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지식총서'는 100페이지 남짓한 작고 가볍고 얇은 두께에 하나의 주제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책이 시집 한 권 값 정도 한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장점이 많다. 물론 내용이 수박 겉핥기 식으로 허탈하게 끝나는 주제들도 있긴 하지만. 오늘 소개하려는 책 <르 몽드>나 <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는 얇은 분량 안에서 정확히,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드러나 있어서 꽤 괜찮았다.

공교롭게도 두 권의 책이 모두 '프랑스 사회'와 관련한 책이었고, 또 공교롭게도 우리 사회의 그것과 비교할 만한 책들이었다. '부르르' 언론에 한번 더 분노를 느끼고, '부르르' 한국 사회의 공고화되고 갈수록 심화되는 계급화에 분노를 한 번 더 느끼면서 두 권의 책을 덮었다.

중도 좌파적 성격을 지닌 '르 몽드'지가 프랑스의 대표적인 언론으로, 세계 10대 신문으로 꼽히게 되는 그 과정들이 비교적 상세하게 적혀있는 <르 몽드>에서는 우리나라 신문이 왜 썩었는지, 왜 신문을 보면 안되는지 세삼 다시 생각하게 한다. '르 몽드'는 일단 우리나라의 신문 시장과 달리 철저히 독립되어 있다. 조중동 처럼 거대 재벌이나, 언론 재벌의 부속물이 아니며, 주식은 오히려 르 몽드 기자회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신문의 중심이 기자들에게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들, 기자들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지도 않는다. 더구나 우리나라 신문들이 광고 수입에 70% 이상 의존하는 것에 비해 '르 몽드'는 오히려 그 반대다. 그러니 거대 광고주들의 눈치를 봐야 할 이유도 없다. "특정 이데올로기 그리고 권력으로부터 독립하려면, 무엇보다도 재정적으로 독립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부분에서는 울컥, 뭔가가 가슴에서 치밀어 오르기도 한다.

'르 몽드'는 사진도 철저하게 배재한다. 스펙타클한 이미지가 사실을 왜곡할 우려가 꽤 많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신문을 보면, 1면은 늘 대형 사건, 사고, 혹은 아수라장인 정치판 사진으로 빵~빵~ 때려준다. 그것도 신문사들의 입맛에 맞게 조작된 이미지의 사진들이. 마치 사실인 양, 진실인 양 버젓이 걸린다. 무엇보다 감명 깊은 부분은'독립성'이다. 우리 신문들이 '중립 언론'을 표방하고 아무 소리도 못낸채, 거대 자본 세력들의 시녀 노릇하기에 바쁜 것에 비하면, 르 몽드는 '좌파', 르 피가로는 '우파'로 철저히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부럽다. "신문이 피해야 할 것은 왜곡이지 당파성이 아니다" 라는 부분에서도 일정 심각하게 고개를 끄덕여본다. 인종주의나 극우 이데올로기에 대한 '르 몽드'의 분명한 독립 선언과 자기 색깔의 목소리. 이런 것들은 진실과 사실이라는 가면을 쓰고 양비론으로 모호한 입장을 취하면서 오히려 정치, 경제라는 거대 권력자들의 대변인 노릇만 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신문들과 크게 비교되는 지점이다.

신문을 끊어버린지 꽤 오래 되었다. 하지만 신문을 끊으면, 과연 내가 정보를 어디서 얻을까? 했던 고민은 완전 기우였음을 깨닫는 데는 얼마 걸리지 않았다. "우리 신문의 제호는 르 몽드(Le Monde, 세계)이지 라 나시옹(La Nation, 국가 또는 민족)이 아닙니다." 라는 르 몽드 편집국장의 발언은 의미심장하다. 움베르토 에코의 <신문에 대하여>에서 신문이 궁극적으로 나아갈 길은, 국가나 민족 자기 안의 일이 아니라 더 넓은 세계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구절이다.

부르디외의 저서들을 접하다보면, '구별짓기' 즉 문화적 취향, 문화의 취사 선택을 통해 자신이 어떤 계급인지, 그리고 그 문화적 취사 선택의 과정들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어떻게 습득 되는지, 그래서 '학교'라는 공간이 한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생각해보게 한다. 프랑스 사회는 논술과 구술 시험 등을 통해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쓰는가에 따라 좋고 나쁜 대학의 진입 여부가 결정된다. 또 그 대학을 나오고 어떤 지식 사회로 편중되느냐에 따라 상중하 계층이 갈린다. 대부분 노동자의 자식은 노동자로, 고위 간부의 자식은 고위 간부로 다시 재생산 된다. 어찌보면 우리나라 보다 꽤 오래 심화된 교육의 불평등이다. 개인의 능력 차이라고 치부하지만, 이미 상하층 계급으로 나뉘어 어렸을 때부터 어떻게 대화하고, 생각하고, 어떤 문화적인 습득을 했느냐에 따라 기회가 주어지는 통로는 달라지는 것이다. 물론 이제 대한민국도 마찬가지다.

이미 서울대연고대 등을 차지하는 신입생 수에서 서울 강남권에 사는 학생들의 수가 절반을 넘어섰다는 점은 프랑스의 그것과 다를 바가 없음을 시사한다. 그들이 다시 국가 권력의 상층 핵심부를 다 차지하고, 또 다시 그들의 자식들은 어릴 때부터 남다른 문화적 식견을 교육받고 또 다시 상위권 학교에 입학하고..... 계급과 계급이 반복, 재생되는 이 악순환은 그칠 줄 모른다. "현대 사회에서 학벌이 중요한 사회 문제가 되는 것은 모든 계급의 신분 상승 기회가 바로 학교의 서열제도를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라는 구절은 부르디외가 왜 그토록 프랑스의 학교와 교육제도에 비판적이었는지 생각하게 한다.


부르디외의 책을 읽다보면, 나 또한 어떤 고상한, 혹은 조금은 타인과 다른 (?) 문화적 취향을 드러냄으로써 하나의 구별짓기라는 또 하나의 상징 폭력을 타인에게 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은근한 자기 반성과 자기 검열을 하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6-01 1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르 몽드의 제호는 훌륭한 말입니다. 하지만, 인터넷 세계가 점점 확장되는 상황을 생각하면 낙관적으로 기대할 수 없습니다. SNS 중심의 인터넷이 부당한 사회 현상을 널리 알리고, 세계적 공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세계에도 종이신문만큼이나 편견과 가짜 뉴스가 판을 칩니다. 인터넷으로 전달되는 뉴스가 세계를 바라보는 창(窓)이 되지만, 일부 가짜 뉴스는 타인에게 폭력과 억압을 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창(槍)이 될 수 있습니다.

잠자냥 2017-06-01 14:41   좋아요 0 | URL
네, 가짜뉴스는 언제나 조심해야 할 덫과 같은 존재라고 생각되는군요.