흩어졌던 정보들이 제자리를 찾아 새로운 길을 만들어내는 기분까지 들었다.

인터넷 시대에도 여전히 독서를 즐기는 이들의 장점은 여기에 있다. 다른 사람들은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만 판단할 때, 독서를 하는 사람은 더 깊이 들어가 무엇이 옳은지 아는 데 그치지 않고 언제부터 옳게 되었는지까지 알고 있다. 이로써 우리는 지식의 과일을 맛봄과 동시에 지식으로 인한 오만을 피할 수 있다. 71쪽

제2장에서는 ‘경제학에서 인지 수준을 업그레이드하기’ 부분이 재미있었다. 오래전에 읽은 『괴짜 경제학』이 반가웠고 경제학자의 시선으로 본 사회 구조, 협력, 인간 마음 등이 꽤 정확하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경제학이 정치권을 쥐락펴락한 역사의 생생한 현장도 알게되었고, 경제학을 몰랐기에 실생활에 대입할 생각을 못해 보고 나와 상관없는 학문이라 여겼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그런 고정된 생각을 깨주어서 반가웠다.

혁신의 핵심은 협력에 있지 이마를 탁 치는 것이 아니다. 252쪽

제3장에서는 ‘혁신, 인지 수준 향상의 수단’ 부분에서 노벨상에 관한 연구가 인상 깊었다. 노벨상이 특정인물이 아닌 협력을 통한 혁신의 결과라는 분석과 협력이 되지 않을 때 노벨상의 문제점을 바로 드러난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이렇게 접근하면서 해결책도 제시해 주어 뭔가 후련했다. 또한 ‘제조는 커다란 강점이다’에서 왜 아이폰이 중국에서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지, 중국은 짝퉁 천국이라고 말하면서도 중국에서 수많은 물건을 만들 수밖에 없는지를 비로소 이해하게 되었다. ‘복잡한 제품을 대규모로 제작할 능력을 갖춘 개방형의 유일한 국가’라는 의견에서 많은 걸 느꼈다.

당신의 가치는 사장이 얼마를 주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얼마의 가치를 창출해내는지, 당신의 능력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316쪽

제4장에서는 ‘비즈니스적 사고 기르기’에서 ‘파트너십을 맺는 방법’에 대해 알려준다. 이 부분이 개인적으로 이제 막 회사에 입사하고, 경력이 어느 정도 쌓였지만 방향을 잡지 못한 회사원들과 CEO가 꼭 읽어봤으면 하는 부분이었다. 분명 연봉이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하지만 저자는 회사에서 나의 가치를 무엇으로 높일 수 있고,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에 대해 말해준다. 그래서 나처럼 평범한 아줌마도 용기를 얻을 수 있었고 많은 회사와 직원(퇴사한 직원 포함)들이 파트너십을 만들어 서로 윈윈하기를 진심으로 바랐다. 정말로 그런 예시를 많이 들려주어서 흐뭇해지는 시간이기도 했다.

독서라는 방식을 통해 이 세상을 바꿔가지 않겠습니까? 332쪽

책을 읽다 보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분야가 방대하고 상세해서 잠시 길을 잃을 때도 있다. 분명 읽다 보니 지적 초조함을 채워졌는데 자꾸 더 궁금하게 만드는 이상한 매력이 있었다. 의미 없다는 걸 알면서도 결국 ‘협력은 혁신이다.’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건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날카롭고 예민하게 키우라는 건지 곰곰 생각해보아도 잘 모르겠다. 그런데 저자는 마지막 제5장에서 ‘이 세상은 좋아질까?’라는 화두를 던진다. 다시 독서로 돌아와 꽤 난이도 있는 철학서 두 권을 소개한다. 물론 이렇게 친절하게 설명해주었는데도 어느 정도 이해했다고 선뜻 말할 수가 없다. 38억 년 생물의 발달부터 현재의 인간까지 관통하는 생존에 대한 부분이 기억에 남은『물연통론』의 깊이만 겨우 체감했다. 그러면서도 의존도, 자유도가 높아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이유를 ‘대상’으로 설명한 부분이 상당히 설득력 있었다.

이 책을 완독하기가 무섭게 초조해지기 시작했다. 지적 초조함이라는 게 해소될 리 있겠냐만은 이 책을 통해 어느 정도 해소시키고, 의미를 정립하고, 나름대로의 체계가 세워지니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해 그리고 내가 가고 싶은 길에 대한 초조함이 생겨났다. 이 마음이 얼마나 오래갈지는 모르겠지만 막연했던 삶의 방향이 잡혔다는 사실, 그리고 그것이 독서의 결과라는 사실이 참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